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6
  • 서(5)(書(5))
  • 양처중에게 답함(答梁處中)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6 / 서(5)(書(5))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6.0001.TXT.0007
양처중에게 답함
일전에 왕림하여 주어서 얼마나 감사한지 모르겠습니다. 병들어 쇠약하여 근근이 목숨을 부지하고 있으니, 지팡이를 집고 찾아가서 답례할 예의도 갖추지 못했는데, 세월이 쏜살같이 흘러서 거의 한 달이 지났습니다. 근래에 경학에 힘쓰며 지내시는 생활은 때에 맞추어 평안하신지 모르겠습니다. 우러러 그리워하는 구구한 마음을 견디지 못하겠습니다. 저는 어려서부터 학문에 제대로 힘을 쏟지 못하였고 늙어갈수록 더욱 황폐해지고 있는데, 날은 저물고 갈 길은 머니 도에 이르지 못할까 절박하게 한탄만 할 뿐입니다. 애산(艾山)의 자【尺】와 저울【枰】에 대한 가르침은 전날에 우리 두 사람이 마주하여 펼친 내용들이 모두 담겨 있었습니다. 그런데 대체로 합일(合一)과 분수(分殊)를 성(性)의 측면에서 보는 것은 합당하나, 거기에 심(心)이라는 한 글자를 더하여 넣어서 합일로 간주하는 것은 합당하지 못합니다. 일전에 영남의 선비 한 사람이 호남의 한 곳에 보내온 편지를 본 적이 있습니다. 그 편지에 "치우쳐서 말하면 성(性)이요, 전체적으로 말하면 심(心)이다"라고 하였고, 또 "오성(五性)은 각기 하나의 이치가 있는데, 그것을 하나로 합하는 것이 바로 심(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이 설이 영남의 여러 노숙(老宿)의 입에서 나왔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만약 이 설과 같다면, 찬연히 분명히 나뉜 것이 성(性)이고 혼연하여 하나로 된 것이 심(心)이며, 소덕(小德)이 성이고 대덕(大德)이 심이며, 체용(體6用)이 서로 다른 성품이고 본말(本末)이 서로 다른 형상이니, 그 뜻이 불가함이 당연합니다. 무릇 심(心)에 대해 극히 정미한 경지에서 말한다면, '심(心)은 태극(太極)과 같다'라 하고, '오직 심(心)만이 상대되는 것이 없다'라고 하며, '몸에서 주재하는 것이 심(心)이다'라고 한 것입니다. 이 경계에 이르러 말하면, 심(心)이 곧 성(性)이고, 성이 곧 심이니, 어찌 구별하여 말하여 한 개의 성(性)자를 심(心)과 서로 견주어서, 한편으로는 치우침에 속했다가 한편으로는 전체에 소속시키겠습니까. 경함차록(景涵箚錄) 책자에 또한 이 내용이 담겨 있으니, 그와 함께 찬찬히 서로 의논하여 확실하게 정하는 것이 어떠하겠습니까.
答梁處中
日者枉顧。何等感戢。而病骨殘喘。末由杖。策以擧回謝之儀。而駸駸日月。又爲幾旬朔矣。未審經體動靜。與時安宜。溯仰區區不任。義林少而不力。老益荒廢。日暮道遠。只切難逮之恨而已。艾丈尺枰之喩。前日吾兩人對攄之說盡矣大抵合一分殊當於性上看不當添入一心字以作合一看。日前得嶺儒一人抵湖南一處書。有曰。偏言則性。全言則心。又曰。五性各一其理。而其所以合一者心也。未知此說出於嶺中諸老宿之口耶。若此說。則粲然底是性。渾然底是心。小德也是性。大德也是心。體用異品。本末殊狀。其不可也決矣。夫心極其精而言之。則曰心猶太極也。曰惟心無對。曰主於身爲心。說到此境界。心便是性。性便是心。豈別說出一箇性字與心對頭。使一屬之偏。一屬之全哉。景涵箚錄冊子中。亦有此意。幸與之從容商確。如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