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20
  • 유사(遺事(1))
  • 호은처사 위공 유사장(湖隱處士魏公遺事狀)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20 / 유사(遺事(1))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20.0001.TXT.0007
호은처사 위공 유사장
공의 성은 위(魏), 휘는 상리(相履), 자는 덕희(德希), 호는 호은(湖隱)이다. 시조 휘 경(鏡)은 당나라 학사로 신라에 벼슬하여 회주군(懷州君)에 봉해졌는데, 회주는 지금의 장흥이며 자손들이 그대로 관향으로 삼았다. 신라부터 고려까지 높은 공훈과 높은 작위가 혁혁히 이어졌는데, 합문기후(閤門祇侯)를 지낸 휘 충(种)에 이르러서는 우리 조정이 하늘에 순응한 처음이었는데, 시중(侍中) 김종연(金宗衍) 등과 복위를 도모한 일이 발각되어주 30) 곤장형을 받고 먼 지방으로 귀양에 처해졌다. 이분이 휘 진용(悳龍)을 낳았으니 통덕랑을 지냈고, 휘 진용이 휘 자양(自良)을 낳았으니 통덕랑을 지냈으며, 휘 자양이 휘 종복(宗復)을 낳았으니 한성 참군(漢城參軍)을 지냈다. 휘 종복이 휘 유형(由亨)을 낳았으니 습독(習讀)을 지냈으며, 장릉(莊陵)주 31) 말에 바닷가로 은거하여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주 32) 영천(靈川) 신잠(申潛)주 33)과 도의의 교분을 맺었다. 휘 유형(由亨)이 휘 진현(晉賢)을 낳았으니, 효로 추천받아 광릉 참봉(光陵參奉)에 제수되었으며, 후사가 없어 백씨(伯氏) 진수(晉秀)의 둘째 아들을 후사로 삼았다. 진사 휘 곤(鯤)은 호가 당곡(唐谷)이며, 휘 곤이 덕의(德毅)주 34)를 낳았으니 병조 참의를 지냈으며, 임진왜란에 임금을 용만(龍灣, 의주(義州)의 별칭)까지 호종(扈從)하여 세상에 청계선생(聽溪先生)이라 일컬어졌으며, 죽천사(竹川祠)에 제향하였는데, 공에게 5대조가 된다. 고조의 휘는 정헌(廷獻), 호는 국천(菊泉)으로 진사를 지냈으며, 장악원 정(掌樂院正)에 추증되었다. 증조의 휘는 동명(東蓂), 호는 상봉(觴峯)으로 호조 참의에 추증되었다. 조부의 휘는 익무(翊武)로 은덕(隱德)이 있었다. 아버지의 휘는 ▣▣으로 문학과 행의가 있어 한 세상에 추존을 받았다. 어머니 함양 박씨(咸陽朴氏)는 목사 성인(成仁)의 증손녀로 유순하고 정갈하며 규범(閨範)이 매우 지극하였다. 숙종 신미년(1691, 숙종17) 10월 6일에 부(府)의 옥산(玉山) 집에서 공을 낳았다. 공은 어려서부터 영특하여 보통의 아이들과 달랐다. 서당에 나아가 수학하였는데 문리(文理)가 날로 향상되었다. 하루는 촌사(村社)에서 잡희(雜戱, 여러 가지 놀이)를 벌이니 달려가 구경하지 않는 이가 없었는데, 공만이 홀로 가지 않아 서당의 스승이 기특하게 여겼다. 자라서는 오로지 위기지학(爲己之學)에 힘써 장차 사자(四子)주 35)와 성리학과 관련된 많은 책을 밤낮으로 연구해서 의취(意趣)를 다하는 데 힘썼다. 어버이를 섬김에 지극히 효성스러워 아침저녁으로 문안인사 올리는 예절을 빠뜨리는 일이 없었으며, 안부를 묻는 일과 달고 연한 음식을 장만하여 올리는 일에 정성과 힘을 다하여 모든 것을 다 갖추어드렸다. 늙어서 어버이의 상을 당하였는데, 쇠하고 늙었다고 스스로를 관대하게 대하지 않고 한결같이 예제를 따랐다. 장례를 치른 뒤에는 날마다 한 번씩 성묘를 하였고,주 36) 비바람이 몰아쳐도 그만두지 않으니 집안사람들이 그 오고 가는 수고로움을 가엽게 여겨 여막을 무덤 곁에 지어주려고 하였다. 그러자 공이 말리면서 말하기를, "나는 시묘살이를 한다는 이름을 표방하고 싶지 않다."라고 하였다. 제삿날이 되면 엄숙히 재계하고 정결하게 하여 그 정성을 다하고, 슬프고 두려운 마음으로 그 정을 다하였다. 형제 여섯 명이 낮에는 책상을 나란히 하여 공부하고 밤이면 베개를 함께하며 매우 즐겁고 화락하게 지내 늙어서도 변치 않았다. 친척과 벗, 이웃과 향당 간에도 안부를 묻고 두루 구휼하는 일을 때에 따르고 절후에 맞추어 빠뜨리는 일이 없었다. 늙어서는 더욱 숨어 지내면서 세상의 어지러움을 사절하고 조용하고 묵묵히 수양하여 참다운 마음이 안에서 넉넉하였다. 생도를 가르침에 엄격히 등급주 37)을 두어 차근차근 잘 이끌어 주니 성취한 바가 많았다.
