-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일신재집(日新齋集)
- 기본정보
- 해제
-
『일신재집(日新齋集)』은 21권 12책으로 문인 박준기(朴準基), 홍승환(洪承渙) 등과 족인(族人) 정병해(鄭炳海) 등이 유고를 모아 1927년 간행했으며, 서문과 발문은 없다. 권1은 시 175제가 수록되어 있다. 대체로 연대순으로 편차되어 있으며, 사우들을 만나고 지은 교제시가 대부분이며, 뒷부분은 만시가 많다. 그는 노문삼자로 불리웠던 정재규와 특별한 교분이 있어서 서로 영호남을 방문하고 시를 남겼으며, 1902년에는 『노사선생문집(蘆沙先生文集)』중간을 위해 단성의 신안정사를 방문하고 이어 최익현(崔益鉉), 기우만(奇宇萬), 정재규(鄭載圭), 최숙민(崔琡民) 등과 칠불사(七佛寺)에서 함께 지은 시가 남아 있다. 대표적인 시로는 「서석창수운(瑞石唱酬韻)」10수를 들 수 있다. 정의림은 이 시의 서문에서 1887년 8월 17일부터 8월 23일까지 7일간 친구나 문인들과 함께 화순에서 무등산의 광석대(廣石臺), 상봉(上峯), 증심사(澄心寺)를 거쳐 다시 화순의 만연사선정암(萬淵寺禪定庵), 능주의 영벽정(映碧亭)과 동귀봉(東歸峯)을 다녀오면서 지은 것이라고 하였는데, 방문한 곳에 대한 자신의 느낌과 그 곳의 풍광을 잘 묘사하였다.
- 기사목록
-
- 권1
-
- 목록(目錄)
-
시(詩)
- 관불암에서 노사 기 선생을 뵙다(觀佛菴拜蘆沙奇先生)
- 언어(言語)
- 종부제 경방【창림】의 시에 화답하다(酬從父弟敬方【昌林】)
- 왕모 이씨의 묘소에 성묘하다(省王母李氏墓)
- 태봉의 친척집에 유숙하며 감흥이 있어 짓다(宿泰峯族人家有感)
- 가야동 회고(伽倻懷古)
- 용암에 사는 벗 김내선【우종】을 찾아가다(訪龍巖金友乃善【佑鍾】)
- 밤에 종제 경방과 노닐다(夜與敬方弟遊)
- 도중에 한식을 만나다(途中寒食)
- 하사에서 돌아오며(自下沙歸)
- 재거 감회【6수】(齋居感懷【六首】)
- 감회를 적다(書懷)
- 풍치에서 애산 정후윤【재규】을 작별하다(楓峙別鄭艾山厚允【載圭】)
- 족형 월파 백언【시림】과 영벽정에 오르다(與族兄月波伯彥【時林】登映碧亭)
- 스스로 경계하다(自警)
- 음강을 지나며(過陰江)
- 자식을 가르치다(教子)
- 정암 조 선생의 적려비를 찾다(過靜庵趙先生謫廬碑)
- 반남 회고(潘南懷古)
- 석당 선생을 위한 만사(石塘先生輓)
- 족대부 정화국의 죽음을 애도하다(哭族大父和國)
- 유천여【낙호】가 방문하다(柳天汝【樂浩】見訪)
- 만취정 향음례 자리에서 짓다(晚翠亭飲禮席上作)
- 임천 반조원 회고(林川頒詔院懷古)
- 침계루에서 목은 이 선생의 판상 운에 차운하다(枕溪樓次牧隱李先生板上韻)
- 임신년(1872, 고종9) 7월 16일은 바로 우리 태조께서 개국한 회갑이기에 감회가 있어 짓다(壬申七月十六日。郎我太祖開國回甲也。有感而作。)
- 임전재【헌회】의 중구일 집구시에 화운하여 올리다(和上任全齋【憲晦】九日集句詩)
- 벗 김보현【장석】의 서숙에서 노닐다(遊金友甫賢【章錫】書塾)
- 방장산 화개동에서 짓다(方丈花開洞)
- 봉남 홍경좌【채주】를 방문하여 회포를 풀다(訪鳳南洪卿佐【埰周】酬懷)
- 광주 회고(廣州懷古)
- 달뜬 밤에 벗 문계원【송규】을 만나다(月夕逢文友啓元【頌奎】)
- 아우 경방과 함께 심회를 서술하여 읊다(同敬方弟敍詠)
- 송광사에서 벗과 모여서 향음례를 행하다(松廣寺會諸友 行鄉飲禮)
- 애일당 김장여【치희】어른에게 드리다(呈愛日堂金丈章汝【致熙】)
- 족형 백언이 방문하다(族兄伯彥見訪)
- 하서 김 선생의 경석정에 올라 원운에 삼가 차운하다(登河西金先生竟夕亭。謹次原韻)
- 단양에 이르러 이도민【승호】과 노닐다(到丹陽與李道敏【承灝】遊)
- 아우 경방의 시에 화운하다(和敬方弟)
- 종제들에게 써서 보이다(書示諸從弟)
- 황 처사 선생 명촌【기현】의 운에 삼가 차운하다(謹次黃處士先生明村【紀顯】韻)
- 성산에서 성묘하고 감회가 있어 짓다(星山展墓有感)
- 보림사를 다시 방문하였는데 사찰이 황폐해진 지 이미 오래된 것을 보고 느낌이 있어 짓다(重過寶林寺。見寺廢已久。有感而作。)
- 용인 두산에서 제종과 모여 심회를 읊다(龍仁斗山。會諸宗。敘懷)
- 벗 김문현【규원】과 노닐다(與金友文現【奎源】遊)
- 서석에서 창수한 시【병서와 10수의 시가 있다】(瑞石唱酬韻【幷序十首】)
- 아침 일찍 빙치를 출발하다(早發冰峙)
- 수촌 굴사에 들르다(過水村窟洞)
- 복천 영신에 투숙하다(宿福川永新)
- 광석대에 오르다(登廣石臺)
- 상봉에 오르다(登上峯)
- 징심사에 투숙하다(宿澄心寺)
- 만연사 선정암에 도착하다(到萬淵寺禪定庵)
- 영벽정에 오르다(登映碧亭)
- 속금봉에 오르다(登束錦峯)
- 강생 자명을 전송하다【진섭】(送姜生子明【晉燮】)
- 윤형삼【자현】의 시에 화운하다(和尹亨三【滋鉉】)
- 성대곡 선생【운】의 시에 뒤미처 화운하다(追和成大谷先生【運】詩)
- 심학헌 양장【상정】께 드리다(呈心學軒梁丈【相鼎】)
- 정애산, 안순견과 함께 목욕하다(與鄭艾山安舜見同浴)
- 정애산, 안순견과 정답게 이야기하다(與鄭艾山安舜見話情)
- 족형 월파와 정애산, 안순견과 모여서 술을 마시다(與族兄月波及鄭艾山安舜見會酌)
- 영남에서 돌아오는 길에 박경립, 홍사증, 민자경 세 사람에게 주다(嶺南歸路。贈朴景立洪士拯閔子敬三君)
- 담대헌에서 유숙하며 감회가 있어 짓다(宿澹對軒有感)
- 홍공 봉남을 위한 만사(挽洪公鳳南)
- 정후윤과 저녁에 이양 저자를 들르다(與鄭厚允暮過梨陽市)
- 이광빈【기백】의 시에 차운하여 주다【2수】(次呈李光彬【琪白二首】)
- 계사년(1893, 고종30) 섣달그믐날 밤에【2수】(癸巳除夜【二首】)
- 책을 보다가 감회가 있어 짓다(觀書有感)
- 안순견이 잡초 우거진 뜰을 소제하는 것을 보고 정애산과 함께 짓다(見安舜見掃除庭穢與鄭艾山同題)
- 박효삼【경진】의 시에 화운하다(和朴孝三【璟鎭】)
- 양청일【재덕】의 시에 화운하다(和梁清一【在德】)
- 정후윤과 신안강 가에 도착하여 입으로 부르다(與鄭厚允到新安江上口呼)
- 복천으로 가는 도중에 박생 경립의 시에 화운하다(福川途中和朴生景立)
- 제생의 운에 화운하다(和諸生韻)
- 을사년(1905, 고종42) 가을 영귀정에서 가숙으로 돌아오다(乙巳秋自詠亭還家塾)
- 회갑일에 심회를 서술하다(回甲日述懷)
- 을사년(1905) 그믐날 밤에(乙巳除夕)
- 영귀정에 아홉 성현의 진영을 봉안하고, 인하여 벗 안순견을 추억하다(詠歸亭奉安九聖賢遺眞因憶安友舜見)
- 칠송리 동산에서 노닐며 안순견을 추억하다(遊七松東山憶舜見)
- 병오년(1906, 고종43) 섣달 그믐날 밤에(丙午除夕)
- 박생 낙경의 시에 화운하다【안상】(和朴生樂卿【顔相】)
- 홍생 사증과 함께 칠송의 강회에 참석하다(偕洪生士拯赴七松講會)
- 안경백【창섭】이 관례를 행하는 날 적어서 주다(安慶伯【昌燮】加冠日題贈)
- 홍장 덕여【우흡】에 대한 만사(輓洪丈德汝【佑洽】)
- 벽산 강회(碧山講會)
- 동금봉에 올라 오영지【장섭】의 시에 화운하다(登東錦峯。和吳永之【長燮】韻)
