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0
  • 서(9)(書(9))
  • 위형신에게 답함(答魏亨信)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0 / 서(9)(書(9))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10.0001.TXT.0006
위형신에게 답함
가뭄과 장마가 서로 자리를 내주며 여름이 가고 가을이 오니, 이러한 때가 되면 그리워하는 마음이 평소보다 배나 된다네. 한 통의 귀한 편지가 바람을 따라 이르니 마음에 위안과 고마움이 이는데 마치 침상을 나란히 하거나 책상을 마주한 것 같으니 90리가 먼 곳인지 잘 모르겠네. 더구나 부모를 모시면서 기쁜 일이 많고 건강도 좋다고 하니, 더욱 멀리서 바라는 마음에 부합하네. 편지지 가득 길고 자세하게 쓴 것에서 깨닫지 못해 분하게 여기고 표현을 못하여 답답하게 여겨주 30) 격앙하는 뜻이 지극한 정성에서 나온 것을 알게 되었네. 이것은 학문이 앞으로 나아갈 노맥(路脈)이니, 서로 헤어진 뒤로 우리 벗의 공부가 반드시 허투루 하지 않음을 알겠네. 편지에서 '헛되이 인생을 보내 초목과 함께 썩어간다.'라 하니, 사람으로 하여금 감탄이 일게 하네. 또한 '심지(心地)를 진실되게 하고 각고의 공부를 한다.'라는 말과 '솥을 깨뜨리며 막사를 태우고 삼일의 식량을 지닌다.'주 31)는 등의 말에서 학문하는 입지(立志)의 참된 법과 요결이 이에 지나는 것이 없음을 더욱 절실하게 깨닫네.
주석 30)깨닫지……여겨
분비(憤悱)의 분은 마음속으로 뭔가를 통해 보려고 애쓰는 것을 말하고, 비는 입으로 말을 해 보려고 애쓰는 것을 말한다. 공자(孔子)가 이르기를 "마음속으로 통하려고 애쓰지 않으면 열어 주지 않고, 입으로 말해 보려고 애쓰지 않으면 말해 주지 않거니와, 한 귀퉁이를 들어 주었는데, 이로써 세 귀퉁이를 유추해서 알지 못하면 다시 더 말해 주지 않는다.[不憤不啓, 不悱不發, 擧一隅, 不以三隅反, 則不復也.]"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論語 述而》
주석 31)솥을……지닌다
원래 살아 돌아올 기약을 하지 않고 결사의 각오로 싸우겠다는 결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항우(項羽)가 진(秦)나라와 싸우러 가면서 하수(河水)를 건넌 뒤 배를 모두 가라앉히고, 솥과 시루를 깨뜨리고, 막사를 불태우고, 사흘 양식을 지니고서 사졸에게 반드시 죽을 것임을 보여 주었던 것[沈船破釜甑, 燒廬舍, 持三日糧, 以示士卒必死]에서 유래한다. 《史記 項羽本紀》 여기서는 죽을 각오로 공부에 매진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答魏亨信
早寮相禪。金火交遞。此際懷想。有倍平昔。而一角珍函。颺風而至。慰沃感豁。怳然若聯床對榻。不知三舍之爲闊也矧審省侍歡慶。體度茂謐。尤協遠祝。滿幅縷縷。可見憤悱激昂之意。出於至誠。此是進步路脈。吾友別後功夫。必不草草也。所謂虛住百年。草木同腐。令人感歎。又謂眞實心地。刻苦功夫。及破釜燒廬。持三日粮等語。尤覺痛切。爲學立志。眞詮要訣無過於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