매번 따뜻한 봄날과 서늘한 가을이 되면 한두 명의 오랜 벗들과 한가로이 강호(江湖)에서 거닐며 시를 읊조리고 시원스레 속세를 떠날 의표를 가지고 있었다. 경물을 바라보면 감회가 생겨서 붓 가는대로 적었는데 문자를 수식하는 것에 얽매이지 않았다. 일찍이 '대명일월숭정유민(大明日月崇禎遺民)' 여덟 자를 벽에 써서 자신의 뜻을 기록하였다. 자손을 경계하여 말하기를, "부유해지면 사치하기를 기약하지 않아도 저절로 사치스러워지고 지위가 높아지면 교만하기를 기약하지 않아도 저절로 교만함이 이르게 된다. 교만과 사치가 이르면 패망이 뒤따르는 법이니, 이는 필연적인 형세이다. 그러므로 자신을 지키고 자신을 반성하며 남을 보살피고 외물을 접할 때에도 털끝만큼의 교만하고 방자한 마음이 있어서는 안 된다. 만일 자신이 화락한주 38) 사람이 되고 집안에 효도하고 삼가는 기풍이 있다면 낳아주신 부모를 욕되게 하지 않음에 거의 가까울 것이다."라고 하였다. 영조 병자년 9월14일에 생을 마쳤으며, 남면(南面) 장생원(長栍院) 선영의 을좌(乙坐) 언덕에 장사 지냈다. 부인 진원 박씨(珍原朴氏)는 만진(萬震)의 딸로 부덕을 순수하게 갖추었다. 1남 4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도인(道仁)이며, 딸은 김봉채(金鳳彩)·윤신동(尹新東)·변정홍(卞廷弘)·마인학(馬仁㶅)에게 시집갔다. 손자는 영백(榮百)·영직(榮直)·영의(榮義)이다. 증손 이하는 기록하지 않는다. 아, 포부가 담대하고 넉넉하며 조예가 깊고 치밀하여 우뚝하게 한 시대의 촉망을 받았는데도, 바다 모퉁이에서 숨어 지내며 처음부터 끝까지 변하지 않아 확고한 뜻을 동요시킬 수 없는 점이 있었으니, 유운(遺韻)과 암장(闇章)주 39)을 추앙하는 마음이 더욱 지극하였다. 5세손 계창(啓昌)이 그 아들 대량(大良)을 시켜 행장을 청하였는데, 아, 고금의 감회에 어찌 행장을 쓸 적임자가 아니라고 사양하겠는가.
주석 30)시중……발각되어
김종연(金宗衍, ?~1390)은 고려 시대의 무인이다. 1390년(공양왕2)에 김종연이 이방춘(李芳春)ㆍ김식(金軾)ㆍ이중화(李仲和)ㆍ윤귀택(尹龜澤) 등과 함께 당시 시중(侍中)이었던 이성계를 죽이기 위해 모의를 꾀하다 윤귀택의 밀고로 발각된 사건이다. 이때 김종연은 거열형(車裂刑)을 당하고 위충은 장형을 받고 유배되었다. 《高麗史 卷45 恭讓王2年》
주석 31)장릉(莊陵)
조선 제6대 임금 단종(端宗)의 능이다.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4리에 있다. 여기서는 단종을 말한다.