- 간리서사에서 병중에 심회를 쓰다(澗里書社病中書懷)
- 천태산을 유람하다가 도중에 박대규【규진】을 만나 기뻐하다(遊天台山中路喜逢朴大圭【奎鎭】)
- 정경지【재홍】의 회갑 운에 화운하다(歩和鄭敬之【在洪】回甲韻)
- 벗 김태윤【양원】에 대한 만사(挽金友泰允【揚源】)
- 낙청헌의 운에 화운하다(步和樂清軒韻)
- 송포 양장【준묵】의 회갑 운에 삼가 차운하다(謹次松圃梁丈【俊默】晬辰韻)
- 정대은【재훈】의 시에 화운하다(歩和鄭臺隱【在勳】韻)
- 꿈을 기록하다(記夢)
- 종제 경방과 영평에 들르다(與從弟敬方過永平)
- 반남에 도착하다(到潘南)
- 몽교관(夢覺關)
- 한수암의 운에 화운하다(和寒守庵韻)
- 병중에 우연히 절구 한 수를 지어 이광현【당백】에게 부치다(病中偶成一絕寄李光現【當白】)
- 신안사에 노사 선생 문집 간행소를 설치하고 벗들과 수창하다(新安社設蘆沙先生文集刊所。與諸友唱酬)
- 시국을 상심하여 우연히 적다【7수】(傷時偶題【七首】)
- 최면암【익현】어른의 신안사 간행소에서 감회가 있다는 시에 차운하여 드리다(次呈勉庵崔丈【益鉉】新安刊所有感詩)
- 조우 화일【영만】의 총계정사에 적다(題趙友和一【泳萬】叢桂精舍)
- 최면암 어른을 모시고 최계남【숙민】, 정애산, 기송사【우만】 등 여러 벗들과 칠불사를 유람하다(陪勉庵崔丈。與崔溪南【琡民】鄭艾山奇松沙【宇萬】諸友。遊七佛寺)
- 쌍봉서사에서 양처중【회락】의 운에 차운하여 벗들과 작별하다(雙峰書社用梁處仲【會洛】韻別諸友)
- 영귀정에서 벗 안우 순견과 이덕재【인환】를 추억하다(詠歸亭憶安友舜見李友德哉【仁煥】)
- 아우 경방의 회갑에 병으로 가지 못하고 뒤미처 화답하다(敬方弟回甲日有病未往追後賡韻)
- 이기휴 대인의 회갑시에 화운하다(和李基休大人回甲韻)
- 박경중【준관】에 대한 만사(挽朴敬仲【準觀】)
- 황생 경함【철원】의 수미시에 차운하다(次黃生景涵【澈原】首尾韻)
- 박우서【준채】에 대한 만사(挽朴禹瑞【準彩】)
- 죽림재 운에 삼가 화운하다(謹步竹林齋韻)
- 김공 성명【시귀】에 대한 만사(挽金公聖名【時龜】)
- 성석 김성민【재기】옹의 시에 받들어 화운하다(奉和惺石金翁聖民【在驥】)
- 사람을 경계시킨 주자의 시에 차운하여 강자겸【익섭】에게 주다(次朱子戒人詩。贈姜子謙【益燮】)
- 황생 경함이 봄을 전별하는 날에 시를 지어주니 사례하지 않겠는가(黃生景涵餞春日有贈可無謝)
- 영귀정에서 강회를 파하고 읊다【2수】(詠歸亭講罷吟【二首】)
- 조담와【익제】의 회갑 운에 삼가 화운하다(謹步趙澹窩【翼濟】回甲韻)
- 화암사 강회(華巖寺講會)
- 회헌 주인이 벽 위에 남긴 시에 받들어 화운하다(奉和悔軒主人壁上韻)
- 김여경에 화답하여 주다(和贈金汝擎)
- 용한당을 새로 짓고 지은 시에 뒤미처 차운하다(追次容閒堂創修韻)
- 이른 아침에 압록진을 출발하다(早發鴨綠)
- 악양정 회고(岳陽亭懷古)
- 영귀정에서 제생들에게 주어 작별하다【5수】(詠歸亭贈別諸生【五首】)
- 김명언【만원】에 대한 만사(挽金明彥【萬源】)
- 다산재에서 벗들과 작별할 적에 감회가 있어 짓다【소서를 붙이다】(多山齋別諸友有感【幷小序】)
- 낙성에서 출발하기 앞서 감회가 있어 짓다(洛城臨發有感)
- 오여주【창호】에게 주어 이별하다(贈別吳汝周【昌鎬】)
- 광한루에 올라 점필재 김 선생의 판상 운에 차운하다(登廣寒樓次佔畢齋金先生板上韻)
- 운봉비 전각을 들르다(過雲峯碑殿)
- 우연히 읊조리다【5수】(偶吟【五首】)
- 양자강에서 창수하다【서문을 붙이다】(楊子江唱酬【幷序】)
- 윤형삼의 회갑 운에 뒤미처 화운하다(追和尹亨三回甲韻)
- 양공 무열【주】에 대한 만사(挽梁公茂悅【柱】)
- 생도들을 면려하다(勉諸生)
- 강회재 운에 차운하다(次講會齋韻)
- 영귀정 원운(詠歸亭原韻)
- 양문오【규환】의 시에 화운하다【2수】(和梁文五【奎煥二首】)
- 양자선【청묵】에게 주다(贈梁子善【淸默】)
- 정치홍【기현】의 회갑 운에 삼가 차운하다(謹步鄭穉弘【琦鉉】回甲韻)
- 채낙빈【중석】, 한원식【상렬】과 천태산을 유람하다(偕蔡洛斌【重錫】韓元植【相烈】遊天台山)
- 김양숙에 대한 만사(挽金良叔)
- 위사열【계학】이 어머니를 위해 축수한 시에 차운하다(次魏士悅【啓學】壽母詩)
- 죽계 운에 차운하다(次竹溪韻)
- 정재용에 대한 만사(挽鄭在庸)
- 위군 형신【대량】의 시에 화운하다(和魏君亨信【大良】)
- 양이경【회덕】에게 주어 작별하다(贈別梁而敬【會德】)
- 홍사영【우경】에게 주다(贈洪士塋【祐璟】)
- 조원재【상유】에 대한 만사(挽曺元哉【尙裕】)
- 화암 양공【재성】에 대한 만사(挽華奄梁公【在成】)
- 정군 익삼【순흠】의 시에 화운하여 주다(和贈鄭君益三【舜欽】)
- 지경당 운에 삼가 화운하다(謹步持敬堂韻)
- 범윤규 목재의 운에 삼가 차운하다(謹次范潤圭牧齋韻)
- 김공 학헌【시풍】에 대한 만사(挽金公鶴軒【時豊】)
- 지주사 한후【치조】를 모시고 향음례를 행하다(陪知州韓侯【致肇】行鄕飮禮)
- 밤에 일어나 감회를 쓰다(夜起書感)
- 한후정에 적다(題寒後亭)
- 이사하여 열락재를 떠나다(移家別悅樂齋)
- 산재에서 감흥이 있어 짓다(山齋有感)
- 민중범【계호】에 대한 만사(挽閔仲範【啓鎬】)
- 신【광택】의 동계정 운에 삼가 차운하다(謹次申【光宅】東溪亭韻)
- 이생 경록【덕회】에게 주다(贈李生景祿【德會】)
- 묵곡으로 돌아가는 길에 이생 덕수【승복】의 시에 화운하다(墨谷歸路。和李生德受【承福】)
- 우헌 홍공【승의】에 대한 만사(挽愚軒洪公【承議】)
- 여름날 간촌을 유람하다(夏日遊澗村)
- 이공 화진【주장】에 대한 만사(挽李公和珍【周璋】)
- 벗들과 화류천 가에서 만나기로 약속하다(約諸友會花柳川上)
- 가뭄을 근심하다(憫旱)
- 권2
-
-
서(1)(書(1))
- 노사 선생께 올림(上蘆沙先生)
- 노사 선생께 올림(上蘆沙先生)
- 노사 선생께 올림(上蘆沙先生)
- 노사 선생에게 올림(上蘆沙先生)
- 노사 선생에게 올림(上蘆沙先生)
- 노사 선생께 올림(上蘆沙先生)
- 노사 선생께 올림(上蘆沙先生)
- 친족 대부 석당 선생에게 올림(上族大父石塘先生)
- 백부에게 올림(上伯父)
- 무사재 박 선생【영주】께 올림(上無邪齋朴先生【永柱】)
- 애일당 김 어른【치희】에게 답함(答愛日堂金丈【致熙】)
- 중암 김 어른【평묵】에게 올림(上重菴金丈【平黙】)
- 전재 임 좨주 어른【헌회】에게 올림(上全齋任祭酒丈【憲晦】)
- 성재 유 어른【중교】께 올림(上省齋柳丈【重敎】)
- 면암 최 어른【익현】에게 올림(上勉菴崔丈【益鉉】)
- 면암 최장에게 올림(上勉庵崔丈)
- 면암 최장에게 올림(上勉菴崔丈)
- 면암 최장에게 올림(上勉菴崔丈)
- 사애 민 어른【주현】께 올림(上沙厓閔丈【胄顯】)
- 겸와 민 어른【삼현】에게 올림(上謙窩閔丈【三顯】)
- 월고 조 어른【성가】께 올림(上月皐趙丈【性家】)
- 민 초토사【종렬】에게 올림(上閔招討使【種烈】)
- 심학 양 어른【상정】께 올림(上心學梁丈【相鼎】)
- 천천 양 어른께 올림(上泉川梁丈)
- 봉남 홍공【채문】에게 답함(答鳳南洪公【埰問】)
- 송암 오공【수화】에게 답함(答松庵吳公【壽華】)
- 지남 이공에게 답함【지호】(答芝南李公【贄鎬】)
