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2
  • 서(1)(書(1))
  • 노사 선생께 올림(上蘆沙先生)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2 / 서(1)(書(1))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2.0001.TXT.0002
노사 선생께 올림
깊어 가는 겨울에 한가하고 편안히 쉬는 도체(道體)는 시절에 맞추어 만강(萬康)하신지요. 지난번 한사(漢師 서울)에서 강상(江上)에 도착하여 삼가 우리 선생님께서 음식을 드시고 사람을 대하는 것이 평소와 다름이 없는 것을 보고서 사사로운 정리에 기쁘고 다행스러웠습니다. 물러나 속으로 말하기를 "오늘 사문(師門)에 절하고 내일은 부모님을 뵐 텐데 부모님의 기후 또한 강녕하시다면 멀리 원유한 나머지에 이보다 더 다행스러운 일은 없을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행차가 광주(光州)에 도착하여 어버이의 병환이 위중하다는 소식을 듣고 새벽에 출발하여 저녁 무렵 집에 도착하니, 부친의 건강이 이미 회복되었습니다. 소자가 의지할 곳이라곤 오직 부모님과 선생님뿐인데 부모님과 선생님께서 모두 이처럼 경사스럽고 다행스러운 것을 보니, 저 푸른 하늘에 백번 절하며 감사하고 송축하는 마음 감당할 수 없었습니다. 집으로 돌아온 뒤에 두문불출한 채 스스로 책을 볼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마음의 병근은 종종 외물에 얽매이는 근심이 있었기에 돌아보고 망연자실하였으니, 열흘이나 한 달의 공부로는 문제를 해결하고 병통을 다스려 제거하기 어렵습니다. 급급하게 덕을 닦고 반성하여 이 평생의 대사를 혹 우리 선생님께서 건강하실 때 성취할 가망이 있게 한다면 선생님께서 교육한 의리와 소자가 가슴에 새기고 전수받은 은혜에 거의 유감이 없을 것입니다. 다만 평소의 일은 걸핏하면 이리저리 얽매여 학문에 힘쓰지 못할 뿐만이 아니라 철에 따라 부모님의 봉양을 위해 문득 돌아가야 하니, 어찌 여유롭게 탐구하며 교화에 젖어서 이 쌓인 기습(氣習)의 병통을 변화시키겠습니까. 아, 성인의 시대는 멀어지고 말씀은 사라져 세상의 조류와 함께 도도하게 흘러가 버리니, 온 천하에 우리 도가 있다는 것을 아는 자는 누구이겠습니까. 더구나 세상의 추이는 단서가 많고 선비들의 의론은 여러 갈래여서 나누어진 가운데 또 나누어져 지금에 이르러 극도에 달했습니다. 그러니 그 형세상 어쩔 수 없이 심력을 크게 가지고 출입하여 바로잡은 연후에 가능할 것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소자와 같은 후생이 누구를 따라서 취사할 줄을 어찌 알겠습니까. 선생님께서 아마도 끝내 그 책임을 사양하지 못하실 듯합니다. 다만 배움을 청하는 반열에 저를 일깨워 도와줄 사람이 없지만 미묘한 진리를 열어서 마음에 보존하여 서로 전수하는 규범으로 삼고자 하기에, 소자는 그 사이에서 감개함이 없을 수 없어서 부지런히 하여 그만두지 못하는 것입니다. 몇 조목의 설은 별지에 적습니다.
"성인이 중ㆍ정ㆍ인ㆍ의로써 정하되 정을 주로 한다.[聖人定之以中正仁義而主靜]"라는 대목에서 정(定)과 주(主) 두 자를 가지고 살펴보면 도리(道理)는 사람의 배정(排定)을 기다리는 뜻이 있는 듯합니다. 대저 인의(仁義)와 동정(動靜)은 실로 천연적인 것이라 절로 인력으로 범하지 못하는 도리가 있습니다. 학문이라는 것은 이것을 밝힐 따름이니 어찌 정하고 주로 하기를 기다리겠습니까. 주자가 말하기를 "이 한 구절은 바로 성인이 '도를 닦는 것을 교라고 한다.[修道之謂敎]'라는 곳이다."라고 하였으니, "정(定)"과 "주(主)" 2자는 바로 수도(修道)를 이른 것입니까? 지난번 선생님과 강론하는 자리에서 소자가 '형이상하(形而上下)'의 '상하(上下)'를 가지고 전후(前後)의 뜻으로 간주하니,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기를 "그렇다면 도는 사람과 만물이 화생(化生)하기 전에 있고, 복희씨(伏羲氏)와 신농씨(神農氏) 이하 여러 성인은 모두 이 도에 참여하지 않은 것이니, 이는 이단의 사설(邪說)과 둔사(遁辭) 가운데 심한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이 또한 우리 선생님께서 세도(世道)를 위해 분명하게 밝히고 지극히 힘쓴 곳입니다. 