주석 32)남효온(南孝溫)
1454~1492. 생육신의 한 사람으로,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백공(伯恭), 호는 추강(秋江),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고양 출신으로 김종직(金宗直) 의 문인이다. 어려서 사육신의 충성을 보고 벼슬할 생각을 버리고 각지를 유랑하다가 병사하였다. 전에 문종의 비인 현덕왕후(顯德王后)의 소릉(昭陵)을 복위하라고 상소한 일로 1504년(연산군10)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당했으나, 중종 때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되고, 숙종 때 고양의 문봉서원과 함안(咸安)의 서산서원(西山書院)에 배향되고, 다시 정조(正祖) 때 이조 판서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추강집(秋江集)》ㆍ《추강냉화(秋江冷話)》ㆍ《사우명행록(師友名行錄)》 등이 있다.
주석 33)신잠(申潛)
1491~1554.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원량(元亮), 호는 영천자(靈川子) 또는 아차산인(峨嵯山人)이다. 신숙주(申叔舟)의 증손자이며, 신종호(申從護)의 아들이다. 1519년(중종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였으나, 같은 해에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하여 파방(罷榜)되었다. 그 뒤 20여 년간 아차산 아래에 은거하며 서화에만 몰두하다가, 인종 때에 다시 복직되어 상주 목사(尙州牧使)로 있던 중에 죽었다. 문장에 능하고 서화를 잘하여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다.
주석 34)덕의(德毅)
위덕의(魏德毅, 1540~1613)는 임진왜란 때 왕이 피난했다는 소식을 듣고 장흥에서 90일 간 걸어서 의주(義州) 행재소(行在所)에 가서 임금을 알현하니 군신 모두가 놀랐다고 한다. 조정에서는 호종(扈從)의 공으로 진원현감(珍原縣監)에 제수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호종원종훈(扈從原從勳)에 녹훈(錄勳)되고 사후에 병조참의(兵曹叅議)에 추증(追贈)됐다. 사후 죽천사(竹川祠) 입사(立祠)와 함께 주벽(主壁)으로 배향되고, 또 광주광역시 대촌동 황산사(黃山祠)에도 배향됐다.
주석 35)사자(四子)
사자서(四子書)의 준말로, 공자(孔子), 증자(曾子), 자사(子思), 맹자(孟子)의 언행록이라 할 《논어》, 《대학장구》, 《중용장구》, 《맹자》를 가리키는데, 이 저술들의 저자는 공자(孔子), 증자(曾子), 자사(子思), 맹자(孟子)로서 4명의 이름에 자(子) 자가 들어가기 때문에 '사자(四子)'라고 칭한 것이다. 《주자어류(朱子語類)》 권105에 "사자는 육경으로 올라가는 계단이요, 《근사록》은 사자로 올라가는 계단이다.〔四子六經之階梯 近思錄四子之階梯〕"라는 말이 실려 있다.
주석 36)한……하였고
주희(朱熹)는 "상주가 장례를 치르고 나면 신주가 이미 집으로 돌아와 집이 거상(居喪)의 중심이 되기 때문에 상주는 더 이상 산소 옆의 여묘에 있을 수 없다. 그러나 마음에 끝내 잊히지 않으면 아우들에게 묘소 옆에서 머물며 때로 한 번씩 성묘하게 할 수 있다.[主喪者旣葬當居家 蓋神已歸家 則家爲重 若念不能忘 却令弟輩宿墓 時一展省可也]"라는 요지의 말을 하였다. 《朱子大全 卷63 答胡伯量》
주석 37)등급
원문의 '과급(科級)'은 단계를 밟아 순서에 따라 차근차근 공부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동래(東萊) 여조겸(呂祖謙)의 〈근사록 서제(近思錄書題)〉에 "강학하는 방법과 일상생활에 몸소 행하는 실제로 말하면 모두 등급이 있으니, 이를 따라 나아가 낮은 데로부터 높은 곳에 오르고 가까운 데로부터 먼 곳에 이른다면 거의 이 책을 찬집한 본의를 잃지 않을 것이다.[講學之方, 日用躬行之實, 具有科級, 循是而進, 自卑升高, 自近及遠, 庶幾不失纂集之指.]"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주석 38)화락한
원문의 '개제(愷弟)'는 '개제(豈弟)'라고도 하며 기상(氣象)이 단아하고 화락함을 나타낸 말이다. 《시경》 〈한록(旱麓)〉에서 문왕(文王)의 덕을 칭송하며 "화락하신 군자님은 신명이 보우한 바이로다.[豈弟君子, 神所勞矣.]"라고 하였다.