- 소은 양공【두묵】에게 답함(答小隱梁公【斗黙】)
- 박공 도인에게 보냄【현수】(與朴公道仁【賢秀】)
- 송성뢰【치만】에게 답함(答宋聖賚【致萬】)
- 민자술에게 보냄【각】(興閔子述【㙾】)
- 위윤홍에게 답함【계횡】(答魏允弘【啓宖】)
- 정상집【재훈】에게 답함(答鄭相集【在勳】)
- 오점서【재홍】에게 답함(答吳漸瑞【在鴻】)
- 안여함【철환】에게 보냄(與安汝涵【澈煥】)
- 동지중추부사 박공【재원】에게 답함(答同樞朴公【在源】)
- 박치경【중순】에게 보냄(與朴致敬【重淳】)
- 윤형삼【자현】에게 답함(答尹亨三【滋鉉】)
- 민사선【응호】에게 답함(答閔士善【膺鎬】)
-
서(1)(書(1))
- 권3
-
-
서(2)(書(2))
- 김경범【석귀】에게 보냄(與金景範【錫龜】)
- 최원칙【숙민】에게 보냄(與崔元則【琡民】)
- 최원칙에게 보냄(與崔元則)
- 족형 백언【시림】에게 보냄(與族兄伯彦【時林】)
- 정후윤【재규】에게 답함(答鄭厚允【載圭】)
- 정후윤에게 답함(與鄭厚允)
- 정후윤에게 보냄(與鄭厚允)
- 정후윤에게 보냄(與鄭厚允)
- 정후윤에게 보냄(與鄭厚允)
- 정후윤에게 답함(答鄭厚允)
- 정후윤에게 보냄(與鄭厚允)
- 정후윤에게 보냄(與鄭厚允)
- 기회일【우만】에게 보냄(與奇會一【宇萬】)
- 기회일에게 보냄(與奇會一)
- 기회일에게 답함(答奇會一)
- 기회일에게 답함(答奇會一)
- 기회일에게 보냄(與奇會一)
- 기회일에게 보냄(與奇會一)
- 유성존【기일】에게 보냄(與柳聖存【基一】)
- 은곡 배공【상섭】에게 보냄(與隱谷裴公【相涉】)
- 김내선【우종】에게 보냄(與金乃善【佑鐘】)
- 박학중【인진】에게 보냄(與朴學中【麟鎭】)
- 박학중에게 보냄(與朴學仲)
- 박학중에게 보냄(與朴學仲)
- 박학중에게 보냄(與朴學仲)
- 조화일【영만】에게 보냄(與趙和一【泳萬】)
- 김풍오【현옥】에게 답함(答金豐五【顯玉】)
- 안행오【달삼】에게 보냄(與安行五【達三】)
- 김석문【시풍】에게 답함(答金錫文【時豊】)
- 이도민【승호】에게 답함(答李道敏【承灝】)
- 홍문현【우석】에게 답함(答洪文玄【祐錫】)
- 안여은【택환】에게 답함(答安汝恩【澤煥】)
- 송덕유【인식】에게 답함(答宋德裕【演植】)
- 문무일【재풍】에게 보냄(與文武一【載豊】)
- 문선일【재철】에게 보냄(與文善一【載轍】)
- 양대집【재성】에게 답함(答梁大集【在成】)
- 오의서【재봉】에게 보내는 별지(與吳儀瑞別紙【在鳳】)
- 양치도【선묵】에게 답함(答梁致道【善默】)
- 정치홍【기현】에게 보냄(與鄭致弘【琦鉉】)
- 황윤범【찬진】에게 답함(答黃允範【瓚鎭】)
- 박인여【준각】에게 답함(答朴仁汝【準珏】)
- 박인여에게 답함(答朴仁汝)
- 정경지【재홍】에게 답함(答鄭敬之【在洪】)
- 노화중【종구】에게 보냄(與盧和仲【鍾杓】)
- 황국서【계】에게 답함(答黃國瑞【稽】)
- 문흥서【재덕】에게 답함(答文興瑞【載德】)
- 임사범【권현】에게 답함(答任士範【德鉉】)
- 서원석【복기】에게 답함(答徐元陽【復基】)
- 안낙현【재성】에게 답함(答安樂賢【載性】)
- 윤치화【병현】에게 답함(答尹致化【秉鉉】)
- 손운숙【영렬】에게 답함(答孫雲叔【永烈】)
- 백내범【영후】에게 답함(答白乃範【永厚】)
- 박달화【태영】에게 답함(與朴達華【泰榮】)
- 양윤숙【증한】에게 답함(答梁允淑【曾瀚】)
- 김찬형【영환】에게 보냄(與金贊炯【永煥】)
- 기봉여【동익】에게 답함(答奇鳳汝【東翼】)
- 문원칙【성휴】에게 답함(答文元則【性休】)
- 정기홍【원현】에게 답함(答鄭琦弘【遠鉉】)
- 김치규【기수】에게 답함(答金穉圭【基洙】)
-
서(2)(書(2))
- 권4
-
-
서(3)(書(3))
- 정주윤【황규】에게 보냄(與鄭周允[冕圭])
- 정주윤에게 답함(答鄭周允)
- 문덕경【달환】에게 답함(答文德卿【達煥】)
- 홍한서【우진】에게 답함(答洪漢瑞【祐震】)
- 문익중【봉환】에게 답함(答文翊中【鳳煥】)
- 안순견【국정】에게 답함(答安舜見【國禎】)
- 안순견에게 답함(答安舜見)
- 안순견에게 보냄(與安舜見)
- 김백견【장석】에게 보냄(與金伯見【章錫】)
- 오위장 백윤집【호인】에게 답함(答五衛將白潤集【灝寅】)
- 양문오【규환】에게 보냄(與梁文吾【奎煥】)
- 이안중【태환】에게 보냄(餘李安仲【泰煥】)
- 김문견【규원】에게 답함(答金文見【奎源】)
- 안익견【인환】에게 보냄(與安益見【仁煥】)
- 박정삼【준원】에게 보냄(與朴正三【準元】)
- 권순경【운환】에게 보냄(與權舜卿【雲煥】)
- 이봉서【병섭】에게 답함(答李鳳瑞【秉燮】)
- 이봉서에게 답함(答李鳳瑞)
- 박윤삼【기태】에게 답함(答朴允三【淇台】)
- 김민오【병휘】에게 답함(答金玟五【柄輝】)
- 문집중【용환】에게 답함(答文集中【龍煥】)
- 위배운【계상】에게 답함(答魏拜雲【啓尙】)
- 정화중에게 답함(答鄭華中)
- 홍장여【형주】에게 보냄(與洪章汝【馨周】)
- 이화삼【기박】에게 보냄(與李華三【基璞】)
- 정구봉【재한】에게 보냄(與鄭玖鳳【在翰】)
- 김명언【만원】에게 답함(答金明彦【萬源】)
- 위서규【관식】에게 답함(答魏瑞圭【權植】)
- 김사행【윤수】에게 답함(答金士行【潤洙】)
- 이도상【승정】에게 답함(答李道常【承鼎】)
- 기도심【동일】에게 보냄(與奇道心【東一】)
- 고원여【광선】에게 답함(答高元汝【光善】)
- 형응칠【도열】에게 답함(答邢應七【道烈】)
- 강사성【인형】에게 답함(答姜士性【仁馨】)
- 양해심【회일】에게 보냄(與梁海心【會一】)
- 조평여【병헌】에게 답함(答趙平汝【秉憲】)
- 양순집【재해】에게 답함(答梁順集【在海】)
- 양순집에게 답함(答梁順集)
- 양순집에게 답함(答梁順集)
- 최석윤【영조】에게 보냄(與崔錫允【永祚】)
- 양여정【재경】에게 보냄(與梁汝正【在慶】)
- 양여정에게 보냄(與梁汝正)
- 윤우삼【자익】에게 보냄(與尹友三【滋益】)
- 김성중【권태】에게 보냄(與金誠中【權泰】)
- 박대규【규진】에게 답함(答朴大圭【奎鎭】)
- 박대규에게 답함(答朴大圭)
- 김사권【응배】에게 답함(答金士權【應培】)
- 노우언【창석】에게 보냄(與盧禹言【昌錫】)
- 조경문【인석】에게 답함(答趙景文【寅錫】)
- 염경유【재업】에게 답함(答廉敬儒【在業】)
- 구덕윤【익모】에게 보냄(與具德允【翼謨】)
- 위치주【계반】에게 답함(答魏玖周【啓泮】)
- 손사과【서진】에게 답함(答孫司果【瑞鎭】)
- 송영환【갑기】에게 답함(答宋永煥【甲基】)
- 김한숙【윤채】에게 보냄(與金漢淑【潤采】)
- 손자익【영모】에게 답함(答孫子翼【永謨】)
- 박기옥【기현】에게 보냄(與朴奇玉【琦鉉】)
- 김순좌【양현】에게 답함(答金舜佐【良鉉】)
- 강정행【의형】에게 보냄(與姜正行【義馨】)
- 양자함【재원】에게 답함(答梁子涵【在源】)
- 박양여【채동】에게 보냄(與朴亮汝【采東】)
- 양청일【재덕】에게 답함(答梁淸一【在德】)
- 양청일에게 답함(答梁淸一)
- 문세중【우식】에게 답함(答閔世仲【祐植】)
- 문낙서【범환】에게 답함(答文洛瑞【範煥】)
- 문인중【기환】에게 답함(答文仁仲【麒煥】)
- 홍정화【우택】에게 답함(答洪貞和【祐澤】)
- 이내권【승규】에게 보냄(與李乃權【承奎】)
-
서(3)(書(3))
- 권5
-
-
서(4)(書(4))
