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2
  • 서(1)(書(1))
  • 성재 유 어른【중교】께 올림(上省齋柳丈【重敎】)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2 / 서(1)(書(1))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2.0001.TXT.0014
성재주 30) 유 어른【중교】께 올림
연전에 두 통의 편지를 보낸 것은 실로 오랫동안 앙망해 오던 마음에서 나왔습니다. 하지만 거리가 멀어서 매번 전해지지 못할까 의심하였습니다. 그런데 한 달 전에 함평(咸平)의 인편을 통해 뜻밖에 은혜로운 편지를 보내 종이 가득 온갖 말을 나열해 주시니, 그 순순하고 측달한 말씀은 비록 10년 동안 강석 사이에서 부지런히 배우며 정성을 다한 자라도 어찌 이보다 더 하겠습니까. 아, 덕이 성대하고 예가 공손한 문장(文丈)께서 멀리 있는 사람을 잊지 않고 보잘것없는 사람을 버리지 않는 지극한 뜻을 알았습니다. 돌아보면 이렇게 무능하고 어둡고 용렬한 사람이 어떻게 감당하겠습니까. 삼가 사양하고자 하지만 그렇게 할 수 없습니다. 소생은 젊어서 노사(蘆沙 선생을 스승으로 섬겼는데 학업을 마치기 전에 갑자기 스승님이 돌아가시는 슬픔을 만났습니다. 저는 삼가 생각건대, '천하가 도도하게 흐르니, 이 몸을 의지할 곳이라곤 오직 화서(華西) 문하의 두세 군자일 따름이다.'라고 여겼습니다. 그러나 신일신과 집안은 채무로 나락으로 떨어져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느라 거처할 겨를이 없는 지 십수 년 되었습니다. 비록 문하에 찾아가 인사드리지는 못했지만 기대하고 기다리며 어찌 하루라도 잊은 적이 있었겠습니까. 그러나 위엄이 매우 엄절하고 예수(禮數)가 본디 있으니, 어찌 감히 스스로 총애를 믿고 갑자기 번거롭게 해 드리는 죄를 짓겠습니까. 이것이 이전 편지에서 아뢰지 않을 수 없었고 또한 감히 소략하게 하지 않을 수 없었던 이유입니다. 이윽고 편지를 주고받을 길이 열려 묻고 가르치는 교분을 이미 맺었으니 구구한 마음에 위로되고 흡족함을 말로 형용할 수 없습니다. 보내온 편지에 "학문을 논하자면 주리(主理)를 큰 종지(宗旨)로 삼고, 시의(時義)를 논하자면 오랑캐를 물리치는 것을 제일의로 삼는다."라고 하였고, 또 "우리 유자의 학문은 실로 나아감에 바름을 얻는 것을 급선무로 여기고 바름을 얻은 뒤에는 또 반드시 덕을 증진하고 학업을 닦는 절도가 두루 다하여 치우치지 않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라고 하였습니다. 이는 천고에 폐할 수 없는 불변의 법칙이고 오늘날 병폐를 치료할 수 있는 진정한 처방전이니, 감히 명심하여 좌우명으로 삼아 아침저녁으로 돌아보고 살피는 방도로 삼지 않겠습니까. 그러나 "주리(主理)" 2자는 소생이 일찍이 노사 선생의 문하에서 들었고, 나중에 또 벽계(檗溪) 선생의 편지에서 보았습니다. 아, 이(理)는 실로 기(氣)의 주재이니, 어찌 사람이 주재하기를 기다리겠습니까. 세상에 주기(主氣)의 폐단이 지극합니다. 태극을 논하면 대기(帶氣)라고 하고, 오상(五常)을 논하면 인기(因氣)라고 하며, 명덕(明德)을 논하면 형이하(形而下)라고 하며, 중화(中和)를 논하면 화(和)를 기로 삼고, 비은(費隱)을 논하면 비(費)를 기로 삼습니다. 삼강오륜(三綱五倫)에 이르러서는 무릇 용(用)에 발하여 행(行)에서 베풀어지는 것이 조금이라도 조리가 있고 조금이라도 신묘하면 모두 기라고 하면서 마침내 이(理)를 미련하고 흐릿한 것으로 삼아 기식(氣息)이 없는 한 덩어리 죽은 물체로 여기니, 이것이 과연 강충(降衷), 병이(秉彛), 서질(敍秩), 명토(命討)의 의리입니까. 두 선생이 고심하여 매우 힘써서 사문(斯文)과 세도를 위해 계책을 세운 것이 실로 굳건하여 어그러지지 않고 질정해도 의심이 없을 수 있었습니다. 벽계(檗溪)의 문하에 다행히 여러 노련하고 덕이 훌륭한 분들이 있어 또 이어서 밝게 서술하였고, 영호남의 선비들이 또 왕왕 믿고 따르는 자가 있어 두 선생의 논의가 세상에 유행하게 되었습니다.
