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4
  • 기(記)
  • 춘탄기(春灘記)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4 / 기(記)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14.0001.TXT.0049
춘탄기
동경(東京)주 149)이 어떤 때이며, 부춘(富春)주 150)이 어떤 땅인가? 희희양양(熙熙穰穰)주 151) 왕래하다 안개와 구름이 사라지고 텅 비면 아득히 넓고 큰 바다의 한 알 좁쌀 같고, 산고수장(山高水長)주 152)하여 위대한 운치와 빼어난 자취가 천고에 빛나는 해와 별과 같아 사람들로 하여금 완연히 마치 운산(雲山)과 강수(江水)의 사이에서 바라보고 대하고 있는 것 같게 한다.
호남(湖南)에도 또한 부춘강이 있으니 강가에 고 처사 정공(鄭公)이 장수(莊修)주 153)하던 곳이다. 공은 광채를 감추고 세상을 만나지 못해 남쪽 고을의 한 선비[布衣]에 불과할 뿐이다. 돌아가신 지 이미 오래되었으나 칭송이 자자하여 춘탄(春灘)으로 지목하기에 이르렀다. 대개 그 지역을 기록한 것은 그 사람을 생각하기 때문이고, 그 사람을 생각하는 것은 그 덕을 사모하기 때문이니, 이 강과 이 산은 이미 끝날 기약이 없으니, 공이 사람들에게 사모를 받는 것은 생각건대 또한 엄 선생(嚴先生)주 154)과 같을 것이다. 저 고거사마(高車駟馬)주 155)를 많은 사람들이 창야(唱喏)주 156)하는 것은 바로 철새나 후충(候虫)주 157)이 한 때 귀를 시끄럽게 하는 것이다. 내 비록 당시에 끊임없이 왕래하지는 못하였지만 만년에 이 강가에 우거하며 정채(精釆)를 상상하고 우러르니, 삼가 이것을 써서 뜻을 드러낸다.
주석 149)동경(東京)
후한(後漢)의 도성인 낙양(洛陽)으로, 곧 후한을 가리킨다.
주석 150)부춘(富春)
부춘산(富春山)으로, 후한(後漢) 때 엄광(嚴光)이 광무제(光武帝)의 초빙을 물리치고 은거한 산이다.
주석 151)희희양양(熙熙穰穰)
이익 추구를 위해 시끄럽고 번잡하게 오가는 모습을 형용한 말이다. 《사기》 권129 〈화식열전(貨殖列傳)〉에 "천하가 희희함은 모두 이익을 위해 오는 것이요, 천하가 양양함은 모두 이익을 위해 가는 것이다.[天下熙熙, 皆爲利來, 天下壤壤, 皆爲利往.]"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양(穰)과 양(壤)은 통용이다.
주석 152)산고수장(山高水長)
산은 높고 물은 유유(悠悠)히 흐른다는 뜻으로, 군자(君子)의 덕이 높고 끝없음을 산의 우뚝 솟음과 큰 냇물의 흐름에 비유했다. 송(宋)나라 범중엄(范仲淹)의 〈엄선생사당기(嚴先生祠堂記)〉에 "구름 낀 산 푸르고 푸르듯, 저 강물 곤곤히 흐르고 흐르듯, 선생의 풍도 역시 산고수장이로세.[雲山蒼蒼, 江水泱泱, 先生之風, 山高水長.]"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주석 153)장수(莊修)
장수유식(藏修遊息)의 준말로 늘 학문에 전념함을 뜻한다. 《예기》 〈학기편(學記篇)〉에 "군자는 학문에 대해서 학교에 들어가서는 학업을 닦고 학교에서 물러나 쉴 때는 기예를 즐긴다.[君子之於學也, 藏焉修焉, 息焉游焉.]"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저본의 '장(莊)' 자는 '장(藏)'의 오자로 보인다.
주석 154)엄 선생(嚴先生)
후한(後漢)의 엄광(嚴光)을 말한다. 자는 자릉(子陵)이다. 광무제(光武帝)가 제위(帝位)에 오르기 전에 함께 공부하던 사이였는데, 광무제가 즉위하자 성명을 고치고 숨어 나타나지 않았다. 나중에 광무제가 찾아서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제수하였으나 받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숨어 살았다. 《後漢書 逸民列傳 嚴光》
주석 155)고거사마(高車駟馬)
수레덮개가 높은 수레와 네 마리의 말이란 뜻으로, 부귀한 사람이 타는 것을 말한다. 한(漢)나라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장안(長安)으로 들어가던 중 고향인 성도(成都)를 지나다가 승선교(昇仙橋) 다리 기둥에 "높은 수레와 사마를 타지 못하면 다시는 이 다리를 지나지 않겠다.[不乘高車駟馬, 不過此橋.]"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漢書 卷57 司馬相如傳》
주석 156)창야(唱喏)
남자가 읍하면서 소리를 내어 공경을 보이는 것이다.
주석 157)후충(候蟲)
철따라 생기는 벌레를 뜻하는데, 예컨대 봄에는 나비, 여름에는 매미, 가을에는 귀뚜라미 등을 이른다.
春灘記
東京何時。富春何地。熙往穰來。烟消雲空。渺然滄海之一粟。而山高水長。偉韻逸躅。日星於千古。得使人人。完若瞻對於雲山江水之間。湖之南。亦有富春江。上有故處士鄭公莊修之地。公潛光蘊輝。不遇於世。不過爲南州之一布衣耳。没世旣久。而稱誦藉藉。至以春灘目焉。蓋志其地。所以思其人。思其人。所以慕其德。此江此山。旣無有了期。則公之所以見慕於人者。想亦與嚴先生同矣。彼高車駟馬。千人唱喏。卽時鳥候虫一時之聒耳。余雖不能源源於當日。而晚寓此江之上。想仰精釆。謹書此而見志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