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2
  • 잡저(雜著)
  • 김생 형중 권하 에게 주다(贈金生亨仲【權夏】)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2 / 잡저(雜著)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12.0001.TXT.0047
김생 형중 권하 에게 주다
천하의 일에 대해서 뜻을 세웠으나 이루지 못한 자들이 오히려 많다. 하물며 뜻이 없건만 성취하는 바가 있을 수 있겠는가. 일상의 예사로운 것들, 예컨대 물을 긷고 땔나무를 하는 일주 165), 꽃을 보고 버들을 꺾는 일주 166) 등 모두 그러하다. 하물며 평소에 자기 자신과 집안을 위한 커다란 공부, 커다란 사업이야 말할 나위가 있겠는가. 뜻이 확립되지 않으면 한때의 선심(善心)이나 호의(好意)는 기름으로 그린 그림, 얼음으로 새긴 조각에 지나지 않고, 여러 경전(經典)의 격언(格言)이나 핵심적인 가르침은 문구(文具)나 책을 쌓아놓기만 한 책방에 지나지 않는다. "학문은 가장 먼저 뜻을 세워야 한다."주 167)는 선유(先儒)의 말이 이것이다.
김군 형중보(金君亨仲甫)가 나에게 일찍이 말 한마디를 청하였으나, 그 뜻이 매우 가상하였지만 군(君)은 입지(立志)의 첫 번째 착수처에 대해서 이미 깨닫고 체득한 것이 있는지 모르겠다. 그렇다면 여러 경전의 말씀 하나하나에 대해서 반드시 문구로 간주하지 않을 것이고 추구하고 필요로 하는 것이 모두 갖추어지지 않음이 없을 것이니, 어찌 지리멸렬하다 늙어버려 사리에 어둡고 어리석은 사람의 말 한마디를 기다리겠는가. 아니면 미치지 못할까 두려워하는 듯한 마음으로 다식(多識)하면서도 과문(寡聞)한 사람에게 묻고 유능하면서도 무능한 자에게 묻는 것이 고인(古人)과 같아서인가?주 168) 후의(厚意)를 저버리기 어려워 삼가 '입지(立志)' 2자를 경계로 올린다. 이미 알고 있는 소릉(昭陵)이라고 소홀히 하지 말고 더욱 힘쓰기를 바랄 뿐이다.
주석 165)물을……하는 일
물 긷고 땔나무 하는 일상적인 일이 곧 신통(神通)이며 묘용(妙用)이라는 주장은 당나라 때의 사람으로 선종(禪宗)에 통달한 방온(龐薀)의 게송(偈頌)에 나오는 말이다.
주석 166)꽃을……꺾는 일
주희의 〈답여자약서(答呂子約書)〉에 "불서(佛書)에 능(能)과 소능(所能)에 관한 설이 있는데 능은 사람이 일을 하는 것이고 소능은 사람이 하는 일이다. 이를테면 도(道)는 소능에 해당하고 학(學)은 능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지금 아이들이 대구(對句)를 지을 때 '꽃을 보고 버들을 꺾는다[看花折柳]' 하는데, 여기서 보고 꺾는 행위는 능이고 꽃과 버들은 소능이다.[佛書, 有能與所能之說, 能謂人所做作, 所能謂人所做作底事. 如道則所能之謂, 學卽所謂能也. 如今小兒屬對, 看花折柳, 看與折字是能, 花與柳是所能.]"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주석 167)학문은……한다
이이(李珥)가 《성학집요(聖學輯要)》 〈수기 제2상(修己第二上)⋅입지장 제2(立志章第二)〉에서 한 말이다.
주석 168)다식(多識)하면서도……같아서인가
《논어》 〈태백(太白)〉에 "유능하면서도 무능한 자에게까지 물어보고, 박학다식하면서도 천학 과문한 자에게까지 물어보고, 있어도 없는 듯하고, 찼어도 빈 듯하고, 누가 덤벼들어도 따지지 않는 이런 태도를 옛날에 우리 벗이 지니고 있었다."라는 증자(曾子)가 안연(顏淵)을 평한 말이 나온다.
贈金生亨仲【權夏】
天下事。有志而未就者尙多。況無其志而能有所就乎。尋常日用。如運水搬柴看花折柳。無不皆然。況平生身家大功夫大事業乎志。苟不立則一時之善心好意。不過爲脂畵氷鏤群經之格言要誨。不過爲文具書肆。先儒所謂學莫先於立志者。此也。金君亨仲甫向余曾有一言之請。其意非不可尙。但未知君於立志一着。已有所理會而體當者耶。然則於群經言言。必不看作文具而其所求所須。無所不備。何侍乎滅裂老昏者之一言乎。抑以其如恐不及之意。或有出於問。寡問不能如古人耶。厚意難孤謹以立志二字奉規焉。勿以已見之昭陵而略之。更加勉旃是所望也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