연간에 삼가 문장(文丈)의 말씀을 들으니 심(心)은 기(氣)이지 이(理)가 아니며, 물(物)이지 칙(則)이 아니라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설이 과연 옳은지 모르겠습니다. 문장께서 사문(師門)의 종지(宗旨)를 받아 힘써 주리론(主理論)을 주장하시지만 그 논의가 만약 과연 이와 같다면 또한 그 사이에 달리 의의가 있는 것입니까? 대략 비루한 견해를 아뢰어 가부의 명을 듣겠습니다. 대저 이와 기는 통틀어 말한다면 기는 다만 이 가운데의 일이니 나란히 하거나 비교할 것이 아닙니다. 나누어 말한다면 형상(形上) 형하(形下)가 이것입니다. 그러나 주자(朱子)가 이 형상 형하의 뜻을 논하여 말하기를 "형의 유무를 가지고 말하면 물과 이가 서로 단절되어 있다."라고 하였으니, 만약 형체가 없는 것이 이가 되는 것을 알고 형체가 있는 것은 처음에 도가 아님이 없는 것을 알지 못한다면 단절되는 것에 가깝지 않겠습니까. 심이라는 물건은 지극히 허령하여 당체(當體)에 있어서는 실로 기의 정상(精爽)주 31)이 되고 기타 질실(質實)한 골자(骨子)는 어찌 일찍이 이 이가 아니겠습니까. 이것은 선각(先覺)이 어떤 때는 이로 말하였다가 어떤 때는 기로 말한 것이 실로 한두 번이 아닙니다. 지금 어찌 유독 그 기가 되는 것만 인정하고 이가 되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것입니까. 게다가 일찍이 문장(文丈)께서 완이(莞爾) 어른과 저의 스승님께서 문인과 문답한 몇 조항의 말을 논한 것을 구해서 읽은 적이 있는데 사람을 경계하여 깨우친 것이 매우 많았습니다. 다만 그 가운데 "가만히 노사(蘆沙)의 뜻을 살펴보면 흡사 선과 불선이 함께 태극에 근본하는 듯하다."라는 말이 있었는데, 이는 스승님의 뜻이 전혀 아닙니다. 스승님의 말씀 가운데 "'선악은 모두 천리(天理)이다.'라고 한 것은 두 가지가 나란히 하여 각자 나온 것이 아니다. 그것은 바로 천하에는 본래 악이 없다는 것인데 이른바 악이란 것은 바로 선의 얼자(孼子)이니, 얼자는 일찍이 자기의 혈통이 아닌 것이 없으므로 악 또한 천리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주 32)라고 하였고, 또 말하기를 "천하에는 두 가지 종자가 있을 수 없으니, 악이라 할지라도 또한 선에 뿌리를 두고 생겨난 것이다."라고 하였고, 또 이르기를 "원두(原頭)로부터 말한다면 이(理)는 본래 기를 낳고 유행(流行)으로부터 말한다면 기는 혹 이를 해친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평소에 늘 하신 말씀입니다. 「답김경범문목(答金景範問目)」에 "우매한 자를 위해서 한 말이다. 그러니 어쩔 수 없이 선한 것은 이(理)에 근본하고 불선한 것은 기에서 만들어진다고 한 것이다.……"라고 한 것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대저 평상적으로 말한다면 불선은 기에서 만들어진다고 하더라도 괜찮지만, 극단적으로 말한다면 불선 또한 이(理)에서 생겨납니다. 이를테면 정자(程子)가 이른바 "악 또한 성(性)이라고 이르지 않을 수 없다."라고 한 것과 같으니, 대저 어찌 정자의 말을 가지고 선악이 태극에서 함께 근본하였다고 하겠습니까. 조금이라도 식견이 있다면 그래도 성악설을 주장하지는 않을 텐데 어찌 스승님께서 이러한 말을 하였겠습니까. 또 완이(莞爾) 어른의 문목을 보니 "일(一)은 이(理)가 관통함이요, 만(萬)은 형(形)이 다른 것이다."라고 하였고, 또 말하기를 "어찌 만 가지로 나뉘는 이(理)가 있은 이후에 만 가지 다름에 대응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으니, 이 설은 저의 생각에 선명하지 않은 것이 많습니다. 일(一)이라는 것은 만 가지가 모인 것이고, 만(萬)이라는 것은 일이 나누어진 것이니, 어찌 일을 이(理)로 삼고 만을 형(形)으로 삼겠습니까. 만(萬)은 일(一)이 나누어진 것이니 만 가지로 나뉘는 이치가 이미 일(一)에 갖추어져 있는데, 어찌 본래 만 가지로 나뉘는 이(理)가 없어서 때에 임하여 배정해서 만 가지 다름에 응하겠습니까. 문장(文丈)의 답서를 보니, 한마디 말도 옳지 않다고 한 것이 없었습니다. 한 부(副)의 강토(講討)가 이미 답서 외에 있는 것입니까? 바라건대, 재량하여 가르쳐 주시어 몽매한 이를 깨우쳐 주십시오. 그렇게 해 주시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날씨가 점점 추워지니 다시 바라건대 도를 위해 더욱 보중하십시오.