- 문계원【송규】에게 답함(答文啓元【頌圭】)
- 문계원에게 답함(答文啓元)
- 문계원에게 답함(答文啓元)
- 이광빈【기백】에게 답함(答李光彬【琪白】)
- 이광빈에게 답함(答李光彬)
- 이광빈에게 보냄(與李光彬)
- 이광빈에게 보냄(與李光彬)
- 이광빈에게 답함(答李光彬)
- 이광빈에게 보냄(與李光彬)
- 이광빈에게 답함(答李光彬)
- 권자후에게 답함(答權子厚)
- 안공삼【규용】에게 보냄(與安公三【圭容】)
- 이관여【승우】에게 답함(答李寬汝【承愚】)
- 이관여에게 답함(答李寬汝)
- 이옥견【현규】에게 답함(答李玉見【現圭】)
- 이옥견에게 답함(答李玉見)
- 이덕재【인환】에게 답함(答李德哉【仁煥】)
- 이덕재에게 보냄(與李德哉)
- 구첨여【혁모】에게 답함(答具瞻汝【赫謨】)
- 이광견【상백】에게 답함(答李光見【常白】)
- 이광견에게 답함(答李光見)
- 이광견에게 답함(答李光見)
- 이광견에게 보냄(與李光見)
- 배정일【흥묵】에게 답함(答裴正一【興黙】)
- 오영지【장섭】에게 답함(答吳永之【長燮】)
- 오영지에게 답함(答吳永之)
- 오영지에게 답함(答吳永之)
- 박이현【장현】에게 답함(答朴而顯【章鉉】)
- 김춘경【진호】에게 답함(答金春卿【震浩】)
- 양백후【유묵】에게 답함(答梁伯厚【維黙】)
- 홍윤심【승원】에게 답함(答洪允深【承源】)
- 홍윤심에게 답함(答洪允深)
- 위은필【상량】에게 답함(答魏殷弼【祥良】)
- 김윤여【규홍】에게 답함(答金允汝【奎洪】)
- 문경오【재희】에게 답함(答文敬五【載熙】)
- 홍문영【우진】에게 답함(答洪文寧【祐鎭】)
- 홍문영에게 답함(答洪文寧)
- 홍문영에게 답함(答洪文寧)
- 문자일【익호】에게 답함(答文子一【翼浩】)
- 홍영여【경주】에게 답함(答洪榮汝【慶周】)
- 정사형【치운】에게 답함(答鄭士亨【治運】)
- 안경윤【국조】에게 답함(答安景允【國祚】)
- 조명숙【병기】에게 답함(答曺明叔【秉冀】)
- 박백순【효동】에게 답함(答朴伯順【孝東】)
- 정운약【연규】에게 주다(與鄭雲躍【淵圭】)
- 문세원【제보】에게 주다(與文世元【濟普】)
- 홍이원【병희】에게 답함(答洪彛元【秉憙】)
- 이사온【기휴】에게 주다(與李士溫【基休】)
- 이사온에게 주다(與李士溫)
- 서성장【황】에게 답함(答徐聖章【璜】)
- 조대윤【석재】에게 답함(答曺大允【錫在】)
- 위치검【계온】에게 답함(答魏致儉【啓溫】)
- 김성언【상봉】에게 답함(答金聖彦【相奉】)
- 범선중【형식】에게 답함(答范善仲【瀅植】)
- 위운여【계룡】에게 답함(答魏雲汝【啓龍】)
- 위운여에게 답함(答魏雲汝)
- 이건칠【두환】에게 답함(答李建七【斗煥】)
- 위사열【계학】에게 답함(答魏士悅【啓學】)
- 안신오【홍석】에게 답함(答安信五【洪奭】)
- 위치균【계두】에게 답함(答魏致均【啓斗】)
- 조명유【승동】에게 주다(與曺明有【承東】)
- 박자선【희원】에게 답함(答朴子善【熙元】)
- 박원실【정현】에게 답함(答朴元實【鼎鉉】)
- 박찬길【태규】에게 답함(答朴贊吉【泰奎】)
- 위기문【계창】에게 답함(答魏岐文【啓昌】)
- 위치명【혁기】에게 답함(答魏致明【赫基】)
- 민방서【용혁】에게 주다(與閔邦瑞【用爀】)
- 이응장【헌수】에게 주다(與李應章【憲洙】)
- 이현오【원례】에게 답함(答李鉉五【原禮】)
- 유자중【치균】에게 답함(答柳子中【稚均】)
- 답함(與趙士欽【鏞肅】)
- 김윤길【찬배】에게 답함(答金允吉【燦培】)
- 전열경【태수】에게 답함(答田說卿【兌秀】)
- 임사함【태경】에게 주다(與林士涵【泰敬】)
- 방석두【덕흥】에게 주다(答方錫斗【德興】)
- 조응삼【동섭】에게 주다(與趙應三【東攝】)
- 김태유【기덕】에게 답함(答金泰輶【箕德】)
-
서(4)(書(4))
- 권6
-
-
서(5)(書(5))
- 양처중【회락】에게 주다(與梁處中【會洛】)
- 양처중에게 답함(答梁處中)
- 양처중에게 답함(答梁處中)
- 양처중에게 답함(答梁處中)
- 양처중에게 답함(與梁處中)
- 양처중에게 답함(答梁處中)
- 양처중에게 답함(答梁處中)
- 양 처중에게 답함(答梁處中)
- 양 처중에게 답함(答梁處中)
- 양 처중에게 답함(答梁處中)
- 양 처중에게 답함(答梁處中)
- 박경립【준기】에게 보냄(與朴景立【準基】)
- 박경립에게 답함(答朴景立)
- 박경립에게 답함(答朴景立)
- 박경립에게 보냄(與朴景立)
- 박경립에게 보냄(與朴景立)
- 박경립에게 보냄(與朴景立)
- 박경립에게 보냄(與朴景立)
- 박경립에게 보냄(與朴景立)
- 박경립에게 보냄(與朴景立)
- 박경립에게 보냄(與朴景立)
- 박경립에게 보냄(與朴景立)
- 박경립에게 보냄(與朴景立)
- 민자경【관호】에게 답함(答閔子敬【寬鎬】)
- 민자경(閔子敬)에게 답함(答閔子敬)
- 오여주【창호】에게 답함(答吳汝周【昌鎬】)
- 오여주에게 답함(答吳汝周)
- 오여주에게 답함(答吳汝周)
- 오여주에게 답함(答吳汝周)
- 오여주에게 답함(答吳汝周)
- 오여주에게 답함(答吳汝周)
- 윤계인【상린】에게 답함(答尹季仁【相麟】)
- 윤계인에게 답함(答尹季仁)
- 윤계인에게 답함(答尹季仁)
- 김자성【기경】에게 답함(答金子惺【箕敬】)
- 김자성에게 답함(答金子惺)
- 이선중【진휴】에게 보냄(與李善仲【進休】)
- 이선중에게 답함(答李善仲)
- 홍사증【승환】에게 답함(答洪士拯【承渙】)
- 홍사증에게 답함(答洪士拯)
- 홍사증에게 답함(答洪士拯)
- 홍사증에게 답함(答洪士拯)
- 홍사증에게 답함(答洪士拯)
- 홍사증에게 답함(答洪士拯)
- 홍사증에게 답함(答洪士拯)
-
서(5)(書(5))
- 권7
-
-
서(6)(書(6))
- 권군오【재규】에게 답함(答權君五【載奎】)
- 이명은【수근】에게 보냄(與李明恩【守桹】)
- 염경보【수학】에게 답함(答廉景甫【洙學】)
- 송자인【광수】에게 보냄(與宋子仁【光壽】)
- 송자인에게 보냄(與宋子仁)
- 조중직【필승】에게 답함(答曺仲直【弼承】)
- 조중직에게 답함(答曺仲直)
- 조중직에게 답함(答曺仲直)
- 조중직에게 답함(答曺仲直)
- 강자명【진섭】에게 답함(答姜子明【晉燮】)
- 강자명에게 답함(答姜子明)
- 권응소【봉현】에게 답함(答權應韶【鳳鉉】)
- 홍덕소【우용】에게 답함(答淇德韶【祐鏞】)
- 김의백【홍기】에게 답함(答金毅伯【弘基】)
- 김의백에게 답함(答金毅伯)
- 윤인부 【상의】에게 답함(答尹仁夫【相義】)
- 홍사영 【우경】에게 답함(答洪士瑩【祐璟】)
- 양종현【순묵】에게 드림(與梁宗賢【淳默】)
- 박인옥 【규병】에게 답함(答朴仁玉【揆秉】)
- 안두삼【규칠】에게 답함(答安斗三【圭七】)
- 조백연 【내룡】에게 답함(答趙伯淵【來龍】)
- 문인함 【재연】에게 보냄(與文仁涵【載淵】)
- 박세현 【기현】에게 보냄(與朴世顯【冀鉉】)
- 박세현에게 답함(答朴世顯)
- 이은상에게 보냄(與李殷祥)
- 문두일【창규】에게 답함(答文斗一【昌奎】)
- 문두일에게 답함(答文斗一)
- 김여회【승엽】에게 답함(答金汝晦【承燁】)
- 양중숙 【시묵】에게 답함(答梁仲淑【時默】)
- 안경백 【창섭】에게 답함(答安慶伯【昌燮】)
- 안경백에게 답함(答安慶伯)
- 안경백에게 답함(答安慶伯)
- 오경순 【재덕】에게 답함(答吳景純【在德】)
