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0
  • 서(9)(書(9))
  • 박내영【영주】에게 답함(答朴乃英【瑩柱】)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0 / 서(9)(書(9))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10.0001.TXT.0033
박내영【영주】에게 답함
만나보지 못한 것이 오래되었으니 그리운 마음을 어찌 견딜 수 있겠는가. 이에 한 통의 편지를 받으니 참으로 진귀한 보물과 같네. 인하여 부모를 모시면서 건강이 신령이 보호하여 좋다고 하니 더욱 듣기 바라던 바이네. 나는 병든 모습이 이전과 같으니 달리 할 말이 없네. 보내준 편지에서 눈은 피상적인 것에 내달리기만 하고 마음은 핵심에 어둡다고 하였는데, 이는 참으로 겸손한 말이네. 그러나 또한 어진 그대에게 전혀 이런 병이 없다고 할 수도 없을 것이네. 나는 그대에게 매번 이것으로 한번 충고해주려고 하였네. 지금 그대는 스스로 그러한 병을 알고 있는데다가, 또한 차의(箚疑)의 몇 가지 조목을 편지 끝에 써서 보냈는데 피상적인 것에 내달리는 습관을 없애고 핵심의 지경에 들어간 것을 알 수 있으니, 위안이 됨이 그치지 않네. 옥백(玉帛)과 종고(鐘鼓)는 이미 예악에 쓰이는 것이지만 그 쓰임만 있고 근본이 없으면 장차 어떻게 쓰임이 되겠는가. 만약 '소나무를 심고 잣나무를 심은 뜻'주 120)에 대해 묻는다면 분명 대답해 줄 말이 없을 것이지만, 과연 그대 편지처럼 그 말을 견강부회함이 어찌 '백성으로 하여금 전율케 하려는 것.'이란 말과 비슷하지 않을 것이라 확신하겠는가. 관중은 그릇이 적지만 공은 크다고 하였는데,주 121) 그릇이 적다고 해서 그 큰 공까지 인정하지 않는 것은 아니니, 이 또한 성인의 지극히 공정한 마음이네.
주석 120)소나무를……뜻
《논어》 〈팔일(八佾)〉에 "애공이 재아에게 사에 대하여 물으니, 재아가 대답하기를, '하후씨는 소나무를 사용하였고, 은나라 사람들은 잣나무를 사용하였고, 주나라 사람들은 밤나무를 사용하였으니, 백성들이 전율을 느끼게 하도록 해서였습니다.'[哀公, 問社於宰我, 宰我對曰夏后氏以松, 殷人以柏, 周人以栗, 曰使民戰栗.]"라고 하였다.
주석 121)관중은……하였는데
《논어》 〈팔일(八佾)〉 제25장에서 "관중의 기국이 작구나!〔管仲之器小哉!〕"라고 한 것과 〈헌문(憲問)〉 제17장에서 자로(子路)가 관중은 인(仁)하지 못하다고 하자, 공자가 "환공이 제후들을 규합하되, 무력을 쓰지 않은 것은 관중의 힘이었으니, 누가 그의 인만 하겠는가, 누가 그의 인만 하겠는가?〔桓公九合諸侯, 不以兵車, 管仲之力也, 如其仁, 如其仁?〕"라고 한 것을 말한다.
答朴乃英【瑩柱】
不相見久矣。懸懷曷任。一書眞百朋也。因審侍省節宣。神相佳吉。尤協願聞。義林病牀如前。無足提喩。示中眼走皮毛。心昧肯緊。此固撝謙之語。然亦不可謂賢者全無此病也。區區和相向。每欲以此爲一奉規矣。今賢者自知其病。又有箚疑數條。錄在紙尾。其祛皮毛之習。而入肯緊之域。可以見矣。慰仰亡已。玉帛鍾鼓。旣是禮樂之用。則有其用而無其本者。將何以爲用哉。若問以松以柏之義。必無辭可對。果如來諭。又安知傳會其說。不似使民戰栗者乎。管仲器則小而功則大。不可以器之小而不與其功之大。此亦聖人至公之心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