주석 30)성재(省齋)
유중교(柳重敎, 1832~1893)로, 본관은 고흥(高興), 자는 치정(穉程), 호는 성재이다. 한말에 위정척사(衛正斥邪)를 주장하였고, 심설(心說)에 대한 학술 논쟁을 전개하는 등 학문에 전념하였다.
주석 31)정상(精爽)
《주자어류(朱子語類)》에서 "마음은 기의 정상이다.[心者, 氣之精爽也.]"라고 하였는데, 정상은 일종의 신명(神明)과 같다. 마음은 이 신명이 있어서 지각운용(知覺運用)의 묘(妙)를 발현하게 된다.
주석 32)선악은……없다
이 내용은 《노사집(蘆沙集)》「담김경범(答金景範)」에 보인다.
上省齋柳丈【重敎】
年者再度奉書。固出於積仰之私。而程途遙夐。每疑其不免浮沈。月前咸平便。不謂辱賜惠幅。滿紙臚列極其諄惻。雖十年席間服勤致情者。何以加此。於以見文丈德盛禮恭。不忘遐遠。不遺細微之至意也。顧此悾悾昧劣。何以當之。切欲解使去已而不可得也。生少師蘆沙先生。未及卒業。而遽遭山樑之痛。區區竊念寰宇滔滔。可以爲此身依歸之地者。惟是華西門庭數三君子而已。然而身家債業。墜在於水山雲雷之中。流離瑣尾。不遑其居。以來十數年矣。雖未能抱刺踵門。而期擬等待者。何嘗一日而忘也。然等威切嚴。禮數自在。則豈敢自恃隻愛。而遽犯煩瀆之罪乎。此前書所以不能不達。而亦不敢不略也。旣而一往一復。書路已開有問有敎。契分已定。區區慰洽。不容名喩。下喩有曰。論學問則以主理爲大宗旨。論時義則以斥羊爲第一義。又曰吾儒之學。固以趨向之得正爲急先務。而及其待正。則又必以進修節度之周盡無偏爲貴。此是千古不刊之典要。今日對證之眞劑。敢不書紳銘座。爲日夕顧諟之方也。然主理二字。生嘗聞之於蘆沙先生之門矣。後又得見於檗溪先生之書矣。嗚呼。理固氣之主。何待乎人之主之也。世之主氣之獘極矣。論太極則謂之帶氣。論五常則謂之因氣。論明德則謂之形而下。論中和則和爲氣。論費隱則費爲氣。以至三綱五倫。凡發於用施於行者。才有條理。才涉神妙。皆謂之氣。遂以理爲冥頑儱侗。没氣息底一塊死物。此果降衷秉彛敍秩命討之義耶。二先生所以苦心極力。爲斯文世道計者。實可以建不悖而質無疑矣。檗溪之門。幸有諸老長德。又從而紹述之。嶺湖士子。又有往往信從者。庶幾二先生之論。見行於世矣。年間伏聞文丈之言。以爲心氣也。非理也。物也。非則也。未知此說果爾否。文丈受師門宗旨。力主主理之論。而其論若果如此。則抑別有意義於其間耶。略陳鄙見以聽可否之命。夫理與氣。統言之。則氣只是理中事。非比倂對峙之物也。分言之。則形上形下是也。然朱子論此上下之義曰。若以無形有形言之。則便是物與理相間斷了。若知無形之爲理。而不知有形之未始非道。則不其幾於間斷乎。心之爲物。至虛至靈。在當體。固爲氣之精爽。而其他骨子實頭處則何嘗不是理耶。此先覺所以或以理言或以氣言者。固不一二矣。今何獨與其爲氣而不與其爲理也。且曾得文丈與莞爾丈論鄙師門與門人問答數條語。讀之。其警發人。甚多。但其中有曰。竊觀蘆沙之意。恰似善不善同根於太極。此則甚非先師之意也。先師之言曰。善惡皆天理云者。不是兩端倂立。各自出來。正以天下本無惡。而所謂惡者。乃善之孼子。孼子未嘗非已之血脈。故惡亦不可不謂之天理也。又曰。天下不容有兩種子。雖慝亦根於淑而生者也。又曰。自原頭言。則理本生氣。自流行言。則氣或害理。此其平日雅素之言也。至若答金景範問目有曰。爲昧者言。不得不曰。善者根於理。不善者作於氣云云。夫平說則謂不善作於氣可也。極言之則不善亦生於理。如程子所謂惡。亦不可不謂之性也。夫豈以程子之言謂善惡同根於太極乎。稍有知識者。猶不爲性惡之說。豈先師而有是言乎。又見莞爾丈問目有曰。一者理之通萬者。形之異。又曰。豈有萬分之理而後。可以酬應萬殊乎。此說。於鄙意多未塋。一者萬之總。萬者一之分。豈以一爲理而以萬爲形乎。萬爲一之分。則萬分之理。已具於一矣。豈本無萬分之理。而臨時排定。以應萬殊乎。見文丈答書。無一言以爲不然者。未知一副講討。已在於答書之外耶。望乞俯賜裁敎。以開蒙蔀。如何。天氣漸寒。更乞爲道增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