- 이경원 【기호】에게 답함(答李景元【基皓】)
- 양이경 【회덕】에게 답함(答梁而敬【會德】)
- 이인보 【장환】에게 답함(答李仁甫【長煥】)
- 안경우 【규석】에게 답함(答安景禹【圭錫】)
- 민자직【영하】에게 답함(答閔子直【泳夏】)
- 범화일【원식】에게 답함(答范華一【瑗植】)
- 조중락【내귀】에게 답함(答趙仲洛【來龜】)
- 조사현【옥승】에게 답함(答曺士賢【玉承】)
- 박덕장 【병규】에게 답함(答朴德璋【炳圭】)
- 백자행【경인】에게 답함(答白子行【景寅】)
- 백자행에게 답함(答白子行)
- 이치경【수혁】에게 답함(答李致慶【洙爀】)
- 김기홍【영국】에게 답함(答金箕洪【榮國】)
- 박관보 【용동】에게 답함(答朴寬甫【容束】)
- 박문화 【노삼】에게 답함(答朴文華【魯三】)
- 정도윤【유흠】에게 답함(答鄭道允【瑜欽】)
- 안경삼 【규용】에게 답함(答安敬三【圭容】)
- 김미중【경환】에게 답함(答金美中【絅煥】)
- 박선장【인동】에게 답함(答朴善長【仁東】)
- 민사원 【병춘】에게 답함(答閔士元【內春】)
- 김응칠 【권주】에게 답함(答金應七【權柱】)
- 백경행 【봉흠】에게 답함(答白景行【奉欽】)
- 양중함【회철】에게 답함(答梁仲涵【會澈】)
-
서(6)(書(6))
- 권8
-
-
서(7)(書(7))
- 황경함 【철원】에게 답함(答黃景涵【澈源】)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 황경함에게 보냄(與黃景涵)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 황경함에게 보냄(與黃景涵)
- 황경함에게 보냄(與黃景涵)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 보냄(如黃景涵)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 정사옥 【순진】에게 답함(答鄭士玉【淳珍】)
- 정사옥에게 답함(答鄭士玉)
- 정사옥에게 답함(答鄭士玉)
- 정사옥에게 답함(答鄭士玉)
- 정사옥에게 답함(答鄭士玉)
- 권범회 【춘식】에게 답함(答權範晦【春植】)
- 권범회에게 답함(答權範晦)
- 권범회에게 답함(答權範晦)
-
서(7)(書(7))
- 권9
-
-
서(8)(書(8))
- 정경회 【재혁】에게 답함(答鄭景晦【在爀】)
- 오양로 【재동】에게 답함(答吳陽路【在東】)
- 오양로에게 보냄(與吳陽路)
- 오양로에게 보냄(與吳陽路)
- 박직부(朴直夫) : 박경동(朴敬東, 1879~?)을 말한다. 자는 직부, 호는 신암(愼庵),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정의림의 문인이다.(與朴直夫【敬東】)
- 박직부에게 보냄(與朴直夫)
- 박직부에게 보냄(與朴直夫)
- 배사원 【치묵】에게 답함(答裴士遠 【致黙】)
- 배사원에게 답함(答裴士遠)
- 박악경【안상】에게 보냄(與朴樂卿【顔相】)
- 박경문 【준규】에게 답함(答朴景文【準奎】)
- 안사앙 【종섭】에게 답함(答安士仰【宗燮】)
- 이여행 【건신】에게 답함(答李汝行【建信】)
- 이미중 【찬호】에게 보냄(與李美中【燦鎬】)
- 오보경【치상】에게 답함(答呉輔慶【治相】)
- 문사일【경식】에게 답함(答文士一【敬植】)
- 문사일에게 답함(答文士一)
- 김사길【운형】에게 답함(答金士吉【潤亨】)
- 김사길에게 답함(答金士吉)
- 문자성【형】에게 답함(答文子惺【炯】)
- 문자성에게 답함.(答文子惺)
- 문자성에게 답함.(答文子惺)
- 문자성에게 답함(答文子惺)
- 박원방【병해】에게 답함(答朴源方【炳海】)
- 황신여【승현】에게 답함(答黃新汝【承顯】)
- 박구경【의동】에게 답함(答朴允敬【義東】)
- 강자겸【익섭】에게 답함(答姜子謙【益變】)
- 강자겸에게 답함.(答姜子謙)
- 박자언【준동】에게 답함(答朴子彦【俊東】)
- 안양립【홍섭】에게 답함(與安良立【弘燮】)
- 안양립에게 답함(答安良立)
- 안양립에게 답함(答安良立)
- 정사준【도흠】에게 답함(答鄭士遵【道欽】)
- 정사준에게 답함(答鄭士遵)
- 조형선【병례】에게 답함(答曺亨善【秉禮】)
- 이태경【정원】에게 답함(答李泰卿【正遠】)
- 위심숙에게 답함(答魏心叔)
- 형사수【시풍】에게 답함(答邢士綏【時豐】)
- 변치도【종국】에게 답함(答邊致道【鎭國】)
- 위낙범【홍량】에게 답함(答魏洛範【洪良】)
- 백학경【교인】에게 답함(答白學卿【敎寅】)
- 김광숙【형기】에게 답함(答金光淑【炯基】)
- 이사경【은환】에게 답함(答李士敬【殷煥】)
- 위과경【석량】에게 답함(答魏果卿【碩良】)
- 김낙원【영희】에게 답함(答金樂元【泳喜】)
- 황정후【열주】에게 답함(答黃正厚【悅周】)
- 박응순【윤원】에게 주다(與朴應舜【潤瑗】)
- 김여경【영주】에게 답함(答金汝擎【永柱】)
- 고경부【익주】에게 답함(答高經夫【翊柱】)
- 심경회【상복】에게 답함(答沈景晦【相福】)
- 박형숙【환현】에게 답함(答朴亨叔【恒鉉】)
- 정덕균【태중】에게 답함(答丁德均【泰重】)
- 장우범【기홍】에게 답함(答張禹範【基洪】)
- 위정부【성규】에게 답함(答魏定夫【性奎】)
- 김윤희【선배】에게 답함(答金允憙【善培】)
- 이자겸【태휴】에게 답함(答李子謙【泰休】)
- 김종일【석주】에게 답함(答金宗一【錫柱】)
- 정자성【복현】에게 답함(答鄭子成 【福鉉】)
-
서(8)(書(8))
- 권10
-
-
서(9)(書(9))
- 임우경【태주】에게 답함(答任宇卿【泰桂】)
- 임우경에게 답함(答任宇卿)
- 임우경에게 답함(答任宇卿)
- 임우경에게 답함(答任宇卿)
- 위형신【대량】에게 답함(答魏亨信【大良】)
- 위형신에게 답함(答魏亨信)
- 송사적【종민】에게 답함(答宋士眞【淙珉】)
- 정운여【순룡】에게 답함(答鄭雲汝【淳龍】)
- 오세경【치도】에게 답함(答吳世卿【治道】)
- 양자선【청묵】에게 답함(答梁子善【淸黙】)
- 김이수【덕희】에게 답함(答金而修【德熙】)
- 정순문【규덕】에게 답함(答裵純文【奎悳】)
- 배순문에게 답함(答裵純文)
- 윤자운【정섭】에게 답함(答尹子運【定燮】)
- 박공유【준근】에게 답함(答朴公瑜【準瑾】)
- 김중집【제윤】에게 답함(答金中執【濟允】)
- 구사문【교신】에게 답함(答具士文【敎信】)
- 조태경【중엽】에게 답함(答曺泰卿【重燁】)
- 김숙견【용희】에게 답함(答金叔見【龍熙】)
- 김숙견에게 답함(答金叔見)
- 정원실【현채】에게 답함(答鄭元實【現采】)
- 정원실에게 답함(答鄭元實)
- 이덕수【승복】에게 답함.(答李德受【承福】)
- 김대경【종기】에게 답함(答金大敬【鍾基】)
- 김원식【경환】에게 답함(答金元直【敬煥】)
- 민자중【병두】에게 답함(答閔子仰【丙斗】)
- 정원경【현춘】에게 주다(與鄭元卿【鉉春】)
- 정원경에게 주다(與鄭元卿)
- 박명진【병기】에게 답함(答朴明振【炳起】)
- 문제경에게 답함(答文【濟敬】)
- 박문일【장동】에게 답함(答朴文一【章東】)
- 박성오【문채】에게 답함(答朴成五【文采】)
- 박내영【영주】에게 답함(答朴乃英【瑩柱】)
- 문사중【형식】에게 답함(答文士中【炯植】)
- 문태언【순준】에게 답함(答文泰彦【淳俊】)
- 정윤명【순진】에게 답함(答鄭允明【淳進】)
