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5
  • 서(4)(書(4))
  • 문계원【송규】에게 답함(答文啓元【頌圭】)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5 / 서(4)(書(4))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5.0001.TXT.0001
문계원【송규】에게 답함
지난번 전편(轉便 전전(轉轉)하여 가는 인편)으로부터 산방(山房)에서 지낸다고 들었습니다만, 또한 돌아오셨는지는 알지 못하였습니다. 뜻밖에 배장(裴丈)께서 저를 찾아오시고 겸하여 전폭(耑幅 심부름꾼을 시켜 보내는 편지)을 받았습니다. 감격스러움을 어찌 말로 표현하겠습니까. 자세한 편지 내용을 통하여 존심(存心), 양성(養性), 궁리(窮理), 격물(格物)을 통하여 하루하루 새로워지고자 하는 뜻을 알 수 있었습니다. 존경스럽습니다. 지난번 대곡(大谷 김석구(金錫龜)), 월파(月波 정백언(鄭伯彦)) 두 어른에게 답하는 서한에서 입우(笠友)가 전에는 고원한 곳으로 내닫는 병이 없지 않았지만, 이제는 평이하고 실질적인 곳에 나아가 공부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대체로 이처럼 아름다운 자질로 만약 올바른 문을 찾아 들어간다면 앞으로의 진보를 어찌 헤아릴 수 있겠습니까. 다만 그사이에 의심이 없을 수 없으니 만약 이로 인하여 입을 다물고 잠잠히 있다면 아마도 현자(賢者)가 저에게 편지를 보낸 뜻이 아닐 듯하여 감히 다시 말씀드립니다. 무릇 산방(山房)에서 조용히 조섭하는 공부가 겨우 열흘이 지나서 갑자기 총명함이 자연스럽게 열리는 효과를 얻었다면 그동안 미리 기대하고 소득을 계산하는 사사로운 마음이 있지 않았겠습니까. 모름지기 때마다 진작하고 곳곳에서 깨닫는 일이 나날이 거듭되고 다달이 축적되어 중간에 끊이는 일이 없다면 자연스럽게 확고해지고 자연스럽게 숙련이 됩니다. 어찌 급박하게 판별할 수 있기를 모색하겠습니까. 인용하신 "옛날도 없고 지금도 없으며 무엇이 삶이고 무엇이 죽음인가?"라는 불자(佛子)의 말은 이미 텅 비어 조짐이 없을 때 만상이 빽빽이 갖추어져 있다주 1)는 뜻이 아닙니다. 그런데 현자(賢者)께서는 또 "형(形)과 기(器)를 초월하여 안과 밖, 정(精)과 조(粗)가 없다."라고 설명하여 허물을 더하고 잘못을 꾸미시렵니까? 불자들은 성(性)을 텅 비어 아무것도 없다고 여기기 때문에 말이 이와 같은데 현자의 말씀도 이와 같을 줄은 생각지도 못했습니다. 또한 성인이 미발한 때의 기상(氣象)을 말씀하지 않은 것은 이런 의미가 아닙니다. 비록 미발한 때의 기상에 대해서 충분히 설명하여 학자들에게 보여주더라도 진리를 어지럽히는 학자들의 폐단을 조장하는 데 불과합니다. 그래서 곧 근거하여 지킬만한 형적(形迹)을 얘기해주어 학자들이 이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상달(上達)하도록 했을 뿐입니다.
서한에서 "근원이 깊으면 물줄기가 길고 뿌리를 두터이 북돋우면 가지와 잎이 무성하다."라는 말씀은 가장 긴요한 요점이니 감히 명심하지 않겠습니까. 의림(義林)이 근래 《절요(節要)》를 보고 부끄러움이 꽤 많았습니다. 이전의 잘못을 돌아보니 뒤미쳐 보완할 계책은 없고 세월은 나를 돌보아(기다려) 주지 않는 것이 매우 많았습니다. 책을 어루만지며 마음 아파하려니 무어라 표현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계원(啓元)께서 삼가 경책(警責)해주시기 바랍니다.
주석 1)텅 비어……있다
《이정유서(二程遺書)》 권15에 "텅 비어 조짐이 없을 적에 만상이 삼연히 이미 갖추어져 있으니, 미응이 먼저가 아니고 이응이 뒤가 아니다. 이는 100척의 나무가 근본으로부터 지엽에 이르기까지 모두 일관된 것과 같다.【沖漠無朕, 萬象森然已具, 未應不是先, 已應不是後. 如百尺之木, 自根本至枝葉, 皆是一貫.】"라는 정이(程頤)의 말이 보인다. 미응은 미발(未發) 즉 고요하여 발동하지 않는 때를 말하고, 이응은 이발(已發) 즉 감응하여 마침내 발동하는 때를 말한다. 《근사록(近思錄)》 〈도체(道體)〉에도 소개되어 있다.
答文啓元【頌圭】
向於轉便。聞住山房云。而亦不知返仄與未。謂外裴丈見訪。而兼承耑幅。感感何喩。縷縷足見存養窮格。日新又新之意。可敬可敬。向答大谷月波二丈書。以爲笠友向不無騖遠之病。今却就平實地。做將去云。大抵以若資質之美。苟得其門而入。其進何可量也。但其間不能無疑。若因含黙。恐非賢者勤示之意。敢復仰布。夫山房靜攝工夫。纔踰一旬。遽有聰明自然之效。無乃其間或不無預期計獲之私耶。須時時提撕。處處省覺日累月積。無所間斷。則自然完固。自然純熟。豈以急迫模想所可判耶。所引佛子之言。無古無今。何生何死。已非沖漠無眹萬象已具之意。而賢者又以超於形器之外。無內外精粗之說。增其失而補其過乎。佛子以性爲空無一物。故其言如此。不意賢者之言亦似之也。且聖人不言未發時氣象者。非此意也。雖說出十分氣象示學者。只不過爲學者助長亂眞之敝。故就言形迹可據守處。使之由之。而自然上達耳。所喩發源深者。其流泒長。培根厚者。其枝葉茂。此最切要。敢不銘佩。義林近看節要。頗多感悚。回顧前失。追補無計。而歲月之不恤我與者。已多矣。撫卷悲悵。不知爲喩。惟啓元勤賜警責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