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2
  • 서(1)(書(1))
  • 노사 선생에게 올림(上蘆沙先生)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2 / 서(1)(書(1))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2.0001.TXT.0004
노사 선생에게 올림
절하고 돌아온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봄이 깊어 가는 가운데 삼가 한가하고 편안히 쉬는 것이 모두 고르며 음식을 드시는 것은 줄어들지 않으시며 일어나고 주무시는 것은 평소와 같으며, 장구(杖屨)는 더욱 한가로우며, 수응(酬應)하는 데 수고롭지 않으십니까. 멀리서 삼가 사모하는 소자의 마음을 가누지 못하겠습니다. 소자는 늙은 부모님을 봉양하고 책을 보며 날마다 그럭저럭 지낼 따름입니다. 지난번에 사상(沙上)에서 대치(大峙)에 도착하여 김석귀(金錫龜)주 10)를 조문하고 인하여 강론하고 토론하여 발명한 것이 많았습니다. 대저 이 사람 같은 지조와 식견은 소자가 거의 본 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가까운 자리에서 공부하기를 청하여 물러나 그와 더불어 조용히 강론하였으니, 소자에게는 대단한 행운이었습니다. 말세에 다시 소자에게 이런 즐거움이 있을 줄 누가 알았겠습니까. 아, 세상에서 스승으로 자임하는 자는 가르치고 전수할 때 대체로 옛글을 기억하고 들은 것을 가지고 강설하여 자질구레하게 안배합니다. 하지만 선생님께서는 깊은 조예로 자득하여 대체(大體)를 두루 보아 말씀마다 본원(本源)에서 촘촘하게 내신 것이 아님이 없습니다. 비유하자면 천만 칸의 큰 집에 많은 금은보화와 돈, 곡식을 갈무리해 두었다가 사람마다 필요한 대로 사용하더라도 고갈되지 않는 것과 같으니, 이것이 소자가 진심으로 감복하여 스스로 그만두지 못하는 까닭입니다. 대저 '인순(因循)' 2자는 학문하는 데 가장 병통이 됩니다. 혹은 진보하고 혹은 퇴보하며 자주 회복하고 자주 잃어서 오늘도 이러하고 내일도 이러하여 그럭저럭 세월만 보내며 살필 줄 모르니, 일생을 망치는 지경에는 이르지 않았지만 소생은 이러한 병통에 얽매여 시간을 허비한 것이 이미 적지 않습니다. 소생의 나이는 지금 많다고 할 수 없지만 젊다고도 할 수 없으니, 일생의 득실이 다만 오늘날에 달려 있을 따름이니 어찌 매우 두려워할 만한 일이 아니겠습니까. 삼가 바라건대 지극한 가르침을 내려서 평소에 돌아보며 잘못을 바로잡는 자료로 삼게 해 주십시오. 그렇게 해 주시기를 매우 간절히 바랍니다.
지난번에 김석귀(金錫龜)와 태극(太極)을 논하면서 서로 막힌 곳이 있었는데, 김석귀가 인하여 선생님께서 전일 답한 말을 내어서 보여 준 것 가운데 다음과 같은 말이 있었습니다. "태극의 설은 대저 '위허이실(位虛理實)' 4자로 다 설명할 수 있네. 「태극도(太極圖)」 상면의 한 권자(圈子)에서부터 만물화생(萬物化生) 권자주 11)에 이르기까지 어찌 일찍이 확정된 계층과 등급이 실제로 있었겠는가. 이것이 이른바 위허(位虛)라는 것이다. 다섯 층의 권자가 모두 한결같이 순백하고 담담한 것이요, 원(員)은 족하여 흠결이 없는 것이니 이것이 이른바 이실(理實)이라는 것이다."라고 하였고, 또 이르기를 "대개 통체각구(統體各具)' 4자는 본래 허위 쪽으로부터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아, 이 「태극도」가 출현함으로부터 한두 선생이 발명한 뒤에 과연 이러한 의론이 있었습니까? 소자가 읽고 비록 만분의 일도 이해하지 못하였지만 서로 막혔던 곳이 풀린 것이 있었습니다. 또 김석귀와 신종구(申鍾求)가 강론한 말을 보니, 신종구는 태극의 제1권(圈)을 통체(統體)로서의 태극이라 하고 이하 네 권(圈)을 각구(各具)로서의 태극이라 했으며, 김석귀는 "목(木)은 만목(萬木)의 기(氣)이고 화(火)는 만화(萬火)의 기인데 오묘하게 합한 권(圈)은 또 천명(天命)의 성(性)이니, 이는 모두 통체이고 각구(各具)가 아니다.……"라고 하였는데, 선생님께서는 이미 김석귀의 설을 따르셨습니다. 소자가 처음에는 또한 옳다고 여겼는데, 나중에 생각해 보니 선생님께서 이른바 통체(綂體)와 각구(各具)는 본래 허위(虛位)의 측면에서 말한 것이라는 뜻을 가지고 미루어 보면 김석귀의 말이 또한 온당하지 못한 듯합니다. 태극의 다섯 권(圈)을 합하여 말하면 통체로서의 태극이요, 나누어 말하면 동하여 양을 낳는 것도 하나의 태극이니, 어찌 「태극도」의 다섯 권이 각구의 태극이 없다가 만물이 빽빽하게 들어선 뒤에야 각구가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그렇다면 통체와 각구가 각기 방소(方所)가 있으니 허위의 뜻은 아닙니다. 선생님께서 김석귀의 설을 따른 것은 신종구의 설보다 낫다고 여겼기 때문입니까?