- 박원장【선동】에게 답함(答朴元長【善東】)
- 박중덕【명동】에게 답함(答朴仲德【明東】)
- 박사문【규동】에게 답함(答朴士文【奎東】)
- 박사홍【기용】에게 답함(答朴士洪【淇容】)
- 박공즙【제동】에게 답함(答朴公楫【濟東】)
- 박윤원【노정】에게 답함(答朴允元【魯貞】)
- 손원철【정선】에게 답함(答孫元哲【正宣】)
- 장우경【기주】에게 답함(答張宇卿【基柱】)
- 김성천【병용】에게 답함(答全性天【炳鎔】)
- 황공직【호원】에게 답함(答黃公直【浩源】)
- 윤사원【형섭】에게 답함(答尹士元【亨燮】)
- 임경행【재선】에게 답함(答林敬行【載善】)
- 정공서【린채】에게 답함.(答鄭孔瑞【麟采】)
- 문명욱【재규】에게 답함(答文明旭【在奎】)
- 오선장【재원】에게 답함(答吳善長【在元】)
- 구윤장【병우】에게 답함(答具允長【秉祐】)
- 이내형【남헌】에게 답함(答李乃亨【南憲】)
- 장원지【창현】에게 답함(答張沅祉【昌鉉】)
- 윤성도【동오】에게 답함(答尹性道【秉午】)
- 양사온【재옥】에게 답함(答梁士蘊【在玉】)
- 박경해【문규】에게 답함(答朴景行【文奎】)
- 칠송순강회에 답하다(答七松旬講會)
- 보인회에 답하다【황열주, 문형식, 마종하, 문면식】(答輔仁會【黃悅周 文炯植 馬琮河 文冕植】)
- 종제 경방【창림】에게 답함(與從弟敬方【昌林】)
- 종제 경방에게 답함(答從弟敬方)
- 친척 어른 치은【기】에게 보냄(與族丈致殷【璣】)
- 족숙인 경수【제은】에게 보냄(與族叔景受【濟殷】)
- 족숙 달경【제겸】에게 보냄(與族叔達鄕【濟謙】)
- 친척 덕원【한필】에게 답함(答宗人德源【漢珌】)
- 친척 대지【창진】에게 답함(答宗人大智【昌鎭】)
- 친척 도명【위석】에게 답함(答宗人道明【暐錫】)
- 친척 평일【준석】에게 답함(答宗人平一【準錫】)
- 집안 아들에게 부치다【상묵】(寄家兒【尙黙】)
- 집안 아들에게 보임(示家兒)
- 종질 상덕에게 답함(答從姪尙德)
- 종질 상덕에게 답함(答從姪尙德)
- 손자 헌에게 보냄(寄憲孫)
- 손자 헌에게 보냄(寄憲孫)
- 손자 헌에게 보냄(寄憲孫)
- 손자 헌에게 보냄.(寄憲孫)
- 사위 홍관식에게 보냄(與洪甥寬植。)
- 사위 김윤섭에게 보냄(與金甥潤燮)
- 외손자 송병기에게 보냄(與宋外孫秉基)
-
서(9)(書(9))
- 권12
-
-
잡저(雜著)
- 동지들에게 적어 보이다(書示諸同志)
- 호상기우록(湖上奇遇錄)
- 〈기우록〉을 읽고 감회가 일어 적다(閱奇遇錄有感而記)
- 일지록(日誌錄)
- 영남 열읍의 유생들에게 통고하는 글(通告嶺南列邑章甫文)
- 호남 열읍의 유생들에게 통고하는 글(通告湖南列邑章甫文)
- 장성 회소의 통문에 답하는 글(答通長城會所文)
- 최이앙 제태 에게 증정하다(奉贈崔而仰【濟泰】)
- 민군 자식에게 지어 주다(題贈閔君子直)
- 오영지의 자에 대한 설(吳永之字說)
- 홍사증에게 적어 보이다(書示洪士拯)
- 민자경에게 적어 보이다(書示閔子敬)
- 박경립의 자에 대한 설(朴景立字說)
- 황경함에게 써 보이다(書示黃景涵)
- 오여주에게 써 주다(書贈吳汝周)
- 오경배의 자에 대한 설(吳景拜字說)
- 오양로에게 써 보이다(書示吳陽路)
- 안양립에게 써 주다(書贈安良立)
- 김숙견에게 써 주다(書贈金叔見)
- 박백순의 자에 대한 설(朴伯順字說)
- 조중직의 자에 대한 설(曺仲直字說)
- 김자성에게 써 주다(書贈金子惺)
- 송자인의 자에 대한 설(宋子仁字說)
- 박자신의 자에 대한 설(朴子愼字說)
- 박덕장의 자에 대한 설(朴德璋字說)
- 윤인부에게 적어 보이다(書示尹仁夫)
- 김의백의 자에 대한 설(金毅伯字說)
- 정원경의 자에 대한 설(鄭元卿字說)
- 배순문의 자에 대한 설(裴純文字說)
- 이인보의 자에 대한 설(李仁父字說)
- 이신여 승일 에게 써 주다(書贈李信汝【承一】)
- 위과경의 자에 대한 설(魏果卿字說)
- 박원실의 자에 대한 설(朴元實字說)
- 문자일의 자에 대한 설(文子一字說)
- 조중락에게 써서 주다(書贈趙仲洛)
- 영귀정 별동연의 벗들에게(詠歸亭別同硏諸友)
- 위심숙의 자에 대한 설(魏心叔字說)
- 박선장의 자에 대한 설(朴善長字說)
- 위운여의 자에 대한 설(魏雲汝字說)
- 구사문에게 써서 주다(書贈具士文)
- 김주경의 자에 대한 설(金周卿字說)
- 안경우에게 써서 주다(書贈安景禹)
- 문세원에게 부쳐 보내다(寄贈文世元)
- 안자용의 자에 대한 설(安子容字說)
- 조태경에게 써서 주다(書贈曺泰卿)
- 박 부장 경수 희준 에게 주다(贈朴部將敬秀【熙俊】)
- 김생 형중 권하 에게 주다(贈金生亨仲【權夏】)
- 문경오의 자에 대한 설(文敬五字說)
- 입각설, 배사원에게 보이다(立脚說示裴士遠)
- 신성선 성균 에게 써서 주다(書贈申晟善【性均】)
- 고성여 정주 에게 써서 주다(書贈高聲余【玎柱】)
- 이자경 승연 에게 써서 주다(題贈李子警【承淵】)
-
잡저(雜著)
- 권13
-
-
잡저(雜著)
- 절작변무문(節酌辨誣文)
- 문 수재 재연 에게 주다(贈文秀才【載淵】)
- 오윤명의 자설(吳允明字說)
- 화문 종채 의 자설(孫和聞字說【鍾彩】)
- 귀순에게 써서 주다(書贈金龜淳)
- 고경부에게 주다(書贈高經夫)
- 강여명과 유계뢰, 하로익에게 써서 주다(書贈姜汝明柳季雷河魯益)
- 최군 순약에게 써서 주다(書贈崔君淳若)
- 박관보의 자설(朴寬甫字說)
- 정사준의 자설(鄭士遵字說)
- 이사온의 자설(李士溫字說)
- 안경백의 자설(安慶伯字說)
- 안사앙의 자설(安士仰字說)
- 사옥의 자설(士沃字說)
- 김덕윤의 자설(金德潤字說)
- 정군 선경에게 주다(贈鄭君善敬)
- 김우언의 자설(金禹言字說)
- 위정부에게 써서 주다(書贈魏定夫)
- 이생 원경의 자설(李生元敬字說)
- 홍사증의 자설(洪士拯字說)
- 사칠설을 황경함에게 보여주다(四七說示黃景涵)
- 문자성에게 써 주다(書贈文子惺)
- 신안사에 머물며 김군식에게 써 주다(留新安社。書贈金君式。)
- 박인수의 자설(朴仁叟字說)
- 위형신에게 써 주다(書贈魏亨信)
- 송사덕의 자설(宋士德字說)
- 위사열에게 써서 주다(書贈魏士悅)
- 손자 헌규가 친영할 때의 초사(孫兒憲圭親迎時醮辭)
- 문기서의 자설(文岐瑞字說)
- 홍희중의 자설(洪希中字說)
- 이군 회부 중기 에게 써서 주다(書贈李君晦夫【中基】)
- 조원규의 자설(曺元圭字說)
-
서(序)
- 《교채와유고》 서문(咬菜窩遺稿序)
- 《정씨세고》 서문(鄭氏世稿序)
- 《무사재유고》 서문(無邪齋遺稿序)
- 《영귀회안》 서문(詠歸會案序)
- 《풍양조씨파보》 서문(豊壤趙氏派譜序)
- 《양건당집》 서문(兩蹇堂集序)
- 《지남유고》 서문(芝南遺稿序)
- 《만희집》 부록의 서문(晩羲集附錄序)
- 《산남 김공 진의록》 서문(山南金公振義錄序)
- 《송암유고》 서문(松庵遺稿序)
- 《향약안》 서문(鄕約案序)
- 《죽림유고》 서문(竹林遺稿序)
- 《우재유고》 서문(愚齋遺稿序)
- 관서로 돌아가는 김군 성유를 송별하는 서문(送金君聖惟歸關西序)
- 《오상회안 서문》(五常會案序)
- 《가승동동안》 서문(佳勝洞洞案序)
- 《용한유고》 서문(容閒遺稿序)
- 《신암유고》 서문(愼庵遺稿序)