소자가 받아 읽고서는 저도 모르게 송연하였습니다. 그러나 우매한 저의 소견으로는 끝내 깨우치지 못하였습니다. 대저 소자의 뜻은 형상(形上)과 형하(形下)를 분명하게 선후(先後)로 삼지 않는 것은 마치 오늘은 형이상자(形而上者)가 있는데 내일은 형이하자(形而下者)가 있는 것과 같기 때문이었습니다. 즉 한 물건을 가지고 그 소종래(所從來)를 궁구하되, 모름지기 이 이치가 먼저 있었다고 말한다면 이 물건이 형상을 갖추기 전에 먼저 이 물건의 이치가 있는 것이니, 그렇지 않겠습니까. 이것이 소자가 형이상하(形而上下)의 글자를 전후로 간주한 까닭입니다. 만약 곧장 상하(上下)의 글자로 간주한다면 한 물건의 상하 사이에 이(理)와 기(氣)로 구분하는 것이니 너무 엉성한 듯합니다. 주자(朱子)가 "형이상하로 말하면 어찌 선후가 없겠는가.[自形而上下言 豈無先後]"라고 하였으니, 여기에서의 '선후' 자가 어찌 소자가 말하는 '전후(前後)'라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선생님께서 권상리(權上里)에게 답한 편지에 "이(理)는 기(氣)에 섞이지 않고, 이가 먼저이고 기가 뒤이다."라는 설을 누누이 권면하고 경계하셨는데 소자의 질문에 대해서는 이처럼 반대로 말씀하시니 무슨 뜻이 있는 것입니까.
마음은 크고 넓게 가지려고 하면 해이해지기 쉽고, 엄숙하게 가지려고 하면 좁아지기가 쉽습니다. 대저 의도적으로 한다면 크고 넓은 것과 엄숙하게 가지는 양쪽의 뜻을 실로 둘 다 보존하기 어려우니, 모름지기 기상(氣像)에서 체인(體認)하여 얻는 것이 어떻습니까?
희로(喜怒) 등 칠정(七情)주 5) 외에는 더 이상 다른 정이 없습니다. 내가 남을 응대하는 일과 같은 것은 별도로 기뻐하고 노여워하며 슬퍼하고 두려워할 만한 일이 아니니, 어떤 정에 속하는 것입니까? 비록 기뻐하고 노여워할 만한 것이 아니지만 그래도 그렇고 그렇지 않은지의 분별이 있으니, 마땅히 이것으로써 기뻐하고 노여워하는 것을 분별하여 보아야 합니까?
삼가 살피건대, 「기선악도(幾善惡圖)」주 6)는 '성(誠)' 자 아래에 '기(幾)' 자가 있고, '기' 자 아래에 선기(善幾)와 악기(惡幾)의 권(圈)이 있습니다. 대저 발하자마자 곧 선과 악이 있는 것이니, 어찌 반드시 한 '기(幾)' 자를 특별히 세운 뒤에 선기와 악기의 권(圈)이 있겠습니까. 그렇다면 기(幾)의 제1층은 선과 악이 없고, 제2층에 이르러 마침내 선악이 있는 것입니까? 아니면 혹 두 기(幾) 자는 다만 한 기의 뜻을 풀이한 것입니까? 모름지기 마음을 수렴하고 관섭(管攝)하여 한 몸의 생리를 두루 흘러 통하게 한다면 지각(知覺)도 날로 열리니, 이른바 체와 용을 모두 들되 인(仁)이 사덕(四德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으뜸이 된다는 것도 이 뜻입니까?

답장을 덧붙임
그 대략은 다음과 같다. 편지에 눈이 번쩍 뜨일 만한 곳이 있으니, 말해 보겠네. 그대는 타고난 자품이 화락하고 식견이 뛰어나기에 내심 아끼는 것이 실로 적지 않았네. 하지만 언제나 내가 말을 하면 받아들이기만 하고 따지는 것을 보지 못했으니, 이 점이 늘 의아하고 답답하였네. 내 말이 어떻게 매번 도리에 맞을 수가 있겠는가. 설령 도리에 맞을지라도 어떻게 매번 서로 부합하겠는가. 그 사이에 말하지 않고 숨긴 뜻이 있는 것은 아닌가? 이 편지를 보고 나서 지난날 의심이 활짝 안개가 걷힌 듯하였으니 어찌 통쾌한 일이 아니겠는가. 앞으로 편지를 주고받는 일이 있을 때에는 모름지기 이 편지를 본보기로 삼아 조금이라도 온당하지 않은 점이 있으면 꺼리지 말고 끝까지 논박해 주었으면 하는 것이 구구한 나의 바람일세. 별지의 여러 조항은 자잘하게 대답할 만한 것이 없지 않지만 큰 기쁨이 여기에 있기에 다른 데에 미칠 겨를이 없네. 게다가 오전에 붕우에게 답서 한 통을 쓰느라 매우 어지러우니, 후일 인편을 기다려 주게나.【답목(答目)은 아래에 있다.】
주석 5)칠정(七情)
《예기》〈예운(禮運)〉에 "무엇을 인정이라 하는가? 희로애구애오욕이니, 7가지는 배우지 않아도 능한 것이다.[何謂人情? 喜怒哀懼愛惡欲, 七者弗學而能.]"라고 하였다.
