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4
  • 서(3)(書(3))
  • 염경유【재업】에게 답함(答廉敬儒【在業】)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4 / 서(3)(書(3))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4.0001.TXT.0050
염경유【재업】에게 답함
뜻하지 않게 서찰로 하신 말씀이 이처럼 간절하니 돌이켜 생각해도 감격스러워 대답할 방도를 모르겠습니다. 보이신 뜻에 답이 없을 수는 없기에 매번 바로잡을 방도를 덧붙이니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대체로 회심(會心 마음으로 이해하는 것)과 상구(上口 입에 올려 외우는 것)는 본래 칼로 자르듯이 앞뒤로 나뉘지 않습니다. 오늘 상구를 하면 내일 회심이 이루어집니다. 또 음식을 한꺼번에 씹는 것처럼 서로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형세도 아닙니다. 언사(言辭)를 이해하고 그 의미를 깨우칠 수 있다면 읽는 것이 정밀하지 않을 수 없고 외우는 것이 능숙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런 다음 한가한 낮에 단서를 끌어내고 청정(淸靜)한 밤에 침잠해야 그 의미를 터득할 수 있으니 또한 전혀 깨닫지 못하고서 상구를 할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또한 상구와 회심의 근본은 '정(靜)' 자 하나에 달려 있습니다. 정(靜)하면 심지(心地)가 맑고 깨끗해지며 정신이 막힘없이 통하게 되어 회심과 상구에 대해 모두 힘을 기울이기 쉽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의 동이(同異)에 관한 주장은 선유(先儒)의 논의가 진실로 한둘이 아닙니다. 저는 일찍이 망령되게도 인(人)과 물(物)에 대해서 이(理)는 같아도 성(性)은 다르다고 말하였습니다. 그리고 《주서(朱書)》를 보았더니 또한 여기에 관한 주장이 있어 "물에는 오성(五性)이 있다.……"라고 하였습니다. 제가 일찍이 이 내용을 장석(丈席)에서 물었더니 답하시기를 "인자(仁者)가 보면 인(仁)이라 하고 지자(智者)가 보면 지(智)라 한다. 단지 이러한 사물일 뿐이니 사람의 인을 가지고 저 물(物)에게 요구하는 이치는 없다."주 55)라고 하셨습니다. 오상(五常)은 본래 오성(五性)에 하나하나 분속(分屬)되는 것이 아니고 부부(夫婦)와 장유(長幼)는 모두 예(禮)에 속해야 합니다. 그러나 반드시 분속하고자 한다면 예에는 질서의 의미가 있고 지(智)에는 분별의 의미가 있으니 장유유서(長幼有序)는 예(禮)에 귀속돼야 할 듯하고 부부유별(夫婦有別)은 지(智)에 귀속돼야 할 듯합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주석 55)인자(仁者)가……없다
《노사선생문집(蘆沙先生文集)》 권12 〈답정계방(答鄭季方)〉에 나온다.
答廉敬儒【在業】
謂外翰命。若是繾綣撫念感戢。不知爲對。示義不能無言。而輒付就正之計。以爲如何。大抵會心上口。本非有截然先後。如今日上口。明日會心也。且非一擧竝嚼。混無相資之勢也。得於辭而能通其義。則讀之不可不精。誦之不可不熟然後。紬繹於日間休閒之時。沈潛於夜間淸靜之際。而可以得其義矣。亦非全然不覺而能上口也。且上口會心之本。在於靜之一字。靜則心地虛明。精神流通。其於會心上口。皆易爲力。未知如何。人物性同異之說。先儒之論固不一。愚嘗妄謂人物理同而性異矣。及見朱書。亦有此說。物有五性云云。愚嘗以此問于丈席。答曰。仁者見之謂之仁。智者見之謂之智。只是此箇物事。若以人之仁。去責那物。則無是理矣。五常本非五性之逐位分屬者。而夫婦長幼。皆當屬禮。然必欲分屬。則禮有序秩底意。智有分別。底意。長幼有序。似當屬禮。夫婦有別。似當屬智。未知如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