"한 번 음하고 한 번 양하게 함을 도라고 한다."라고 한 것은 바로 음양의 권(圈)이고, "계속하여 하는 것은 선(善)이다."라고 한 것은 오행의 권이고, "갖추어 있는 것은 성(性)이다."라고 한 것은 만물의 권입니다. 그렇다면 그 사이 남녀의 권은 마땅히 어디에 속해야 합니까? 사람의 혈기(血氣)가 형체를 이룬 것은 곧 음양의 권이요, 사람의 오성이 감동하는 것은 바로 오행의 권이며, 사람이 만사에 두루 응하는 것은 바로 만물의 권입니다. 그렇다면 그 사이 남녀의 권은 또 마땅히 어디에 속해야 합니까? 선유(先儒)는 모두 하늘이 일월과 함께 모두 왼쪽으로 돈다고 하였으니, 왼쪽으로 도는 것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는 것을 이릅니다. 그러나 일월이 하늘에 닿지 못하고 1도(度)씩 물러나고 13도씩 물러나는 것주 12)을 가지고 관찰하면 일월이 왼쪽으로 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늘에 이르러서는 분명히 동쪽에서 서쪽으로 가는 것이니, 어찌 일찍이 왼쪽으로 도는 때가 있겠습니까.
선생님께서 일찍이 소자에게 말씀하기를 "기가 만약 잠깐 동안 맑으면 잠깐 동안 기질지성(氣質之性)이 없고, 하루 동안 맑으면 하루 동안 기질지성이 없게 된다. 안자(顔子)는 석 달 동안 인(仁)을 어기지 않았으니주 13) 석 달 동안 기질지성이 없었던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또 말씀하기를 "예로부터 성현은 병이(秉彝)의 본성을 부여받은 것만 말하고, 항성(恒性)만 말했을 따름이다. 후세에 도학(道學)이 밝지 못하여 성(性)이 악하다고 하는 자도 있고, 선악이 섞여 있다고 말하는 자도 있어 성선(性善)의 도가 천하에 밝지 않았다. 그러므로 선유(先儒)가 부득이 기질성(氣質性) 세 글자를 제기하여 사람의 불선은 기에서 말미암은 것이지 성에서 말미암지 않은 까닭을 밝혔다. 후인은 선유의 어쩔 수 없는 고심을 알지 못하고 도리어 주기(主氣)의 의론을 만들어 논하였으므로 곧 이단과 같은 데로 귀결되게 되었으니, 이것이 오늘날 이(理)를 주장하는 학자의 큰 폐단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소자가 이 말씀을 삼가 지키고 또 스스로 마음속으로 생각하기를 '기질지성(氣質之性)은 불선한 곳을 가리킨다. 하지만 미발시(未發時)에 어찌 일찍이 불선의 단서가 있겠는가. 불선하다는 말을 붙이자마자 곧 미발의 때가 아니고, 기질지성을 말하자마자 또한 미발의 때가 아니다.'라고 여겼습니다. 지난번 선생님께서 정시림(鄭時林)에게 답한 별지를 보니 "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이 말하기를 '기질지성은 사람이 태어나면서 함께 생겨난 것이지 때에 따라 있고 없는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다."고 하였습니다. 이 말씀은 소자가 이전에 들었던 것과 다른 듯한데 선생님께서 또 따라서 허여한 것은 어째서입니까?

