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4
  • 기(記)
  • 돈암기(遯庵記)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4 / 기(記)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14.0001.TXT.0064
돈암기
미둔(尾遯)은 위태롭고주 205) 계둔(係遯)은 병이 있고주 206) 비둔(肥遯)은 이롭지 않음이 없으니,주 207) 지금 주인의 은둔은 어디에 있는가?
주인은 보성[山陽]의 일개 선비로 일찍 명경(明經)주 208)을 공부하였으나 합격하지 못하였고, 중년에 이르러 시국의 상황이 날로 그릇되어 가는 것을 보고 드디어 두봉(斗峯) 만첩 가운데 한 채의 집을 짓고 문미에 편액을 돈암(遯庵)이라 하였다. 이미 세상에 출각(出脚, 벼슬에 나아감)하지 않아 지체하여 머물며 결정하지 못할 단서가 없으니 미둔이라 할 수 없고, 얽매여 연모하여 잊지 못하는 뜻이 없으니 계둔이라 할 수 없다. 오직 먼 곳에 처하고 바깥에 있어 은둔하고 또 은둔함이 되니, 비둔이 된다. 지체하여 머물거나 얽매여 지체함이 없어 초연하게 떠나고 우뚝이 일어나기를 마치 구름에 들어가는 기러기와 물에서 헤엄치는 물고기 같이 하면 그 크고 여유 있는 것이 어찌 이른바 비둔이라는 것이 아니겠는가. 산을 베게 삼고 골짝을 누대 삼아 물마시고 명아주 먹으니, 사람들은 모두 주인이 가난하다고 말하지만 나는 유독 주인은 여유롭다고 여긴다.
주석 205)미둔(尾遯)은 위태롭고
《주역》 〈돈괘(遯卦) 초육(初六)〉에 "돈의 꼬리라 위태로우니, 가는 바를 두지 말아야 한다.[遯尾, 厲, 勿用有攸往.]"라고 한 것을 말한다.
주석 206)계둔(係遯)은 병이 있고
《주역》 〈돈괘 구삼(九三)〉에 "매여 있는 은둔이라 질병이 있어 위태로우니, 신첩(臣妾)을 기르는 일에는 길하다.[係遯, 有疾, 厲, 畜臣妾, 吉.]"라고 한 것을 말한다.
주석 207)비둔(肥遯)……없으니
《주역》 〈돈괘 상구(上九)〉에 "여유 있는 은둔이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肥遯, 無不利.]"라고 한 것을 말한다.
주석 208)명경(明經)
과거 제도에 선비를 선발하는 과목의 한 가지로서 경술(經術)에 밝은 사람을 선발하는 제도이다.
遯庵記
尾遯則厲。係遯則疾。肥遯則無不利。今主人之遯。何居焉。主人山陽一布衣。早治明經。不利於有司。及至中身。見時象日非。遂構一區屋子於斗峯萬疉之中。扁其楣曰遯庵。旣不出脚於世。而無遅留不決之端。則不可謂尾遯也。無係戀不忘之意。則不可謂係遯也。惟其處遠在外。而爲遯之又遯。則天山之上九也。無遲留係滯之爲。而超然而逝。卓然而舉。如入雲之鴻。游水之魚。則其碩大寬倬。豈非所謂肥遯者耶。枕山樓谷。飲水茹萊。人皆謂主人之貧。而余擉以爲主人之肥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