주석 39)암장(闇章)
'암연이일장(闇然而日章)'의 준말로, 군자는 도덕이 심원하여 처음에는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분명하지 않지만 속에 있는 도덕이 안으로부터 절로 우러나와 그 광채가 날로 드러나 빛난다는 뜻이다. 《中庸章句 第33章》
湖隱處士魏公遺事狀
公姓魏,諱相履。字德希。號湖隱。始祖諱鏡。以唐學士仕新羅。封懷州君。懷州今長興。子孫仍貫焉。自羅之麗。崇勳嵬爵。赫赫相承。至諱种官閤門祇侯。當我朝應順之初。與侍中金宗衍等謀復。事覺。杖流遠地。生諱悳龍通德郞。生諱自良通德郞。生諱宗復漢城參軍。生諱由亨習讀。莊陵末。遯處海濱。與南秋江孝溫申靈川潛爲道義交。生諱晉賢。以孝薦。授光陵參奉。無嗣。以伯氏晉秀第二子爲後。諱鯤進士號唐谷。生諱德毅兵曹參議。壬辰扈從龍灣。世稱聽溪先生。享竹川詞。於公爲五世。高祖諱廷獻號菊泉進士贈掌樂院正。曾祖諱東蓂號觴峯贈戶曹參議。祖諱翊武。有隱德。考諱文學行義。見重一世。妣咸陽朴氏牧使成仁曾孫女。柔婉靜嘉。閨範備至。肅廟辛未十月六日。公生于府之玉山第。幼穎悟異於凡常。就塾授課。文理日就。一日村社設雜戲。莫不奔觀。公獨不往。塾師奇之。及長專心爲己。將四子及性理群書。晝夜硏究。務盡意趣。事親至孝。晨昏定省。未嘗有闕。寒暄之節。甘腰之供。殫誠竭力。無不畢給。老而遭故。不以衰艾自恕。一從禮制。旣葬而日一展省。風雨不廢。家人閔其往來之勞。欲爲之結盧墓側。公止之曰。吾不欲有盧墓之名。遇忌諱之辰。齊肅明潔以盡其誠。悽愴怵惕以盡其情。兄弟六人。晝則連榻。夜則同枕。怡怡湛樂。老而不替。族戚朋友。隣里鄕黨。存訊周恤。隨時及節。未嘗有闕。老益沈晦。謝絶世紛。潛修黙養。眞情內腴。訓進生徒。嚴有科級。循循引誘。多所成就。每當春和秋淸。一二朋舊。逍遙諷詠於江湖之曲。灑然有出塵之標。覽物敍懷。信筆輒寫。而不有拘拘雕飾之意。嘗題大明日月崇禎遺民八字於壁。以識其志。戒子孫曰。富不期奢而奢至。貴不期驕而驕至。驕奢至則敗亡隨至。此理勢之必然。持身省己。酬人接物。亦不可存一毫驕肆之心。使身爲愷弟之人。家有孝謹之風。則其於無忝所生。不其幾矣乎。英宗丙子九月十四日考終。葬南面長柱院先隴乙坐原。配珍原朴氏萬震女。婦德醇備。生一男四女。男道仁。女適金鳳彩尹新東卞廷弘馬仁㶅。孫男榮百榮直榮義。曾孫以下不盡錄。嗚呼。抱負贍富。造詣邃密。偉然爲一時之屬望。而沈淹海曲。終始不渝。有確乎不可拔者。遺韻闇章。追仰彌至。五世孫啓昌。伻其子大良。請狀行之文。嗚呼。緬古感今。豈以非其人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