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8
  • 서(7)(書(7))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8 / 서(7)(書(7))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8.0001.TXT.0007
황경함에게 답함
내가 지은 〈양성당명(養性堂銘)〉주 12)은 지금 기억도 못하겠는데, 그대는 어디에서 얻어 보았는가? 대개 명(銘)에서 말한 부곽(郛郭)은 윤곽[匡郭], 지반(地盤)의 뜻이네. 심(心)을 성(性)의 주재(主宰)로 여긴 것은 이(理)의 주재를 가리켜 말한 것이고, 심을 성의 부곽으로 여긴 것은 기(氣)의 정상(精爽)을 가리켜 말한 것이네. 정상과 기질은 비록 정추(精粗)가 있지만 기질은 또한 정상의 부곽이 아닌가? 그 사이에 한 겹의 꺼풀이 있는 것 같지만 부곽이 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네. 기질과 정상이 부곽이 되지 않으면 다시 어떤 물건이 있어 이 성을 갖추어 실을 수 있겠는가? 부곽을 주재로 삼은 것은 내가 헤아려 보건대 아마 크게 옳지 않은 듯하네. 그대가 평소 기꺼이 정령(精靈)을 주재(主宰)로 간주하려고 않으면서 지금 이에 부곽을 주재로 여기는가? 또 상문(上文)에 비록 본심을 말하였으나 중간에 '기질(氣質)' 두 글자로 섞어서 말하였으니, 하단에 방일(放逸)의 마음을 말한 것은 아마 불가함이 없을 것 같네. 내가 간장(澗丈)에게 준 편지에서 분수처(分殊處)를 말한 것은 과연 주자의 본의가 아니네. 그러나 천하의 물(物)은 뒤섞여 만 가지로 변함에 단지 '곧바로 이루는 것[直遂]'과 '곧바로 이루지 못한 것[不直遂]'일 뿐이니, 직수를 정통(正通)으로 여기고 불직수를 편색(偏塞)으로 여기는 것 또한 하나의 설이 되는데 해롭지 않네. 하문의 장단 비척(長短肥瘠)은 형기의 나뉨이 이른바 원습(原濕)에 사는 사람은 풍성하고 두텁고 사토(沙土)에 사는 사람은 파리하고 가늘다는 것과 같은 것이 아니겠는가? 이것은 단지 물류(物類) 상에 나아가 그 분수(分殊)의 본연이 아닌 것을 가리켜 말한 것이네. 교구(矯捄) 변화(變化)와 사람이 사람 되는 연유의 여부에 대해서는 애초에 자주 언급할 겨를이 없었네. 더구나 거처가 기상을 바꾸고 봉양이 체질을 변화시키니 체질 또한 변화 시킬 수 있는 것이 있고, 기질을 변화시키니 질(質) 또한 변화 시킬 수 있는 것이 있음에야 어떠하겠는가? 이런 등은 활간(活看)주 13)하는 데 달려 있으니, 어떻게 여기는가? "작용(作用)……"이라 하였는데, 근래 《주자대전》을 보니 설명해 놓은 곳이 많이 있었네. 대서 석씨(釋氏)가 작용을 성(性)으로 여긴 것은 고자(告子)의 "생리적인 본능을 성(性)이라고 한다."는 것과 같네. 그러나 그 작용이 삼연(森然)히 이미 갖추고 찬연(粲然)한 조리 가운데로부터 나오지 않았다면 끝내 스스로 사사롭게 한 것을 면하지 못하네. 그대가 이른바 "작용을 성이라 하는 것은 실로 불가하고 작용을 심이라 하는 것 또한 불가하다."라고 한 것은 매우 옳네.
근래 주자의 글 약간 편을 보니, 간간이 나를 감발시키는 곳이 있었네. 다만 한스럽게도 나의 쇠퇴함이 이와 같아 힘을 기울여도 전날의 허물을 만분의 일도 보완할 수 없네.
주석 12)양성당명(養性堂銘)
《일신재집》권9에 실려 있다.
주석 13)활간(活看)
글을 볼 때에 글자나 글귀에 얽매이지 않고 전체의 뜻을 널리 보아 본의를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答黃景涵
鄙所述養性堂銘。今不可記憶。未知賢於何處得見耶。蓋郛郭是匡郭地盤之義也。以心爲性之主宰者。是指理之主宰而言。以心爲性之郛郭者。是指氣之精爽而言。精爽氣質。雖有精粗。而氣質亦非精爽之郛郭耶。其間若有一重膜子。而其爲郛郭則一也。氣質精爽。不爲郛郭。則更有何物可以該載是性也。以郛郭作主宰者。以愚料之。恐大不是。賢平日不肯以精靈作主宰看。而今乃以郛郭作主宰耶。且上文雖言本心。而中間以氣質二字。措以爲語。則下段言放逸之心。恐無不可也。鄙與澗丈書言分殊處。果非朱夫子之本意。然天下之物。參錯萬變。只是直遂與不直遂而已。以直遂爲正通。以不直遂爲偏塞。亦不害爲一說也。下文長短肥瘠。其非形氣之分。如所謂原濕之人豊而厚。沙土之人瘦而細者耶。此特就物類上。指其分殊之非本然者而言。至於矯捄變化。與夫人之爲人關由與否。初不數數暇及也。況居移氣。養移體。則體亦有可移者。變化氣質。則質亦有可變者乎。此等在所活看。未知何如耶。作用云云。近看大全。多有說起處。大抵釋氏以作用爲性。如告子生之謂性。然其作用。不自森然已具。粲然有條中出來。則終不免於自私而已。賢所謂以作用謂性。固不可。而以作用謂心。亦不可者。極是極是。近閱朱書若而編。間間有感發人處。但恨衰頹如此。無以致力以補前愆之萬一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