주석 6)기선악도(幾善惡圖)
주돈이(周敦頤)가 지은 《통서(統書)》에 나온다. 그 책에 "성무위(誠無爲) 기선악(幾善惡)"이라고 하였는데, 성(誠)은 무위자연(無爲自然)이고 기(幾)는 선악(善惡)이 갈리는 분기점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그 도식(圖式)이 《심경(心經)》 2권 2장에 인용되어 있다.
上蘆沙先生
冬令垂深。禾審燕印道體對時萬康。向自漢師到江上。伏見我先生飮饍酬應之節。不異平常。私心喜幸。退語于心曰。今日拜師門。明日拜親庭。而親而親庭氣候。亦且康適。則千里遠遊之餘。爲幸莫大矣。行到光州。聞有親癠之急。侵晨而發。比暮抵家。則親候己復常。小子依歸之地。惟親惟師。而親師之間。俱見慶幸如此。百拜彼蒼。感頌無任。返巢以後。杜門掃却。自爲看書之筞。然心地病根。種種有惹絆之患。回顧茫然。難以旬月工夫可能捄治而去之也。汲汲修省。使此平生大事。或有所成就之望於我先生康寧之日。則先生敎育之義。小子服受之恩。庶乎無憾矣。但平日事。動輒纒繞。不惟學問之不力。而隨序供候。旋卽告歸。其安能優遊薰蒸變此氣習之積病㢤。嗚乎聖遠言湮。同流滔滔。舉天之下知有吾道者。誰歟。況世趍多端。士論不一。分之又分。至於今日而極矣。則其勢。不得不有大心力人出而正之然後。可也。不然。小子後生。安知適從而取舍耶。恐先生終不得以辭其責也。但摳衣之列。無起予相長之人。而闡微發奧。以爲存心相傳之䂓。小子不能無慨然於其間而孜孜不能者也。數條說。錄在別紙。
聖人定之以中正仁義而主静。以定主兩字觀之。道理似有俟人排定之意。夫仁義動靜。固天然。自有不犯人力底道理也。學問者。所以明此而已。何待於定之主之㢤。朱子曰此一節。是聖人修道之謂敎處。定主兩字。卽修道之謂歟。向於函筵。小子以形而上下之上下。看作前後之義。先生曰。然則道在人物化生之前。而羲農以下羣聖人。皆未與於斯道。此異端邪遁之尤者。此亦我先生。爲世道明辨極力處也。小子受讀。不覺悚然。然愚迷之見。終未回曉。大抵小子之意。不以形上形下爲判然先後。如今日有形而上者。明日有形而下者也。卽一物而究其所從來。須說先有此理。則此物成形之前。先有此物之理者。不其然乎。此小子所以形而上下字。作前後看矣。若直以上下字看之。則一物上下之間。分理分氣。似乎太闊矣。朱子曰。自形而上下言。豈無先後。此先後字。豈非小子所謂前後者歟。先生答權上里書。以理不雜氣。理先氣後之說。累累䂓戒。而於小子之問。如是反之。未知有何義也。
心欲弘廣則易解㪚。欲莊矝則易挾隘。大抵着意爲之。則弘廣與莊矝兩段意。固難倂存。須於氣象上體認得之。何如。
喜怒等七情外。更無他情。若吾之所以應於人者。別非可喜可怒可哀可懼之事。則當屬於何情耶。雖非可喜可怒。而猶有然不然之分。則當以此而分其喜怒看耶。𧫴按幾善惡圖。誠字下有幾字。幾字下有善幾惡幾之圈。夫纔發便有善有惡。何必特立一幾字而后。又有善幾惡幾之圈耶。
然則幾之第一層。無善無惡。而至於第二層。而乃有善惡耶。抑或二幾字。只是註解一幾之義者歟。
須收斂管攝。使一身生理。周流通徹。則知覺亦日開。所謂體用兼舉。而仁爲四德之長者。亦此義歟。


答附
畧曰。書中有開眼處。請言之左右天姿樂易。見識超詣。心乎愛矣。實不淺尠。而每瞽說之下。見其領受。不見其詰難。此一節心常訝欝。吾之言安能每每當理。設或當理。安能每相符合。無乃其間有未發之隱情乎。見此書而後。宿昔所疑。霍然霧除。豈非䙡事。繼今而往復。須以此書爲法。少有未安。勿憚到底掊擊。是區區之望也。別紙諸條。非無可小小仰復者。所大喜在此。不暇他及。且午前。作答書一幅於朋友。眩甚容竢後便。【答目在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