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6
  • 제문(祭文)
  • 문익중에 대한 제문(祭文翊中文)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6 / 제문(祭文)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16.0001.TXT.0029
문익중주 134)에 대한 제문
우리 두 사람은 처음에 얼굴로만 사귄 것이 10년이었고 마침내 마음으로 사귄 것이 10년이었으니, 취미는 날로 더욱 서로 부합하고 경계는 날로 더욱 서로 친밀하고 서로 따르는 것은 날로 더욱 서로 부지런하였는데, 사생과 유명으로 작별함이 갑자기 오늘에 있을 줄 어찌 알았으랴!
오호라! 공은 법도 있는 가문에서 생장하여 평소에 영향을 받은 것이 있고 타고난 자질이 아름다워 잡아 지키는 것이 여유가 있어, 평탄함과 험준함이 일정하지 않아 겪은 세월이 점점 많아짐에 이르러서도 좋아하고 숭상하는 것이 쇠하지 않고 취사가 더욱 정밀하여 그 모으고 머물렀던 것으로 만년의 절개를 보호하고 지켰던 것은 넉넉히 여유가 있었는데, 조물주가 좋지 못하여 좋은 일에 장난이 많았으니, 애통하고 애통하도다!
의림(義林)은 부모 잃은 여생에 형제가 드문 외로운 신세로 노년에 의지할 이는 오직 벗들 뿐이었는데, 나를 알고 나를 아끼는 공과 같은 사람이 또 나를 버릴 줄 누가 알았겠는가? 가장 생각할 만한 것이 있으니, 공이 돌아가시기 전 5일에 내가 와서 문병하자 공이 손을 잡고 울면서 영결하면서 고아를 부탁하였고, 다음날 또 손수 편지를 써서 작별을 고하면서 다시 앞서의 부탁을 말하였네. 무릇 죽음에 임하여 고아를 부탁하는 것은 반드시 백수(白水)와 병산(屛山)주 135) 같은 사람이라야 감당할 수 있고, 멸렬하고 용렬함이 엎어진 물을 다시 담을 수 없는 것 같은 내가 어찌 능히 담당하겠는가. 그러나 내가 목석이 아닌 이상 평생의 벗이 돌아가실 때 부탁한 것에 대해 힘은 비록 미치지 못하더라도 마음은 어찌 갑자기 잊어버리겠는가. 영령이 지각이 있다면 이 어리석은 충심 알아주시게.
주석 134)문익중(文翊中)
문봉환(文鳳煥, 1849∼1890)을 말한다. 자는 익중(翊中), 호는 오계(梧溪), 본관은 남평(南平)이다. 자세한 행적은 《일신재집》 권19 〈오계 문공 행장(梧溪文公行狀)〉에 보인다.
주석 135)백수(白水)와 병산(屛山)
백수(白水) 유면지(劉勉之)와 병산(屛山) 유자휘(劉子翬)를 말한다. 주희의 아버지가 병이 위독했을 때 아들 희(熹)에게 유언으로 말하기를 "적계 호원중, 백수 유치중, 병산 유언충 세 사람은 학문에 연원이 있어 내가 공경하고 두려워하는 분들이니, 내가 죽거든 네가 가서 그분들을 스승으로 섬기어 오직 그분들의 말씀을 들어야 한다.[籍溪胡原仲、白水劉致中、屛山劉彦沖三人, 學有淵源, 吾所敬畏, 吾卽死, 汝往事之, 而惟其言之聽.]"라고 하였다. 《宋史 卷429 道學列傳 朱熹》
祭文翊中文
吾兩人。始以面交者爲十年。終以心交者爲十年。臭味日益相符。規警日益相密。從逐日益相勤。豈知死生幽明之別。遽在今日耶。嗚呼。公生長法家。擩染有素。稟賦美質。操守有餘。至於夷險不一。閱歷漸多。而好尙不替。取舍愈精。其所以蓄聚住停。爲保守晩節之計者。綽有餘地。造物不媚。好事多戱。痛哉痛哉。義林風樹餘生。終鮮煢煢。殘暮所賴。惟是朋友。誰知知我愛我如公者。又且棄我耶。最有所可念者。公歿前五日。余來問疾。公執手泣訣。託以遺孤。翌日又手書告別。復伸前託。夫臨歿遺孤之託。必白水屛山而後。可以當之。顧滅裂頹塌。如倒水不起者。安能擔負也。然我非木石。其於平生知舊臨歿之託。力雖未逮。心豈遽忘。靈其有知。諒此愚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