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일신재집 권13
  • 잡저(雜著)
  • 문 수재 재연 에게 주다(贈文秀才【載淵】)

일신재집(日新齋集) / 일신재집 권13 / 잡저(雜著)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13.0001.TXT.0002
문 수재 재연 에게 주다
효는 인륜 중에 가장 가깝고 쉬워 어린아이도 행할 수 있는 것이고, 우매한 사람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선덕(先德 덕망이 있는 선배)의 말 중에 "몸을 성실하게 하지 못하면 어버이에게 순종하지 못하니, 몸을 성실하게 하는 것이 덕을 이루는 이상의 일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른바 '가깝고 쉽다.'라는 것이 이처럼 높고도 먼 것인가?
무릇 효의 뜻은 포함된 바가 매우 넓으니, 말 한마디와 행실 하나라도 진실로 효가 아니라고 말할 수 없지만, 효의 지극한 경지를 말한다면 본성을 다한 성인의 경지가 아니고서는 여기에 해당할 수 없을 것이다. 만약 순(舜)에게 조심하고 두려워하는 공경과 점점 다스려지게 하는 덕이 없었다면 어찌 그 아버지를 기쁘게 하는 데에 이를 수 있었겠는가.
천하에 옳지 않은 부모는 없으니, 단지 내가 어버이를 사랑하는 것이 순만 못하며, 어버이를 공경하는 것이 순만 못하며, 어버이를 봉양하는 것이 순만 못하며, 덕이 순만 못하며, 지혜가 순만 못할 뿐이로다. 만약 한 터럭만큼이라도 순에게 미치지 못함이 있다면 자식으로서의 직분에 본분을 다하지 못한 점이 있는 것이다.
문생(文生) 재연(載淵)이 나를 따라 공부하였는데, 어느 날 어버이를 섬기는 도리에 대해 물었다. 문생은 법도가 있는 집안의 자손이라 가정에서 보고 배우는 바에 반드시 나 말고도 다른 스승이 있을 것이니, 어찌 비루한 나의 말을 기다릴 것이 있겠는가.
《주역ㆍ고괘(蠱卦)ㆍ구이(九二)》에 이르기를, "어머니의 일을 주관함이니,  고집해서는 안 된다."라고 하였고, 《정전(程傳)》주 18)에 이르기를, "자식은 어머니에 대해서는 마땅히 유순함과 공손함으로 보좌하고 인도하여 의리에 맞게 해야 하니,  순하지 않아서 패고(敗蠱)를 초래하면 이는 자식의 죄이다."라고 하였다.
무릇 은미하게 간하는 일은 있되 위엄을 범하여 간언하는 일은 없어야 하고, 기미를 보아 간하되 은미하게 풍간해야 한다. 이것이 어버이를 섬기는 절도인데, 하물며 어머니와 자식 사이는 오직 순도(順道)로 서로 받들 뿐, 더욱 알직(訐直)주 19)을 용납할 수 있는 처지가 아님에랴. 반드시 온화한 기운을 흡족할 만큼 흘러넘치게 하고 정성스러운 뜻을 측은하게 여길 만큼 간절하게 하여 말을 곡진하게 하고 사리를 상세하게 밝힌다면 저절로 어버이의 뜻이 순하게 되어 일을 주관할 수 있을 것이다.
대저 학문을 하는 것과 효를 하는 것은 본래 두 가지 일이 아니다. 학문이 한 걸음 진보하고, 효가 한 걸음 진보하여 몸을 성실하게 하는 데에 이른다면 어버이에게 순종함이 지극할 수 있을 것이니, 힘쓰고 힘써야 할 것이다. 문생은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집안일을 맡은 적자(嫡子)로서 지금 한창 어머니의 일을 주관하는 자이기 때문에 삼가 〈고괘(蠱卦)〉의 말로 고한다.
주석 18)정전(程傳)
송(宋)나라 유학자 정이(程頤)가 《주역》을 해설한 것이다.
주석 19)알직(訐直)
남의 잘못을 들추어내는 것으로 자신의 정직함을 삼는 것을 말한다. 《논어》 〈양화(陽貨)〉에 "불손한 것을 용맹으로 여기는 자를 미워하고, 남의 비밀을 들추어내어 정직하다고 여기는 자를 미워합니다."라고 하였다.
贈文秀才【載淵】
孝於人倫。最近且易。孩提之所能行。愚蒙之所能知。然先德之言曰。不誠乎身。不順乎親。誠身是成德以上事也。所謂近且易者。若是其高且遠耶。夫孝之爲義。所包甚廣。一節一行。固不可謂非孝。而語其至。則非聖人盡性。不足以當之。若使舜無夔慄之敬。烝乂之德。何以能底豫其父。天下無不是底父母。但吾所以愛親者。不如舜乎。敬親者。不如舜乎。養親者。不如舜乎。德不如舜乎。智不如舜乎。如有一毫不及舜。便於子職有不盡分處。文生載淵從余遊。一日問事親之道文生法家子孫。其所擩染。必有餘師。而何待於鄙說哉。蠱卦九二曰。幹母之蠱。不可貞。傳曰。子之於母。當以柔順輔導之。使得於義。不順而致敗蠱。則子之罪也。夫有隱無犯。幾諫微諷。此是事親之節。況母子之間。專以順道相承。尤非可容訐直之地。必使和氣浹洽。誠意懇惻。言辭委曲。事理詳明。則自然親意順而幹務得矣。大抵爲學爲孝。本非兩事。學進一分。孝進一分。至於誠身。可以爲順親之至。勉之勉之。文生早孤當室。方是幹母之蠱者。故謹以蠱卦說告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