- 한북으로 가는 양순집을 전송하는 서문(送梁順集往漢北序)
- 정경회와 김익부를 전송하는 소서(送鄭景晦金翼夫小序)
- 권자인과 권응조 두 군에게 써 준 서문(贈權子仁應韶二君序)
- 《경주김씨가승》 서문(慶州金氏家乘序)
- 욕천으로 돌아가는 최군 자옥에게 써 준 서문(贈崔君子玉歸浴川序)
- 《보성오씨 보의회안》 서문(寶城吳氏輔誼會案序)
- 정군 운약에게 써 준 서문(贈鄭君雲躍序)
- 《운암유고》 서문(雲巖遺稿序)
- 조이경에게 써 준 서문(贈曺彛卿序)
- 《흥학회안》 서문(興學會案序)
- 《예동노인수연시집》의 서문(禮洞老人壽筵詩輯序)
- 《풍욕회안》 서문(風浴會案序)
- 《희암사우간독》 서문(希庵師友簡牘序)
- 《조씨모선록》 서문(曺氏慕先錄序)
- 《제야시집》 서문(除夜詩集序)
- 《자학회안》 서문(資學會案序)
-
잡저(雜著)
- 권14
-
-
기(記)
- 영귀정기(詠歸亭記)
- 일휴당 선생 최공 정려중수기(日休堂先生崔公旌閭重修記)
- 양건당 황공 정려중수기(兩蹇堂黃公旌閭重修記)
- 밀양 박씨 영모재 중수기(密陽朴氏永慕齋重修記)
- 우인당기(愚忍堂記)
- 우헌기(愚軒記)
- 송하기(松下記)
- 송봉기(松峯記)
- 토암기(土庵記)
- 만은재기(晩隱齋記)
- 낙청헌기(樂淸軒記)
- 단계기(丹溪記)
- 상산재기(觴山齋記)
- 죽하기(竹下記)
- 우헌기(愚軒記)
- 덕신재기(德新齋記)
- 담와기(澹窩記)
- 죽탄기(竹灘記)
- 회헌기(悔軒記)
- 만오당기(晩悟堂記)
- 간송재기(澗松齋記)
- 학헌기(鶴軒記)
- 오봉기(五峯記)
- 목미정기(木美亭記)
- 덕와기(德窩記)
- 덕헌기(德軒記)
- 간재기(澗齋記)
- 정재기(靜齋記)
- 효자 송암 오공 정려기(孝子松庵呉公旌閭記)
- 만취헌기(晚翠軒訣)
- 우재기(愚齋記)
- 겸와기(謙窩記)
- 남계기(藍溪記)
- 대은기(臺隱記)
- 경독재기(耕讀齋記)
- 동계정기(東溪亭記)
- 해은기(海隱記)
- 망화대기(望華臺記)
- 증 교관 양 효자 정려기(贈教官粱孝子旌閭記)
- 구씨 영모재 중수기(具氏永慕齋重修記)
- 삼파기(三坡記)
- 서헌기(瑞軒記)
- 성헌기(省野記)
- 난계기(蘭溪記)
- 석오기(石梧記)
- 죽오기(竹塢記)
- 서헌기(瑞軒記)
- 삼천기(三川記)
- 춘탄기(春灘記)
- 신묵재기(愼默齋記)
- 송탄기(松灘記)
- 옥연정기(玉蓮亭記)
- 옥산기(玉山記)
- 하산기(霞山記)
- 농헌기(農軒記)
- 묵암기(黙庵記)
- 성재기(惺齋記)
- 효자 최공 정려기(孝子崔公旌閭記)
- 김 효자 정려기(金孝子旌閭記)
- 경재기(敬齋記)
- 금포기(錦圃記)
- 남휘당기(覽輝堂記)
- 화은기(華隱記)
- 돈암기(遯庵記)
- 신암기(愼庵記)
- 수사재기(修俟齋記)
- 한수재기(寒守齋記)
- 송정기(松汀記)
- 고 효자 풍양 조공 병희 병필 정려기(故孝子豐壤趙公【秉熙秉弼】旌閭記)
- 치암기(耻庵記)
- 지헌기(止軒記)
- 성와기(醒窩記)
-
기(記)
- 권15
-
-
발(跋)
- 노사 선생의 《답문류편》 발문(蘆沙先生答問類編跋)
- 《돈재집》 발문(遯齋集跋)
- 〈하동 정씨 쌍효 정려기〉 뒤에 쓰다(書河東鄭氏雙孝旌閭記後)
- 〈정와 정공 가장〉 뒤에 적다(題靜窩鄭公家狀後)
- 〈조 효자 경수 사실〉 뒤에 적다(題曺孝子【暻洙】事實後)
- 〈학헌 김공 가장〉 뒤에 적다(題鶴軒金公家狀後)
- 〈괴암 김공 가장〉 뒤에 쓰다(書槐庵金公家狀後)
- 〈밀양 박씨 변정세계서〉 뒤에 쓰다(書密陽朴氏辨正世系序後)
- 《봉남유고》 발문(鳳南遺稿跋)
- 〈회와 박공 가장〉 뒤에 적다(題悔窩朴公家狀後)
- 〈만회옹전〉 뒤에 쓰다(書晩悔翁傳後)
- 《안정 박공 실기》 뒤에 적다(題安亭朴公實記後)
- 권범회의 《이택회첩》 뒤에 쓰다(書權範晦麗澤會帖後)
- 황경함의 《암간우록》 뒤에 쓰다(題黃景涵巖間偶錄後)
- 명(銘)
- 사(辭)
- 찬(贊)
- 상량문(上樑文)
- 축문(祝文)
-
발(跋)
- 권16
-
-
제문(祭文)
- 노사 선생에 대한 제문(祭蘆沙先生文)
- 족대부 석당 선생에 대한 제문(祭族大父石塘先生文)
- 무사재 박 선생에 대한 제문(祭無邪齋朴先生文)
- 중암 김 어른에 대한 제문(祭重庵金丈文)
- 면암 최 어른에 대한 제문(祭勉庵崔丈文)
- 계남 최원칙에 대한 제문(祭溪南崔元則文)
- 사애 민 참판에 대한 제문(祭沙厓閔參判文)
- 애일당 김공에 대한 제문(祭愛日堂金公文)
- 대곡 김경범에 대한 제문(祭大谷金景範文)
- 장흥 부사 박공 헌양 에 대한 제문(祭長興府使朴公【憲陽】文)
- 봉남 홍공에 대한 제문(祭鳳南洪公文)
- 송암 오공에 대한 제문(祭松庵吳公文)
- 명촌 황 처사 기현에 대한 제문(祭明村黃處士【紀顯】文)
- 죽포 양공에 대한 제문(祭竹圃梁公文)
- 만우헌 양공 재욱 에 대한 제문(祭萬愚軒梁公【在郁】文)
- 지남 이공에 대한 제문(祭芝南李公文)
- 안공 시에 대한 제문(祭安公【梘】文)
- 박학중에 대한 제문(祭朴學中文)
- 양공 주환에 대한 제문(祭梁公【周煥】文)
- 벗 안순견에 대한 제문(祭安友舜見文)
- 죽파 오공에 대한 제문(祭竹坡吳公文)
- 문계원에 대한 제문(祭文啓元文)
- 정치홍에 대한 제문(祭鄭致弘文)
- 오남 김공 한섭에 대한 제문(祭吾南金公【漢燮】文)
- 조태빈에 대한 제문(祭趙泰彬文)
- 조원홍 인환 에 대한 제문(祭曺元弘【仁煥】文)
- 송덕유에 대한 제문(祭宋德裕文)
- 박정삼에 대한 제문(祭朴正三文)
- 문익중에 대한 제문(祭文翊中文)
- 홍문현에 대한 제문(祭洪文玄文)
- 윤형삼에 대한 제문(祭尹亨三文)
- 문집중에 대한 제문(祭文集仲文)
- 이광빈에 대한 제문(祭李光彬文)
- 노우언에 대한 제문(祭盧禹言文)
- 배정일에 대한 제문(祭裴政一文)
- 권자후에 대한 제문(祭權子厚文)
- 이응장에 대한 제문(祭李應長文)
- 김백현에 대한 제문(祭金伯顯文)
- 양해심에 대한 제문(祭梁海心文)
- 족형 자정에 대한 제문(祭族兄子定文)
- 비(碑)
-
묘갈명(墓碣銘)
- 충의위 연정 이공 묘지명(忠義衛蓮汀李公墓碣銘)
- 증 호조 참판 경신암 오공 묘갈명(贈戶曹參判敬愼庵吳公墓碣銘)
- 증 통훈대부 사복시 정 경헌 홍공 묘갈명(贈通訓大夫司僕寺正敬軒洪公墓碣銘)
- 증 통정대부 승정원 좌승지 외재 김공 묘갈명(贈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畏齋金公墓碣銘)
-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손공 묘갈명(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孫公墓碣銘)
- 석남 손공 묘갈명(石南孫公墓碣銘)
- 증 통훈대부 군자감 정 청계 조공 묘갈명(贈通訓大夫軍資監正淸溪趙公墓碣銘)
- 학생 김공 묘갈명(學生金公墓碣銘)
- 유인 이씨 묘갈명(孺人李氏墓碣銘)
- 통덕랑 둔와 박공 묘갈명(通德郞遯窩朴公墓碣銘)
- 가선대부 행 전라도좌우후 조공 묘갈명(嘉善大夫行全羅道左虞侯趙公墓碣銘)
-
제문(祭文)
- 권17
-
-
묘지명(墓碣銘)
- 좌승지 상덕재 선생 최공 묘지명(左承旨尙德齋先生崔公墓誌銘)
