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2
  • 서(1)(書(1))
  • 노사 선생에게 올림(上蘆沙先生)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2 / 서(1)(書(1))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2.0001.TXT.0005
노사 선생에게 올림
삼가 생각건대, 신원(新元)에 편안히 지내시는 기체는 새해를 맞아 건강하실 것입니다. 선생님은 여든이 넘은 연세에도 기력은 손상됨이 없어 종일토록 단정히 앉아 있고 응대함에 게으르지 않으시는 모습을 보니, 문장이 어색해서 살짝 바꾸었습니다.) 비록 건장하여 자력으로 움직이는 자도 오히려 미치지 못할 것입니다. 실로 대군자(大君子)께서 평소 수양의 안정됨은 혈기가 흩트리지 못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하늘이 사문(斯文)을 묵묵히 도와주어 후생인 소자가 가르침을 받을 터전이 되게 하였으니 어찌 너무나 다행이 아니겠습니까. 다만 소자가 선생님의 가르침을 받은 날이 오래되었고 선생님께서 지도해 주신 은혜가 지극하였지만 지금까지 성취한 것이 없으니, 소생이 젊을 때 기회를 많이 놓쳤을 뿐만이 아니라 선생님께서 건강하시던 때 시간을 허비하게 한 것이 또한 어찌 적겠습니까. 매양 해가 바뀌는 때면 세월을 손으로 꼽아 보면서 더욱 회한이 마음에 교차하지 않음이 없습니다. 인하여 생각하기를 '고금에 뜻을 품은 허다한 사람들이 끝내 알려지지 못한 것은 다만 중단하여 힘쓰지 않은 소치이다. 만약 날마다 새롭게 하고 또 새롭게 하여 중단하지 않는다면 어찌 이러한 지경에 이르겠는가. 선가의 시에 「이 몸을 이번 생에서 제도하지 않는다면 다시 어느 생을 기다려서 이 몸을 제도하겠는가.[此身若不今生道, 更將何時道此身]」주 14)라고 하였으니, 가령 오늘 중단하여 힘쓰지 않아 알려지지 않은 자와 같게 된다면 이 생과 이 몸이 다시 어느 때를 기다리겠는가.'라고 하였습니다. 마침내 '일신(日新)' 2자로 재실 이름을 짓고 문미에 편액을 걸었습니다. 대개 늘 보고 성찰하자는 뜻이니, 어찌 감히 시속을 따라 보기 좋게 하기 위해서이겠습니까. 지난번 가르침을 받을 적에 소생에게 말씀하시기를 "세상을 잊고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따르라.[與世相忘 從吾所好]"라고 하였으니, 이는 참으로 소생의 병통에 딱 맞는 것입니다. 대저 소생의 집안은 중세(中世)에 쇠락하였기에 빈약하여 자력으로 생계를 꾸릴 수 없는 형편인데 자손이 되어 어찌 가문을 위한 계책에 무심할 수 있겠습니까. 이 생각에 더욱더 구애되어 매번 공리(功利)와 계교(計較)의 사사로움에 빠져드는 것을 면하지 못하였으니, 이것이 가장 사람의 마음을 해치는 것입니다. 이후로 매양 이러한 생각이 날 때면 선생님께서 가르쳐 주신 이 8자를 가지고 여러 번 암송하곤 하였는데, 날로 가슴속이 맑아져 얽매이는 사사로움이 없음을 깨달았습니다. 감사하고 감사하니 어찌 감히 잊겠습니까. 그러나 도가 이루어지고 덕이 밝아 세상을 구제하고 백성의 삶을 윤택하게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이것으로 마음을 삼는 것은 또한 지나치지 않겠습니까. 공자(孔子)는 어지러운 춘추 시대에 비록 지위를 얻지 못했지만 열국을 두루 돌아다니며 하루라도 세상을 잊은 적이 없었습니다. 