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0
  • 서(9)(書(9))
  • 양자선【청묵】에게 답함(答梁子善【淸黙】)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0 / 서(9)(書(9))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10.0001.TXT.0010
양자선【청묵】에게 답함
봄이 지나가고 여름이 오매 사방의 식물들이 녹음이 짙어 가니, 그대를 그리워하는 마음이 이에 더욱 깊어지네. 인편을 통해 편지를 받게 되었는데, 이는 기대하지 않았던 것이라 나의 고마운 마음을 어찌 말로 다할 수 있겠는가. 인하여 부모를 모시고 공부하면서 줄곧 건강이 좋음을 알게 되니, 더욱 듣고 싶었던 바이네. 편지지 가득 길고 자세하게 쓴 내용은 명리(名理)의 핵심이 아님이 없으니, 그대 공부가 크게 발전한 것을 알 수 있네. 마음을 다스리고 몸을 닦는다는 것은 내포한 의미가 대단히 넓다네. 마음을 다스린다고 말한다면 뜻을 견지하는 것도 참으로 그 안에 있으며, 몸을 닦는다고 말하면 기운을 함양함도 또한 그 안에 들어 있네. 지금 "몸을 닦아서 기운을 함양함에 이르고, 뜻을 견지하여 마음을 다스림에 이른다."고 한다면 아마도 온당하지 않을 것이네. 또한 "생각이 바르지 않을까 두렵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이 보이지 않음에도 경계하고 들리지 않음에도 두려워한다주 50)는 뜻이 아니겠는가. 그렇지 않다면 일이 없을 때 게으르고 방만한 자가 어찌 생각이 처음 발동할 때 그 기미를 살펴서 검속할 수 있겠는가. 이 때문에 존양(存養)하는 공부가 학문의 본령이 되는 까닭이네. 존양과 궁격(窮格), 성찰과 극치(克治), 그 무엇이 하학상달(下學上達)을 이른 것이 아니겠는가. 사단과 칠정에 대해 논한 것은 옳네. 대저 사단은 기(氣)가 없지는 않지만 주장하여 말한 것은 리(理)이네. 칠정은 리가 없지는 않지만 주장하여 말한 것은 기이네. 주자의 말은 이런 뜻이 아니겠는가. 만약 사단이 리에서 발하고 칠정이 기에서 발하는 것을 가지고 사단과 칠정이 자리를 바꾸고 리와 기가 서로 발한다고 이른다면 대단히 옳지 않네. 선유가 '아마도 옳지 않은 듯하다.'고 한 것은 이런 뜻이 아니겠는가. 말을 타는 것에 대한 비유는 또한 훌륭하네. 어린 나이의 초학이 이런 정도로 말을 한다는 것에서 재성(才性)의 아름다움과 지향의 올바름에 실로 경탄이 이네.
주석 50)보이지……두려워한다
《중용장구》 제 1 장에 "도라는 것은 잠시도 떠날 수 없는 것이니, 떠날 수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도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군자는 보이지 않아도 조심하는 것이요, 들리지 않아도 두려워하는 것이다. 숨어 있는 것보다 더 잘 드러나는 것이 없으며, 미세한 것보다 더 잘 나타나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군자는 홀로 있을 때를 삼가는 것이다.〔道也者 不可須臾離也 可離 非道也 是故 君子戒愼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 莫見乎隱 莫顯乎微 故君子愼其獨也〕"라는 말이 나온다.
答梁子善【淸黙】
餞春屬夏。時物蔥倩。懷人一念。於玆尤至。便頭惠幅。出於料外。區區慰沃。曷以勝喩。仍審侍旁學履。連爲佳迪。尤協願聞。滿紙娓娓。無非名理肯綮。可見盛課之長長。治心修身。所包甚廣。言治心則持志固在其中。言修身則養氣亦在其中。今曰修身以至養氣。持志以至治心者。恐涉未穩。又曰恐思慮之不正云云。此戒愼不覩恐懼不聞之意耶。不然。怠惰放倒於無事之時者。安能省檢於思慮幾微之始也。此存養之功。所以爲學問之本領也。存養窮格。省察克治。夫孰非下學上達之謂耶。四端七情。所論是。大抵四端非無氣。而所主而言者。理也。七情非無理。而所主而言者。氣也。朱子之言。其非此意耶。若以四端發於理。七情發於氣。謂四七異位。理氣互發。則大不是先儒之言。恐不可者。其非此意耶。乘馬之喩亦好。妙年初學。能自說得到此。其才性之美。志尙之正。實可欽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