답장을 덧붙임
평안하다는 글자는 매우 위로가 되네. 수서(袖書)를 가지고 온 자는 또 그대의 사촌이었는데 잠깐 보았지만 신수가 범상하지 않아 덕문(德門)의 복록을 알 수 있었으니, 더욱 축하할 일이네. 병든 나는 겨울 동안 방 안에서만 지내며 봄이 돌아와 문을 열고 산색을 볼 수 있다면 나의 일이 끝날 것이라고 고대하였는데, 지금 문이 이미 열렸지만 정신이 더욱 혼미하니, 기대와는 다른 쪽으로 흐르기에 웃음만 나네. 별지에 대해서 절목마다 답하고 싶었지만 안개꽃이 눈에 어른거려 침침하니 자세히 볼 수도 없는데, 더구나 답장을 쓰는 것은 더 말할 것이 있겠는가. 말미에 한두 가지만 답할 따름이니, 직접 찾아와 주기를 바라네. 형질(形質)과 기질(氣質)에 대한 설은 그대가 떠나던 날 답답함이 남아 있어 대략 기록하여 인편을 기다리다가 지금 온 인편에 별지를 함께 부치네. 나머지는 뒤에 만날 때를 기다리네.
신생(申生)의 통체(統體)와 각구(各具)의 설을 지금 살펴보니 불가함이 없을 듯한데 당시 무엇 때문에 김생(金生)의 의견을 따랐는지 모르겠네. 내가 사욕에 가려 그런 것이 아니겠는가. 태극도(太極圖)는 조화로부터 곧장 말하였으므로 기화(氣化)와 형화(形化)의 차례가 있는 것이네. 인사(人事)에서 굳이 남녀의 권(圈)을 찾는 것은 너무 구애되는 것이 아니겠는가.
왼쪽으로 돈다는 의심은 그릇되었네. 도는 것은 가서 다시 돌아오는 뜻이네. 하늘이 가서 다시 돌아오는 것은 실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는 것이네. 기질이 때에 따라 있거나 없거나 하지 않는다는 것은 본래 내가 십분 동의한 것이 아니네. 일찍이 그대의 족인과 말한 적이 있었지만 무어라 말했는지 말의 맥락을 기억하지 못하겠네. 미발은 십분 징청(澄淸)할 때이니 기질을 한쪽에 숨어 있을 수 없네.
주석 10)김석귀(金錫龜)
1835-1885.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경범(景範), 호는 대곡(大谷)이다.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제자이다. 《맹자》에 통달하여 '김맹자'로 불렸다.
주석 11)태극도(太極圖)……권자
「태극도(太極圖)」는 총 5층의 권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위가 제1층으로 태극 권역이며, 그 아래 2층이 음양 권역, 그 아래 3층이 오행 권역, 그 아래 4층이 남녀 권역, 그 아래 5층이 만물 권역이다. 권역이란 둥근 원을 말한다.
주석 12)일월이……것
해와 달의 운행에 있어서 해는 천구(天球)를 따라 운행하여 날마다 1도씩 물러나고, 달은 날마다 13도씩 물러난다.《默山集 朞三百註解》
주석 13)안자(顔子)는……않았으니
《논어》〈옹야(雍也)〉에 "공자가 말하기를 '안회는 그 마음이 석 달 동안 인을 떠나지 않았고, 그 나머지 사람들은 하루나 한 달에 한 번 인에 이를 뿐이다.'라고 하였다.[子曰: 回也, 其心三月不違仁, 其餘則日月至焉而已矣.]" 하였다.