- 모정 형공 묘지명(茅汀邢公墓誌銘)
- 만희당 처사 홍공 묘지명(晩喜堂處士洪公墓誌銘)
- 도곡 형공 묘지명(道谷邢公墓誌銘)
- 죽정 문공 묘지명(竹汀文公墓誌銘)
- 송암 김공 묘지명(松巖金公墓誌銘)
- 금방 안공 묘지명(錦舫安公墓誌銘)
- 사헌부 감찰 강공 묘지명(司憲府監察姜公墓誌銘)
- 겸와 민공 묘지명(謙窩閔公墓誌銘)
- 농헌 권공 묘지명(聾軒權公墓誌銘)
- 유헌 처사 김공 묘지명(榴軒處士金公墓誌銘)
- 해남 현감 박공 묘지명(海南縣監朴公墓誌銘)
- 야은 기공 묘지명(野隱奇公墓誌銘)
- 증 병조 참의 천은 조공 묘지명(贈兵曹參議泉隱趙公墓誌銘)
- 약포 이공 묘지명(藥圃李公墓誌銘)
- 동학 교수 이당 박공 묘지명(東學敎授梨堂朴公墓誌銘)
- 둔암 처사 고공 묘지명(遯庵處士高公墓誌銘)
- 호은 황공 묘지명(湖隱黃公墓誌銘)
- 유인 이씨 묘지명(孺人李氏墓誌銘)
- 통훈대부 한성부 판관 김공 묘지명(通訓大夫漢城府判官金公墓誌銘)
- 호조 참판 난계 최공 묘지명(戶曹參判蘭溪崔公墓誌銘)
- 경재 고공 묘지명(敬齋高公墓誌銘)
- 율재 김공 묘지명(栗齋金公墓誌銘)
- 신재 정공 묘지명(莘齋鄭公墓誌銘)
- 찰방 매곡 최공 묘지명(察訪梅谷崔公墓誌銘)
- 통정대부 성재 고공 묘지명(通政大夫惺齋高公墓誌銘)
- 운곡 최공 묘지명(雲谷崔公墓誌銘)
- 제용감 첨정 약포 조공 묘지명(濟用監僉正樂圃曺公墓誌銘)
- 묵와 정공 묘지명(黙窩鄭公墓誌銘)
- 숙부인 강씨 묘지명(淑夫人姜氏墓誌銘)
- 고 학생 청계 최군 묘지명(故學生淸溪崔君墓誌銘)
- 춘탄 처사 구공 묘지명(春灘處士具公墓誌銘)
- 퇴정 처사 문공 묘지명(退亭處士文公墓誌銘)
- 통훈대부 사헌부 감찰 문산재 박군 묘지명(通訓大夫司憲府監察文山齋朴君墓誌銘)
- 경암 정공 묘지명(敬庵鄭公墓誌銘)
- 묘표(墓表)
-
묘지명(墓碣銘)
- 권18
-
-
행장(1)(行狀(1))
- 조고 통정대부 부군 행장(祖考通政大夫府君行狀)
- 백부 부호군 부군 행장(伯父副護軍府君行狀)
- 선고 부호군 부군 행장(先考副護軍府君行狀)
- 선비 유인 박씨 행장(先妣孺人朴氏行狀)
- 백파 김 상사 행장(白波金上舍行狀)
- 사재 선생 문공 행장(思齋先生文公行狀)
- 죽와 홍공 행장(竹窩洪公行狀)
- 농은 오공 행장(農隱吳公行狀)
- 훈련원 봉사 농은 민공 행장(訓錬院奉事農隱閔公行狀)
- 낙청헌 처사 위공 행장(樂淸軒處士魏公行狀)
- 이조 정랑 죽림 황공 행장(吏曹正郞竹林黃公行狀)
- 봉남헌 홍공 행장(鳳南軒洪公行狀)
- 지남 처사 이공 행장(芝南處士李公行狀)
- 죽계 홍공 행장(竹溪洪公行狀)
- 덕림재 안공 행장(德林齋安公行狀)
- 인재 기공 행장(忍齋奇公行狀)
- 숙부인 구씨 행장(淑夫人具氏行狀)
- 송암 오공 행장(松庵吳公行狀)
- 증 가선대부 호조참판 묵계 박공 행장(贈嘉善大夫戶曹參判黙溪朴公行狀)
- 죽와 처사 문공 행장(竹窩處士文公行狀)
- 증 가선대부 이조참판 만회당 윤공 행장(贈嘉善大夫吏曹參判晩悔堂尹公行狀)
- 통정대부 행 능주군수 손공 행장(通政大夫行綾州郡守孫公行狀)
- 취호 처사 이공 행장(醉湖處士李公行狀)
- 화암 처사 이공 행장(華庵處士李公行狀)
- 회신재 이공 행장(懷愼齋李公行狀)
-
행장(1)(行狀(1))
- 권19
-
-
행장(2)(行狀(2))
- 농암 홍공 행장(聾庵洪公行狀)
- 오계 문공 행장(梧溪文公行狀)
- 우인당 박공 행장(愚忍堂朴公行狀)
- 송하 처사 안공 행장(松下處士安公行狀)
- 용암 처사 김공 행장(龍巖處士金公行狀)
- 묵양재 양공 행장(黙養齋梁公行狀)
- 간재 처사 이공 행장(澗齋處士李公行狀)
- 유인 광산 이씨 행장(孺人光山李氏行狀)
- 죽계 조공 행장(竹溪曺公行狀)
- 만취헌 정공 행장(晩翠軒鄭公行狀)
- 기은 정공 행장(箕隱鄭公行狀)
- 유인 함양 박씨 행장(孺人咸陽朴氏行狀)
- 학생 문공 행장(學生文公行狀)
- 경헌 이군 행장(敬軒李君行狀)
- 통훈대부 칠원 현감 퇴은 안공 행장(通訓大夫漆原縣監退隱安公行狀)
- 전(傳)
-
행장(2)(行狀(2))
- 권20
-
-
유사(遺事(1))
- 증 병조 참판 행 부산 첨사 오공 유사장(贈兵曹參判行釜山僉使吳公遺事狀)
- 증 가선대부 호조참의 매죽헌 박공 유사장(贈嘉善大夫戶曹參議梅竹軒朴公遺事狀)
- 증 통정대부 좌승지 매곡 정공 유사장(贈通政大夫左承旨梅谷鄭公遺事狀)
- 계은 오공 유사장(溪隱吳公遺事狀)
- 성균관 대사성 신재 조공 유사장(成均館大司成愼齋趙公遺事狀,)
- 증 병조참판 행 군자감 주부 백담 최공 유사장(贈兵曹參判行軍資監主簿柏潭崔公遺事狀)
- 호은처사 위공 유사장(湖隱處士魏公遺事狀)
- 증 동몽교관 조봉대부 운와 처사 정공 유사장(贈童蒙敎官朝奉大夫雲窩處士鄭公遺事狀。)
- 계암 박공 유사장(溪庵朴公遺事狀)
- 양한당 윤공 유사장(養閒堂尹公遺事狀)
- 은곡 처사 배공 유사장(隱谷處士裴公遺事狀)
- 동중추 고공 유사장(同中樞高公遺事狀)
- 초은 손공 유사장(楚隱孫公遺事狀)
- 묵재 이공 유사장(默齋李公遺事狀)
-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용한 오공 유사장(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容閒吳公遺事狀)
- 희암 처사 조공 유사장(希庵處士趙公遺事狀)
- 계암 조공 유사장(溪庵曺公遺事狀)
- 구심재 정공 유사장(求心齋鄭公遺事狀)
- 증 좌승지 송류정 민공 유사장(贈左承旨松柳亭閔公遺事狀)
- 돈재 조공 사실(遯齋曺公事實)
- 벽람재 정공 유사장(碧嵐齋鄭公遺事狀)
- 신천 처사 정공 유사장(新泉處士鄭公遺事狀)
- 화암 양공 유사장(華庵梁公遺事狀)
- 성균 생원 봉양 손공 유사장(成均生員鳳陽孫公遺事狀)
- 송파 처사 정공 유사장(松坡處士鄭公遺事狀)
- 송와 손공 유사장(松窩孫公遺事狀)
- 덕와 박공 유사장(德窩朴公遺事狀)
- 농와 양공 유사장(聾窩梁公遺事狀)
- 학생 조공 유사장(學生曺公遺事狀)
-
유사(遺事(1))
- 권21
-
-
유사(2)(遺事(2))
- 오월당 이공 유사(梧月堂李公遺事)
- 학고 박공의 유사(鶴臯朴公遺事)
- 동중추 농은 박공 유사(同中樞農隱补公遺事)
- 죽호 민공 유사(竹湖閔公遺事)
- 낙춘헌 임공 유사(樂春軒任公遺事)
- 신계 김공 유사(莘溪金公遺事)
- 증 통정대부 덕재 윤공 유사(贈通政大夫德齋尹公遺事)
- 월담 처사 장공 유사(月潭處士張公遺事)
- 증 동몽교관 박공 유사(贈童蒙教官朴公遺事)
- 봉강 김군 유사(鳳岡金君遺事)
- 심계 배군 유사(心溪裴君遺事)
- 죽곡 이군 유사(竹谷李君遺事)
- 계사 강공 유사(溪沙姜公遺事)
- 송곡 이군 유사(松谷李君遺事)
- 운계 김공 유사(雲溪金公遺事)
- 신천 민군 유사(新川閔君遺事)
- 열효부 정씨 유사(烈孝婦鄭氏遺事)
- 모의재 윤공 유사(慕義齋尹公遺事)
- 유인 임씨 유사(孺人林氏遺事)
- 매사 민공 유사(梅史閔公遺事)
- 효자 조공 유사(孝子趙公遺事)
-
유사(2)(遺事(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