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8
  • 서(7)(書(7))
  • 보냄(如黃景涵)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8 / 서(7)(書(7))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8.0001.TXT.0014
보냄
논한 여러 설은 지난 인편이 매우 바빠 언급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또 혹시 다시 생각하여 혹 새로운 견해가 있기를 기다린 것이네. 지금 며칠이 지났지만 오히려 깜깜하기는 여전하니, 도리어 한갓 답장을 못한 허물만 지고 있을까 두렵네. 이에 옛날 견해를 대략 펼치니, 다시 헤아려 보는 것이 어떠하겠는가?
주자가 말하기를 "기는 용사하지 않는다."라고 하였는데, 이미 기라고 말하고 또 용사하지 않는다고 하였으니, 그 뜻은 대개 "기는 실로 있지만 다만 용사하지 않는다."라는 것일 뿐이요, 어찌 일찍이 갑자기 바꾸어 성인의 기질이라 하기를 그대가 말한 것 같이 하였던가? 비유하자면, 더러운 그릇에 물을 담았는데 물이 잔잔하여 움직이지 않으면 그 맑음은 깨끗한 그릇에 담았던 것과 다름이 없지만 그 그릇은 깨끗한 그릇과 같다고 할 수 없는 것과 같네. 그렇다면 "미발일 때 기는 청탁이 없다."라고 한다면 가하지만 "미발일 때의 기질은 이발일 때의 기질이 아니다."라고 한다면 불가하네. 만약 그대의 말과 같다면 미발과 이발의 두 가지 경우의 기질이 있다가 잠깐 사이에 미치광이가 변하여 성인이 되고 순임금이 변하여 도척(盜跖)이 되니, 이것이 과연 의체(義諦)인가? 출입에 때가 없다는 것은 이것은 실로 심을 이른 것이니, 일찍이 기질 또한 갑자기 왔다가 갑자기 갔다고 말했던가? 갔다면 어느 곳으로 갔으며, 왔다면 어느 곳에서 왔는가? 만약 기질이 성인 같지 않다고 해서 천하에 대본(大本)이 없다고 한다면 이것은 또한 말이 되지 않네. 대본은 성에서 말한 것이니, 어찌 일찍이 기질 쪽에서 말한 적이 있던가? 기는 용사하지 않고 한 성(性)을 온전히 갖추었으니, 이것이 어찌 천하의 대본이 되는데 해롭겠는가? 정자가 이른바 "사람이 태어나면서 기를 품부 받으면 이치상 선악이 있게 마련이고, 성 가운데는 원래 선악의 상대가 없다."라고 하였고, 주자가 이른바 "기질을 품부 받음에 비록 불선이 있지만 성의 본선에는 해롭지 않다."라고 한 것은 모두 이 뜻이네. 또 이치상에 선악이 있다는 것은 기품(氣稟) 상에서 말한 것이고, 악 또한 성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은 유행하는 쪽에서 말한 것이니, 이것은 실로 평탄한 말인데 어찌 이와 같이 지난(持難)하는가? 나는 "이와 같다면 정자는 어찌 '기품(氣稟)' 두 글자를 '이유선악(理有善惡)'의 위에 말하였겠는가?"라고 하고, 그대는 또한 "이와 같다면 정자는 어찌 '유행(流行)' 두 글자를 하단에서 말하지 않았는가?"라고 하여, 말에 따라 답을 하여 마치 말 잘하는 것으로 서로 막는 듯한 것이 있네. 만약 능히 천천히 생각하고 정밀히 살펴 남이 말한 뜻을 다하기를 힘쓰는 것이 가하지 않겠는가? '기품선악(氣稟善惡)'과 '성무선악(性無善惡)'을 상대해서 거론하여 설명하니, 이것은 최초로 무릅쓰는 큰 감투와 같은 말이 되네. 그 아래에 이른바 "어려서부터 선함이 있고 어려서부터 악함이 있다."라는 것은 하문의 "이어가는 것이 선이고, 물이 흘러 내려간다."는 것을 이르는 것이니, 이것은 유행하는 의가 아니겠는가? 더구나 그 소주(小註)에 정자의 과불급(過不及)이라는 말이 있고, 주자의 악에 흐른다는 설이 있으니, 이것은 또한 유행의 의가 아니겠는가? 다시 상세히 살펴보는 것이 어떠하겠는가?
如黃景涵
所論諸說。向便。不惟悤甚未及。而且容更思。以待或有新見矣。今此數日。而猶懵然如前。還恐徒負逋答之過。玆以略申舊見。更諒之如何。朱子曰。氣不用事。旣曰氣。又曰不用事。其意蓋曰氣固在矣。而但不用事云爾。何嘗是忽然變化。爲聖人氣質。如賢者所喩耶。比如以汚器貯水。水止而不動。則其淸與淨器所貯者。無異。而其器則不可謂與淨器同也。然則謂未發時。氣無淸濁則可。謂未發時氣質。非已發時氣質則不可。若如賢喩。則未發已發。有兩般氣質。而俄忽之頃。狂變爲聖。舜變爲跖。此果義諦乎。出入無時。此固心之謂矣。而會謂氣質亦能忽然而來。忽然而去乎。去則去在何處。來則來自何處。若以氣質不如聖人。而謂天下終無大本。此亦不成說。大本是性上說。曷嘗是氣質邊說乎。氣不用事一性全具。此何害爲天下之大本乎。程子所謂人生氣稟。理有善惡。而性中元無善惡相對。朱子所謂氣質之稟。雖有不善。而不害於性之本善者。皆此意也。且理有善惡。以氣稟上說。惡亦不可不謂之性。以流行邊說。此固平坦語。而何持難若是耶。愚曰。如此則程子何以說氣稟二字於理有善惡之上耶。賢亦曰。如此則程子何不言流行二字於下段乎其隨語隨答有若以口給相禦者然。若能徐思精察。務盡人言之意。則不其可矣乎。氣稟善惡。與性無善惡。對擧說來。此爲最初頭大㔶頭語也。其下所謂有自幼而善。自幼而惡。卽下文繼之者善。水流而下之謂也。此非流行之義耶。況其小註。程子有過不及之語。朱子有流於惡之說。此亦非流行之義耶。更詳之如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