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8
  • 서(7)(書(7))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8 / 서(7)(書(7))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8.0001.TXT.0016
황경함에게 답함
보내온 편지에서 이(理)로서 보면 령(靈)과 신(神)을 이라고 해도 또한 옳고 기(氣)로서 보면 령과 신을 이가 아니라고 해도 또한 옳다는 것은 나의 뜻에도 또한 해가 없는 듯하네. 대저 령과 신은 이기의 묘합(妙合)과 묘용(妙用)을 이르지만 주로 삼는 것은 이에 있네. 그러나 영기(靈氣)의 분수는 비교적 무겁고 신리(神理)의 분수는 가벼우니, 대개 령은 비교적 실하고 령은 비교적 허하며 령은 방소가 있고 신은 방소가 없네. 주자가 말하기를 "'신(神)이 바로 이(理)이다.'라고 한 것은 아마도 그렇지 않은 것 같다."라고 하였고, 또 말하기를 "신을 오로지 기로 간주하는 것은 또 불가하다."라고 하였으니, 단지 이 두 설에서 신의 뜻이 되는 것을 대략 알 수 있을 것인데, 하필 입이 닳도록 괴로이 말하여 반드시 이로 보고 반드시 기로 본 뒤에 마음에 쾌하게 할 것인가? 근세 쟁변(辨爭)은 대부분 이와 같아, 면우(俛宇)는 정상(精爽)을 이로 여기고 심이 음양과 같다는 것을 잘못 기록한 것이라고 여기는데 이르렀으니, 그 주리(主理)의 지나침이 한결같이 여기에 이르렀단 말인가! 나도 모르게 크게 탄식하네. 편지 끝에 "결단코 두 물이다.[決是二物]"라는 것은 말한 것이 과중한 듯하니,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이 어떠하겠는가? 신은 단지 묘용의 이름이고 방체(方體)가 있어 령과 대대(對待)하는 것이 아니니, 과연 주재의 정명(定名)이 될 수 있겠는가? 허령지각(虛靈知覺)이 이미 이 몸의 주재가 되었다면 신은 실로 그 속에 있으니, 별도로 신이 주재가 되고 령이 자조(資助)가 된다고 할 필요가 없네. 영남의 소식이 적막하니, 매번 생각건대 애장(艾丈)이 주리(主理) 처에 또한 어긋나고 지나친 곳이 있을까 두렵네. 어렸을 때부터 같은 문하에서 공부하였으니 늙어서 백발이 되어 견해와 의론이 어찌 달라서야 되겠는가? 한 통의 편지로 질정하려고 해도 할 수가 없네. "형이 있은 다음에 기질의 성이 있다.[形而後有氣質之性]"라는 것, 이것은 지난 날 논하여 언급하였는데 아직도 석연하지 않은 것은 만약 '형현(形見)'의 뜻으로 본다면 마땅히 "발한 뒤에 기질의 성이 있다."라고 해야 하는데, 하필 '형(形)' 자를 말하였는가? 또 "성은 발용하기 이전이다.[性是發用以前]"라는 설은 마치 부자(附子)는 열이 나고 대황(大黃)은 차가우니, 이것은 본연의 성이라는 것과 같네. 토산(土産)이 달라서 차갑고 열이 나는 것이 많고 적음의 차이가 있는 것은 이것은 기질의 성이니, 어찌 반드시 끓여서 마셔본 뒤에 기질의 성이 있다고 하겠는가? 이것을 미루어보면 알 수 있을 것이네.
