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발문
  • 발(跋)
  • 발(跋)

일신재집(日新齋集) / 발문 / 발(跋)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25.0001.TXT.0001
나의 벗 일신재(日新齋) 정공(鄭公)은 일찍 노사(蘆沙) 선생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장려해 주는 은혜를 입었다. 그리하여 다른 제자들이 듣지 못한 것을 들을 수 있었기에 성명(性命)의 오묘한 이치와 이기(理氣)의 미묘한 이치에 이르기까지 질의하고 문답하지 않음이 없어 환하게 마음에 얻은 것이 있었다. 이를 정성스럽게 가슴에 새겨 저버리지 않아 넉넉하게 도가 이루어지고 덕이 확립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선생에게 들은 것으로 생도를 가르치니 생도들이 날로 늘어나 하분(河汾)주 1)과 호소(湖蘇)주 2)의 풍습이 있었다. 대개 그 조행이 순수하고 독실함과 논변이 정밀하고 확실함에 대해서 문하에 이른 선비들이 모두 참된 마음으로 기뻐하고 복종하여 종신토록 잊지 않았다. 이미 그 유문(遺文)을 간행하여 유포하였고, 지금 또 동문 제자(諸子)의 성명을 모아 1책으로 만들었으니, 강직하고 화락하게 나란히 시립하여 서로 칙려(勅勵)하는 듯하다. 스승이 이끌어 준 뜻을 저버리지 않고 신학문과 이단의 사설에 빠지지 않았으니, 이 문인록(門人錄)이 세교(世敎)에 관계되는 것이 어찌 작다고 하겠는가.
대저 사제 간에 서로 의지하는 의리가 크니, 그 도를 선하게 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그 스승을 높여야 한다. 여지껏 그 스승을 높이지 않고 그 도를 선하게 한 자는 없었다. 제현들의 이 일은 또한 스승을 높이고 도를 선하게 한다고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박 사문 준기(朴斯文準基)가 실로 이 일을 주관하여 그 족인(族人) 병해(炳海)를 시켜 나에게 한마디 말을 책 뒤에 써 주기를 부탁하게 하였다. 내가 "문인록에 어찌 발문을 쓰겠는가."라고 하니, 병해가 말하기를 "송사(松沙) 기 선생(奇先生)이 찬술한 행장이 늦게 나와서 원집(原集)에 부록하지 못하였습니다. 지금 이 문인록에 함께 실으려고 하니, 원하건대 기록해 주십시오."라고 하였다. 내가 일신재에 대해서 동문수학한 우의(友誼)가 있기에 끝내 사양하지 못하였다.
정묘년(1927) 9월 일 금성(錦城) 오준선(吳駿善)이 쓰다.
주석 1)하분(河汾)
수(隋)나라 왕통(王通)이 문제(文帝)에게 태평십이책(太平十二策)을 올렸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황하와 분수[河汾] 사이로 돌아와 1000여 명의 제자를 가르친 고사가 있다. 《文中子世家》
주석 2)호소(湖蘇)
호주(湖州)와 소주(蘇州)이다. 송(宋)나라 때 호원(胡瑗)이 일찍이 호주와 소주의 교수(敎授)가 되어 조약(條約)을 엄격히 정해서 제생(諸生)을 교도(敎導)하되, 경서(經書)의 뜻에 따라 학문을 닦고 행실을 힘써 숭상하게 한 것을 가리킨다. 《小學 善行》
吾友日新鄭公。早登蘆沙老先生門。蒙被奬詡。得聞他弟子所不得聞者。以至性命之蘊奧。理氣之微妙。無不講質而答問。犁然有得於心。眷眷服膺而勿失。優入於道成德立之地。以所得於先生者。訓誨生徒。生徒日進。有河汾胡蘇之風焉。蓋其操履純篤。辨論精確。及門之士。皆心悅誠服。至於沒世而不忘。旣刊布其遺文。今又聚會同門諸子姓名。備載一冊。有若誾侃列侍。互相勅勵。不負師門遵迪之意。不爲新學邪說所移。是錄之有關於世敎者。曷可小哉。夫師資相須之義大矣。欲善其道。必隆其師。未有不隆其師而能善其道者也。諸賢此擧。亦可謂隆師善道者非耶。朴斯文準基。實主是役。使其族人炳海。屬余一言題其後。余謂門人錄安用序跋爲哉。炳海曰。松沙奇先生所撰行狀晩出。未及原集附錄。今將竝載是錄。願有以記之也。余於日新。有同門之誼。不得終辭。
丁卯菊秋日。錦城吳駿善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