주자(朱子)는 송(宋)나라 말기 어지러운 때를 만나 비록 다스리는 지위에 있지 않았지만 공경(公卿)과 재상 사이에서 부지런히 서한을 주고받으면서 혹 시사(時事)가 한 번 어긋나 그 해가 무궁할까 두려워하였으니 주자의 마음도 일찍이 하루라도 세상을 잊은 적이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는 초학이 극기복례하는 설이 되니, 우리 문하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관통하는 활법(活法)이 아니겠습니까. 지난번에 또 진재경(陳才卿)주 15)의 '초목의 부류는 성(性)은 있지만 인(仁)은 없다'는 설을 가지고 가르침을 청하니, 선생님께서 "진재경이 운운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라고 하셨습니다. 소생은 이것으로 인하여 내심 '인이라는 것은 천지가 만물을 낳는 마음으로, 만물이 얻어서 사는 것이다. 피차가 충만하여 조금이라도 부족하거나 남음이 없고, 상하가 함께 유행하여 잠시도 정지하거나 멈추지 않으니 천지간에 생명을 가진 사물이라면 어찌 일찍이 인이 없는 것이 있겠는가. 그러나 지금 한 사물만 보고 이른바 인이라는 것을 구한다면 그 체(體)가 한편으로 치우치고 막혀서 혼연히 내면에 있는 인을 보지 못하고, 그 기가 혼매하여 애연(藹然)히 사물에 감응하는 인이 있음을 보지 못하니, 이른바 인이란 것을 장차 어디에서 말할 수 있겠는가. 그렇다면 인물동체(人物同體)라는 것은 「갖춘 것이 성이다.[成之者性]」주 16)라는 것 이상을 말하는 것인가. 만약 성을 갖추기 전에 실로 같지 않음이 없지만 성을 갖춘 뒤에도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면 그 기가 낳고 낳는 것을 가지고 두루 유행하여 그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인가?'라고 생각하였는데, 생각이 여기에 이르자 망연자실하여 더욱 답답합니다. 삼가 바라건대 이에 대해 또한 한 말씀 해 주시기를 너무나도 바랍니다. 봄 날씨가 따뜻해져 가니 도를 위해 건강에 유념해 주신다면 사림의 다행이겠습니다.

답장을 덧붙임
그 대략은 다음과 같다. 가문을 위해 과거를 보고 싶은 마음을 그대가 이처럼 숨기지 않으니, 나도 어찌 스스로 외면한 채 속마음을 털어놓지 않겠는가. 얻을 것을 근심하고 잃을 것을 근심하지 않는 자를 그대는 보았는가. 득실을 근심하면서 가문을 일으킨 사람을 그대는 보았는가. 그렇다면 가문을 위한 계책도 여기에 있지 저기에 있지 않네. 이 관문을 통과하지 못하면 천 가지 만 가지가 모두 기생집에서 예(禮)를 강론하고 백정이 예불(禮佛)을 드리는 격이 되네. 강절(康節 소옹(邵雍))의 시에 "사생(死生)에 이르기까지 모두 처결한다면, 그 밖의 영욕(榮辱)은 알 수 있네.[以至死生皆處了 自餘榮辱可知之]"라고 하였으니, 이렇게 해야 바야흐로 장부라네. 그대는 이미 알고 있는 것이라고 여기지 말고 다시 한번 곰곰이 생각을 해 보고 한번 부단히 노력하는 것이 어떻겠는가. '일신(日新)'이 어찌 좋은 말이 아니겠는가마는 모름지기 이곳에서 기초를 세워야 비로소 의론할 수 있네.
사물마다 각각 하나로 규정짓지 못하는 곳이 있으니, 사람에게 있어서는 측은지심이 이것이네. 이 때문에 인자(仁者)가 보면 인이라고 하고, 지자(知者)가 보면 지라고 하니, 모두 측은지심이 있는데 사람의 인을 가지고 저 외물에게 요구하는 것은 이런 이치는 없네.
주석 14)선가의……제도하겠는가
이 말의 출처는 당(唐)나라 때의 선인(仙人) 여동빈(呂洞賓)이 지은 게송(偈頌)의 일부분으로 원시인 "此身不向今生度, 更待何生度此身."과는 다소 글자의 출입이 있다.
주석 15)진재경(陳才卿)
남송의 학자 진문울(陳文蔚)로, 자는 재경, 호는 극재(克齋)이다. 주희의 문인이다.
