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6
  • 서(5)(書(5))
  • 민자경【관호】에게 답함(答閔子敬【寬鎬】)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6 / 서(5)(書(5))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6.0001.TXT.0024
민자경【관호】에게 답함
이별한 뒤에 소식을 갖가지로 주고받지 않은 것이 아니지만, 벗을 떠나 쓸쓸히 살아가는 감회는 마치 풀을 베어도 다시 자라나는 것과 같습니다. 뜻밖에 보내주신 편지주 72)는 위로됨이 말할 나위가 없습니다. 하물며 문목(問目) 한 장은 핵심적이고 절실한주 73) 말이 아님이 없습니다. 읽어보면 황홀하여 마치 한 공간에서 무릎을 마주 대고 있는 것 같아 그 맛이 한량이 없었습니다. 보내주신 시편은 더욱 정성스럽고 간곡한 뜻을 볼 수 있어서 읊조리기를 그칠 수가 없었습니다. 다만 부탁이 과중하여 제가 감당할 수 없는 점이 있습니다. 서로 아는 입장에서 어찌 이러한 일이 있겠습니까. 문목(問目)에 대해서는 삼가 저의 뜻으로 답을 하여 보내드립니다만, 확실한 결론주 74)으로 삼지는 말아 주시고 더욱 자세히 생각하여 의견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고요할 때 잠이 많은 것은 지(志)가 기(氣)를 통솔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고인(古人)이 정신을 깨우치는주 75) 말을 한 이유입니다. 그런데 정신을 깨우치는 것은 또한 어떻게 공부해야 하겠습니까? 다만 용모를 움직임에 거만함을 멀리하고주 76) 생각을 정돈하면 자연스럽게 깨어 있게 되어 잃어버린 마음을 수습할 수 있습니다. 마음을 이미 잃어버렸다면 구하는 사람은 누구이겠습니까? 무릇 잃어버린 것은 마음이고, 구해야 할 것 역시 마음입니다. 이것은 서로 대하고 있는 두 마음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이것은 잠깐 놓아버리면 구할 수 없고 잠깐 구하면 방일하게 되지 않게 되는 것은 마치 추위와 더위가 번갈아 오는 것과 같습니다. "인심(人心)이 스스로 움직이면 그것은 곧 놓아버리는 것이다."주 77)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정부자(程夫子)의 말씀이지 공자(孔子)의 말씀이 아닙니다. 보내주신 편지에서 단지 '부자왈(夫子曰)'이라고 일컬은 것은 아마도 구별이 없다는 혐의가 있을 듯합니다. 다만 정자(程子)가 인심(人心)에 대해 말한 것은 사람의 마음을 통틀어 말한 것입니다. 위대한 순(舜) 임금이, 인심(人心)의 형기(形氣) 측면을 가리켜 말한 것입니다.
주석 72)편지
원문은 '심화(心畵)'인데 이는 《법언(法言)》의, "말은 마음의 소리요, 서예는 마음의 그림이다."고 한 데서 나왔다.
주석 73)핵심적이고 절실한
원문은 '긍긴(肯緊)'인데, 긍경(肯䋜)의 뜻으로, 뼈와 근육이 한데 엉켜서 칼을 대기가 어려운 부위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을 이른다. 《장자(莊子)》 〈양생주(養生主)〉에 "소의 관절 사이에는 빈틈이 있고 나의 칼날은 두께가 없으니, 두께가 없는 그 칼을 빈틈이 있는 관절 사이에 집어넣으면, 그 공간이 넓고 넓어 칼을 놀릴 때 반드시 여유가 있게 마련이다. 따라서 근육과 뼈가 엉켜 있는 복잡한 부위에도 칼날이 다쳐 본 적이 없는데, 더구나 큰 뼈와 같은 것이겠는가."라는 백정의 말이 있다.
주석 74)확실한 결론
원문은 '귀숙(歸宿)'인데 자리 잡고 머무른다는 의미이다.
주석 75)정신을 깨우치는
당(唐)나라 때 서암(瑞巖)이란 승려가 매일 스스로 자문자답(自問自答)하기를, "주인옹아! 깨어 있느냐?" "깨어 있노라."라고 하였다 한다. 《심경(心經)》에서, 마음이 외물(外物)에 이끌리지 않도록 시시각각(時時刻刻) 일깨우는 지경(持敬) 공부의 한 방법이다.
주석 76)용모를 움직임에 거만함을 멀리하고
증자(曾子)가 "군자가 도에 귀한 것 세 가지가 있으니, 용모를 움직임에 포만함을 멀리하며 안색을 바르게 함에 믿음에 가깝게 하며 말을 냄에 비루하고 도리에 어긋남을 멀리하라.【君子所貴乎道者三, 動容貌, 斯遠暴慢矣, 正顔色, 斯近信矣, 出辭氣, 斯遠鄙倍矣.】"라고 한 것을 이른다. 《論語 泰伯》
주석 77)인심(人心)이 …… 놓아버리는 것이다
《이정유서(二程遺書)》 권18 〈유원승수편(劉元承手編)〉에 나오는 말이다.
答閔子敬【寬鎬】
別後消息。非不種種。離索之懷。如剗草復生。料外心畵。慰不可言。況問目一紙。無非肯緊親切語。讀之。怳然若同堂促膝。趣味津津。瓊律尤見懇惻之意。諷咏無已。但見屬過重。有令人不敢當處。相悉之地。豈容有是。問目謹以鄙意答去。勿爲歸宿。更加細思。幸以見示也。
靜時多睡。此是志不率氣之故。此古人所以有喚醒之語。然喚醒亦着何功夫。只是動容貌。整思慮。則自然惺惺。求放心。心旣放。求之者誰。夫放之者心也。求之者亦心也。此非有兩心相對。只是纔放不求。纔求不放。如寒暑相禪人心自由。便放去。此是程夫子言。非孔子言。來諭但稱夫子曰者。恐嫌無別。但程子之言人心。是統言人之心也。大舜之言人心。是指形氣一邊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