上蘆沙先生
拜歸閱朔。春候向深。伏惟燕申偕適。飮饍無減興寢視常。杖屨益閒。酬應不勞。遠外伏慕。不任下誠。小子奉老看書。日以粗遣而已。向自沙上到大峙。吊金錫龜。因以講討。多所發明。大抵斯人之持守也見識也。小子之所罕見也。請業於三席而退。與之從容講討。小子之爲幸大矣。誰知叔世復有此樂屬於小子乎。嗚呼世之以師道自任者。其於敎授之際。多以記聞講說。淺淺排着。而惟先生深造自得。統見大體言言無非自本源上滴滴出來比如大厦千萬間。貯藏許多金帛錢榖。隨人所求。而用之不竭。此小子所以衷情感悅而不能自己者也。夫因循二字。最爲學問之病。或進或退。頻復頻失。今日如此。又明日如此。悠悠歳月不知所以察之。則其不至於枉了一生。小生只坐此病。浪費時日。已不少矣。犬馬之年。今不可謂晩。而亦不可爲早。則一生得失。只存今日矣。豈非可懼之甚者耶。伏乞下賜至誨。以爲平居顧諟之資。千萬
向與錫龜論太極。有相礙處。錫龜因出先生前日所答語而示之。有曰。太極說話。大抵位虛理實四字。足以盡之。圖中上面一圈。至萬物化生圈。曷嘗有層等確定。此所謂位虛也。五層圈子。皆一味白淡淡底。圓足無欠缺底。此所謂理實也。又曰。蓋綂體各具四字。本自虛位邊說來者也。鳴呼。自此圖出。而一二先生發明之後。果有此等言論乎。小子讀之。雖不能領會其萬一。而相礙處。有將釋然者矣。且見錫龜與印鍾求有講論之語。鍾求以太極第一圈。爲綂體之太極。以下四圈。爲各具之太極。錫龜。以爲木是萬木之氣。火是萬火之氣。而妙合之圈。又是天命之性。則此皆綂體而非各具也云云。先生已從錫龜之說矣。小子初亦然之。後來思之。以先生所謂綂體各具本自虛位邊說來之義。推之。錫龜之說。亦似未安。合太極五圈而言之。則綂體之太極也。分以言之。則動而生陽。只是一太極。豈可謂太極五圈。無各具之太極。而至於萬物林林叢叢然後有各具者耶。然則綂體各具。各有方所。而非虛位之義也。先生從錫龜之說者。以其猶勝於鍾求之說耶。
一陰一陽之謂道。卽陰陽圈也。繼之者善。卽五行圈也。成之者性。卽萬物圈也。然則其間男女之圈。當屬於何耶。人之血氣成形。卽陰陽圈也。人之五性感動。卽五行圈也。人之泛應萬事。卽萬物圈也。然則其間男女之圈。又當屬於何耶。先儒皆謂天與日月。皆左旋。左旋自西而東之謂也。然以日月之不及天而退一度退十三度者。觀之。則日月可謂左旋矣。至於天則分明是自東而西也。曷嘗有左旋之時耶。先生嘗敎小子曰。氣若霎時澄淸。則霎時無氣質之性。一日澄淸。則一日無氣質之性。顔子三月不違。則三月無氣質之性。又曰。從古聖賢。只說降衷。只說秉彛。只說恒性而已。後世道學不明。或有以性惡者。或有以善惡混者。而性善之道。不明於天下。故先儒不得已。而提起氣質性三字。以明人之不善。由於氣而不由於性之故也。後之人不知先儒不得已之苦心。反爲主氣論之。便同異端之歸。此今世論理家大獘也。小子謹守此說。而又自料于心曰。氣質之性。指不善處也。而未發之時。有何曾不善之端乎。纔着不善字。便非未發也。纔說氣質性。亦非未發也云矣。向見先生答時林別紙語曰。遂庵曰。氣質之性。與生俱生。非可以隨時有無云。此說與小子前所聞者。以有異。而先生又從而與之。何耶。


答附
平安字慰慰。袖書者。又是賢從。乍見五嶽非凡。德門福祿可知。尤以爲賀。病人冬日牢蟄。苦竢春還。開門得見山色。吾事已畢。今則戶已開矣。精神轉益陸沈。所希望。歸於錯料。可笑。別紙非不欲逐節奉答。而昏花翳眼。見亦不能仔細。況能作答語乎。其尾答一二而已。親至爲望。形氣二質說。公去之日。有餘鬱。草成俟便。今倂付所來別紙。留以竢後面。
申生統體各具之說。以今觀之。似無不可。而當時緣何從金生。無乃吾茅塞而然耶。
圖從造化直說。故有氣化形化之次第。人事上必尋男女之圈。不已拘乎。
左旋之疑。誤矣。旋是去而復還之意。天之去而復還也。固自西而東矣。氣質之不隨時有無。本非吾之十分嚮服。曾所與令族人言者。不記其語脈云何。未發是十分澄淸時。不可以氣質藏在一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