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3
  • 서(2)(書(2))
  • 은곡 배공【상섭】에게 보냄(與隱谷裴公【相涉】)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3 / 서(2)(書(2))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3.0001.TXT.0020
은곡 배공【상섭】에게 보냄
천만뜻밖으로 덕문(德門)이 불행하여 갑자기 둘째 영랑(令郞)의 상사(喪事)를 당하였으니 이것이 무슨 말이고 이것이 무슨 일입니까. 난초가 불타고 보옥이 깨지는 일이 세상에 간혹 있기는 하지만, 어찌 우리 존장(尊丈)께서 만년에 이런 일을 겪으리라고 생각하였겠습니까. 삼가 생각건대 자애(慈愛)가 매우 지극하고 교회(敎誨)가 참으로 독실하여 우리의 기대가 일찍부터 훗날 존장께서 문호를 세우는 계책에 달려 있었건만, 갑자기 중간에 멈추게 되었으니 참혹한 슬픔을 어찌 견디고 어찌 억누르겠습니까. 사람을 저도 모르게 넋이 나가고 뼈가 으스러지게 만듭니다. 의림(義林)은 지난 몇 년 동안의 신세가 낚시에 걸린 물고기와 같아서 병이 들었을 때는 의원(醫員)을 찾고 약을 수소문하지도 못하였고 세상을 떠났을 때도 반함(飯含)주 60)하는 것을 보거나 상여를 끄는 예를 갖추지 못하였습니다. 이것이 어찌 인정(人情)이겠습니까. 부끄럽게도 유명(幽明)을 저버렸으니 비통스럽기 그지없습니다. 오늘 계원(啓元)주 61)의 편지를 받았는데, 대체로 병중에 있으면서 작별을 고하는 글이었습니다. 글의 내용이 가슴 아프고 슬퍼서 저도 모르게 눈물이 흘렀습니다. 그의 병이 매우 위태롭지는 않은 듯하였건만 어찌하여 이 지경에 이르렀단 말입니까. 예전에 종유하던 이들을 생각하니 정일(正一)이 이미 세상을 떠났고 계원이 또 이와 같습니다. 위를 우러러보고 아래를 굽어보아도 심사(心事)가 잊히지 않으니 마음을 둘 방도를 모르겠습니다. 그렇더라도 세상의 온갖 일이 모두 이렇습니다. 앞에 놓인 운명은 넘지 못하는 쇠 문턱이라 인력으로 바꿀 수가 없습니다. 백어(伯魚)주 62)도 일찍 죽었고 수지(受之)주 63)도 먼저 세상을 떠났습니다. 공자(孔子), 주자(朱子) 같은 성현(聖賢)조차도 일찍이 이런 일을 당하였으니 명(命)을 어찌하겠습니까? 운(運)을 어찌하겠습니까? 부디 이치에 따라 상황을 넘기며 자신을 위로하시기 바랍니다.
주석 60)반함(飯含)
습(襲)을 하기 전 시신을 목욕시킨 뒤 진주, 생쌀, 조개 등을 죽은 이의 입에 넣어 아름답게 장식하는 의절이다. 반(飯)은 신분에 따라 잘게 부순 옥(玉)을 쌀과 섞은 함옥(含玉), 수수, 기장 등으로 입 안을 가득 채우는 것이고, 함(含)은 옥, 조개 등으로 양쪽 어금니 부분과 입 중앙에 놓는 것이다. 반함은 죽은 이에게 음식을 봉양한다는 의미에서가 아니라 비어 있는 입을 차마 볼 수가 없어 아름답게 장식함으로써 죽은 이를 존귀하게 대한다는 뜻에서 하는 것이다.
주석 61)계원(啓元)
문송규(文頌奎, 1859~1888)의 자이다. 본관은 남평(南平), 호는 구암(龜巖)이다. 전라남도 화순 출신으로, 하락이수(河洛理數)와 천문(天文)의 물상을 확연하게 융회하였다.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학문의 요체를 깨닫고, 심성과 이기의 묘리를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주석 62)백어(伯魚)
공자(孔子)의 아들이다.
주석 63)수지(受之)
수지는 주희(朱熹)의 장남 주숙(朱塾)을 말한다.
與隱谷裴公【相涉】
千萬料外。德門不幸。第二郞遽至大故。此何言此何事。蘭焚玉碎。世或有之。而豈謂吾丈晩年遭此耶。伏惟慈愛深至。敎誨誠篤。所以期望未嘗不在於他目門戶之計。而遽爾中閼。悲慘之酷。何以支抑。令人不覺銷魂而鑠骨。義林年來身世。如魚掛鉤。病未有尋醫問藥之節。死未有視含執紼之禮。此豈人情耶。愧負幽明。萬萬悲慘。今日得啓元書。蓋病中告訣文也。辭意悲愴。不覺出涕。其病若不十分危殆。豈至若是也。念昔從遊。正一已逝。啓元又如此。俯仰耿耿。不知所以置心。雖然人間萬事皆是。前程鐵限。非人力所可移易。伯魚早卒。受之先死。以孔朱聖賢。猶嘗遭此。命也奈何。運也奈何。伏乞遣理自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