주석 16)갖춘 것이 성이다
《주역》〈계사전 상(繫辭傳上)〉에 "한 번 음이 되고 한 번 양이 되는 것을 도라고 하니 이것을 계속 이어 가는 것이 선이요, 이것을 이루어 갖춘 것이 성이다.[一陰一陽之謂道, 繼之者善, 成之者性也.]"라고 하였는데, 주희(朱熹)의 본의(本義)에 "계(繼)는 그 발(發)함을 말하고 선(善)은 화육(化育)의 공(功)을 말하니 이는 양(陽)의 일이요, 성(成)은 그 갖추고 있음을 말하고 성(性)은 물(物)이 받은 것을 말하니, 물이 생기면 성을 간직하고 있어서 각각 이 도(道)를 갖추고 있음을 말하니 음(陰)의 일이다."라고 하였다. 《周易傳義 》
上蘆沙先生
伏惟新元燕申氣體。餞迓萬康。先生期耄之年。每見氣力無損。而終日泥塑。酬應不倦。雖强壯自力者。猶未及焉。固知大君子素養之定。有非血氣之所能移也。天之所以默佑斯文而爲後生小子受敎之地者。豈非至幸也哉。但小子從事之日。非不久矣。導迪之恩。非不至矣。而迄于今。無有所就。則不惟多失小生年富之時。而虛違先生康寧之日者。亦豈小哉。每當歲次翻易之時。則屈指歲日。而尤不無悔恨交中。因念古今有志許多人。終始無聞者。只是間斷不力之致也。若能日新又新。無容間斷。則豈至此乎。釋氏詩曰。此身若不今生道。更將何時道此身。若使今日間斷不力。而與無聞者同歸一域。則此生此身。更待何時乎。乃以日新二字。拈爲齋名。揭諸楣端。蓋常目警省之意也。豈敢爲循俗觀聽之美也。曩者敎席小生曰。與世相忘。從吾所好。此誠切中小生之病。大抵小生家。中世零替。弱不自存。爲人子孫者。安得無心於爲門戶之策乎。此念轉輾朋比。每不免有功利計較之私。此最害人心術。自後每有此念。以先生所敎此八字。三復思誦。目覺胸中灑然。無繫累之私。感感在心。曷敢忘諸。然若道成德立。可以濟世澤物之人。則以此爲心。不亦過乎。孔子當春秋昏亂。雖不得位。而周遊列國。未嘗有一日忘世之心。朱子當宋未喪亂。雖不在位。而勤勤往復於公卿宰執之間。或恐時事一差。其害無窮則朱子之心。亦未嘗一日忘乎世也。然則此爲初學克己之說。非吾門終始首尾通看活法耶。向又以陳才鄕草木之類。有性無仁之說。請業。先生曰。才卿云云。須不可曉。小生因此而自惟于心曰。仁者。天地生物之心。而物之所得而生者也。彼此充滿而無一毫之欠剩。上下同流而無一息之停掇。則天地含生之物。曷嘗有無仁者哉然今觀一物而求其所謂仁者則其體偏塞而未見有渾然在中之仁。其氣渾昧。而未見有藹然咸物之仁。則其所謂仁者。將於何處可說着乎。然則人物同體者。以成之者性以上說耶。若曰。成性之前。固無不同。而成性以後。亦有不異之可言。則以其氣之生生周流不息之謂耶。思之至此茫然增欝。伏乞此處。亦賜一段語。至祝至祝。春候向伸。爲道萬康。以幸士林


答附
略曰爲門戶禦侮。君之不隱情如此。吾亦安能自外而不輸情乎。患得而不患失者。君見之乎。患得失而能樹立門戶者。君見之乎。然則門戶之計。亦在此而不在彼。不能透打此關。千般萬般。皆歸娼家講屠兒禮佛。康節詩曰。以至死生皆處了。自餘榮辱可知之。如此方是丈夫人。君勿以爲己見之昭陵。更下一場大思量一陣大鏖戰。如何。日新豈非好語。而亦須此處。立定脚跟始可議到耳。
物物各有一箇不容已處。在人則惻隱之心是也。是以仁者見之謂之仁。知者見之謂之知。都是此箇物事。若以人之仁去責那物則無是理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