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8
  • 서(7)(書(7))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8 / 서(7)(書(7))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8.0001.TXT.0006
황경함에게 답함
전후의 심설(心說)은 장황하게 반복하여 개오(開悟)한 뒤에 그만 두기를 기약하니, 나를 아끼고 나에게 은혜로운 것이 지극하여 매우 감사하네. 무릇 심은 어떤 물인가? 기가 있는 것을 심이라 한다면 천하에 기 아닌 물이 없고, 이가 있는 것을 심이라 한다면 천하에 이 바깥의 물이 없네. 이것을 심으로 여기지 않고 반드시 심을 심으로 여기는 것은 단지 기의 신령한 곳으로 말하기 때문이네. 령(靈)은 심 자의 본래 면목이니, 신령하기 때문에 능히 갖추고 능히 응하고 능히 주재하고 능히 신묘하네. 만약 완준(頑蠢)하여 신령함이 없어 마른 나무와 꺼진 재와 같다면 어찌 능히 갖추고 능히 응하고 능히 주재하고 능히 신묘하겠는가? 그렇다면 심 자의 경계를 분명 알 수 있을 것이네. 그러나 이가 아니면 능히 신령하지 못하니, 신령함은 스스로 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이가 그렇게 시키는 것이네. 이 때문에 나누어 말하면 기의 정상(精爽)이라 하고 합하여 말하면 이의 주재(主宰)라 하네. 그 어세를 따라 뜻이 각각 마땅한 것이 있으니, 지금 이에 각자 하나의 견해를 잡고서 서로 대립하는 것이 가하겠는가? 지금 능히 낱낱이 거론하여 세세히 진술하지는 못하지만 그대의 의론은 대개 영명(靈明)과 묘용(妙用)에 정추(精粗)가 있다고 생각하여 하나는 기에 속하게 하고 하나는 이에 속하게 하니, 이것이 가장 온당하지 못하네. 기의 령이 바로 이의 묘용이니, 어찌 기 스스로 하나의 령이 있고 이 스스로 하나의 신(神)이 있어 서로 점거하고 있겠는가? 또 "이 몸이 있어 이 이를 갖추고 있어서 성(性)이라는 이름이 있고, 이 이를 갖추어 이 신이 있어서 심(心)이라는 이름이 있다."라고 하였는데, 이것 또한 온당하지 않네. 이 설과 같다면 이 성을 갖추고 있는 시절에 이 심을 말할 만 한 것이 없고 이 신(神)이 있은 뒤에 바야흐로 이 심이 있다는 것인가? 그렇다면 이 성을 갖추었다는 것은 무슨 물인가? 내 생각은 처음에 애장(艾丈)의 설을 그렇지 않다고 여긴 것이 아니네. 다만 그 가운데 나아가 심성과 주재의 의를 깊이 밝힌 것일 뿐인데, 점점 설을 펼쳐 나감에 이렇게 장황하게 된 것은 실로 처음의 의도가 아니네. 대저 나의 뜻은 평소 주기론을 깊이 싫어하지 않은 것은 아니네. 그러나 우리 주리를 주장하는 사람 또한 혹 교왕과직(矯枉過直)주 11)의 폐단이 없지 않기 때문에 감히 말한 것이지, 고의로 옛날 견해를 버리고 저 주기론에 나아간 것은 아니네. 어떻게 여기는가?
주석 11)교왕과직(矯枉過直)
구부러진 것을 바로 잡으려다가 너무 곧게 하는 것으로, 곧 잘못된 것을 바로 잡으려다가 너무 지나치어 오히려 나쁘게 되는 것을 말한다.
答黃景涵
前後心說。張皇反復。期欲開悟而後已。其所以愛我惠我者至矣。感感萬萬。夫心是何物。以有氣而謂之心。則天下無非氣之物。以有理而謂之心。則天下無理外之物。不以此爲心。而必以心爲心者。特以氣之靈處言故也。靈是心字本來面目。靈故能具能應能主宰能神妙。若頑蠢無靈。如姑木死灰。則何以能具能應能主宰能神妙乎。然則心字界至。斷可知矣。然非理則不能靈。靈非自爲。乃理之使然。是以分以言之。謂之氣之精爽。合以言之。謂之理之主宰。隨氣語勢。而意各有當。今乃各執一見。互相圭角可乎。今不能枚擧細陳。而賢論槪以靈明與妙用。謂有精粗。而一屬之氣。一屬之理。此最未穩。氣之靈。卽是理之妙用。豈氣自有一靈。理自有一神互相占據乎。且曰有此身。具此理。而有性之名。具此理。有此神。而有心之名。此亦未穩。如此說。則具此性時。節無此心之可言。而有此神而後。方有此心耶。然則具此性者。是何物耶。鄙意初不以艾丈說爲不然也。但就其中。深明心性主宰之義而已。轉輾說去。至此張旺。實非初意也。大抵鄙意。平日非不深惡主氣之論。然吾輩主理之人。亦或不無矯枉過直之敝。故敢有云云。非故欲舍舊見而趨於彼也。如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