애장(艾丈)은 근래 소식을 듣는가? 이 어른이 논변한 〈전변(田辨)〉한 편은 박흡(博洽)하고 정상(精詳)하니, 유학을 도울 수 있겠네. 다만 나의 뜻에 한두 가지 의논할 만한 곳이 없지 않지만 이미 이 어른과 서로 확정할 수 없으니, 서로 질정할 수 있는 사람은 그대가 아니겠는가? 주자가 말하기를 "심과 성은 하나이면서 둘이고 둘이면서 하나이다."라고 하였으니, 둘이면서 하나인 것으로 말하자면 심은 실로 이이고, 허령 또한 이이고, 신명 또한 이이며, 하나이면서 둘인 것으로 말하자면 능히 분수(分殊)가 없을 수 없으니, 공자가 이른바 "석 달 동안 인을 떠나지 않았다."라는 것이 이것이네. 이 어른은 바로 분개처(分開處)에서 또한 장차 하나로 합하여 보아서 단지 이것은 하나의 이인데 주재(主宰)하여 상정(常定)하는 것은 심이고 발출하여 같지 않은 것은 성이라고 여겼네. 또 말하기를 "지로 시작하고 경으로 지킨다.[知以始之 敬以守之]"라고 하였으니, 그 뜻은 대개 인(仁)은 실로 이이지만 어기지 않는 것 또한 이라고 여긴 것일 따름이네. 이미 "지로 시작하고 경으로 지킨다."라고 하였다면 '지이(知以)'의 '이(以)'와 '경이(敬以)'의 '이(以)'는 이것은 어떤 물인가? 그가 인용한 주자의 설에 "심은 거울과 같으니, 인이 문득 이 거울의 밝음이다."라는 것이 있으니, 이것이 바로 이 어른이 심과 성이 합일한다는 것을 지극히 말한 증거인데, 이미 거울을 말하고 또 밝음을 말하였으니, 또한 어찌 그 나뉨이 전혀 없다고 이를 수 있겠는가? 거울이 있고 밝음이 있어야 바야흐로 어기지 않는다는 이름이 있으니, 이 어른의 말로 보자면 인은 실로 밝고 어기지 않는 것 또한 밝음이니, 이른바 거울이라는 것은 어디에 있는 것인가? 합일처에는 합일로 보고 분개처에는 분개로 보아야 바야흐로 정당한 안목이니, 그대는 어떻게 여기는가? 《맹자》주에 "수연지(粹然之)"라 한 곳에 대해, 근래 《맹자》본문을 가지고 평상심으로 천천히 궁구해 보니, 그대 설이 뛰어난 듯하고, 능각(能覺)과 소각(所覺)의 설 또한 그러하였네.
答黃景涵
來喩以理看。則靈與神。謂之理亦得。以氣看。則靈與神。謂之不是理亦得者於鄙意亦恐無害。大抵靈與神。是理氣妙合妙用之謂。以所主則任理也。然靈氣分較重。神理分較重蓋靈較實。神較虛靈有方。神無方也。朱子曰。謂神卽是理却恐未然又曰。以神專作氣看。則且不可。只此二說。神之爲義。可以領略矣。何必苦口苦說。必作理必作氣而后。快於心歟。近世辨爭。擧多如此。俛宇至以精爽爲理。以心猶陰陽爲誤錄。其主理之過。一至於此乎。不覺浩歎。幅末決是二物。恐下語過重。更思之如何。神只是妙用之名。非有方體而與靈對待者。則果可爲主宰之定名乎。虛靈知覺。旣爲此身之主宰。則神固在其中矣。不必別言神爲主宰。靈爲資助也。嶺信寥寥耳。每念艾丈於主理處。亦恐有差過處。小少同門。至老白首而見論。豈宜不同。欲作一書相訂而不可得也。
形而後。有氣質之性。此是前日所論及。而尙未釋然者。若作形見義看。則當曰發而後。有氣質之性。何必下形字耶。且性是發用以前說。如附子熱。大黃寒。此本然之性也。若因土産之不同。而寒熱有厚薄之異。此則氣質之性也。何必湯之飮之而後。謂有氣質之性哉。推此可知矣。
艾丈近有信聞否。此丈所辨田辨一篇。博洽精詳。可以羽翼斯文。但於鄙意不能無一二可議處。旣不得與此。丈相確。則所可相訂。非賢者耶。朱子曰。心與性。一而二。二而一。以二而一者言。則心固理也 虛靈亦理也。神明亦理也。以一而二者言。則不能無分殊。如孔子所謂三月不違仁是也。此丈乃於分開處。亦且合一看以爲。只此一理而主宰常定者。心也。發出不同者。性也。又曰知以始之。敬以守之。其意蓋以爲仁固理也。而不違者。亦理也云爾。旣曰知以始之。敬以守之。則其知以之以。敬以之以。是何物耶。其所引朱子說有曰心如鏡。仁便是鏡之明者。此是此丈極言心性合一之證。而旣曰鏡。又曰明。亦豈可謂全無其分耶。有鏡有明。方有不違之名以此丈言觀之。則仁固明也。不違亦明也。所謂鏡者。烏乎在焉耶。合一處合一看。分開處分開看。方是正當眼目。賢以爲何如耶。孟子註粹然之云。近得本文。平心徐究。恐賢說爲長。能覺所覺之說。亦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