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8
  • 서(7)(書(7))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8 / 서(7)(書(7))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8.0001.TXT.0008
황경함에게 답함
보내온 편지의 제1단락에서 "령(靈)은 심의 당체(當體, 실체)이니, 그 가운데 나아가면 절로 주재(主宰)와 묘용(妙用)의 신(神)이 있기 때문에 중리(衆理)를 갖추고 만사(萬事)에 응하는 체용이 있음이 이와 같다."라고 하였는데, 그렇다면 주자가 《대학》명덕(明德)의 주에서 어찌 "허령불매(虛靈不昧)한 가운데 절로 주재와 묘용의 신이 있어 중리를 갖추었다.……"라고 하지 않고, 단지 "허령불매"하다고만 하였겠는가? 단지 이 령은 문득 주재하기도 하고 문득 묘용이 되게 하기도 하니, 이 령을 제거하면 완연(頑然)한 하나의 흙과 나무일뿐이니, 다시 어떤 물이 있어 주재할 수 있으며, 묘용이 되게 할 수 있겠는가? 다만 인(仁)하기 때문에 령(靈)하니 인이 아니면 어찌 이 령이 있겠으며, 인하기 때문에 각(覺)하니 인이 아니면 어찌 이 각이 있겠는가? 이로써 능히 깨닫는 것은 령(靈)이고 깨닫게 하는 것은 성(性)이며, 능히 주재하는 것은 령이고 주재하게 하는 것은 성이며, 능히 묘용하는 것은 령이고 묘용하게 하는 것은 성이라, 능(能)이라는 것은 부려지는 것이고 소(所)라는 것은 장수이며, 자자(者者)라는 것은 종이 되고 저저(底底)라는 것은 주인이 되니, 이른바 령이라는 것은 바로 이(理)가 주재 묘용하는 것임을 알겠네. 지금 이것을 모르고 바로 령의 밖에서 별도로 하나의 현현(玄玄)하고 망망(茫茫)한 영상(影象)을 찾아 주재와 묘용으로 삼으려하니, 이 물이 어떤 물인지 모르겠네. 이(理)인가, 기(氣)인가? 기라고 한다면 그대는 반드시 주재를 기로 여기지 않을 것이고, 성이라고 한다면 성이 성을 점검하니 심이 성을 점검한다고 하는 것은 부당하고, 성이 성을 통솔하니 심이 성을 통솔한다고 하는 것은 부당하네. 마음에는 령이 있고 또 신이 있어 각자 점거하고 있다고 할 것이니, 이것이 사리에 과연 온당하겠는가? 근래 애산(艾山)의 심설(心說)은 진실로 과당한 곳이 있는 줄 깨달았으니, 이른바 "진실로 이 기가 없으면 정(靜)은 붙을 것이 없고 동(動)은 탈 것이 없기 때문에 합(合)이라고 한다."라는 것과 같은 것이네. 이것은 성(性) 자의 본 뜻을 완곡하게 설명한 것이고 심을 말한 것은 아니네. 선사(先師)께서 일찍이 애산의 물음에 답한 것에 "성(性)을 말하는 데로 차츰차츰 흘러 들어간다."라고 한 것이 있으니,주 14) 잘못 들어간 것이 처음부터 이러했음을 생각한 말임을 알 수 있네. 제2단락에서 말한 것은, 당체(當體)의 원두(源頭)에 어찌 일찍이 각각 지분(地分)이 있었던가? 음양은 시작이 없고 동정은 실마리가 없어 천지에 원두라고 부를 수 있는 한 물건이 없네. 이른바 원두는 또한 당체(當體)에서 보아야 하네. 이 이가 있기 때문에 이 심이 있으니 이것이 원두이고, 이 심이 있기 때문에 이 이를 갖추니 이것이 당체인데, 어찌 위의 반과 아래의 반이 층으로 나뉘어 서로 현격함이 있겠는가? 제3단락에서 말한 것은, 태극(太極)·성(性)·신(神)·심(心)은 하나의 이(理)일 뿐이니, 그 주재와 묘용이 되는 것은 실로 두 가지가 없네. 심은 주재아 묘용으로 말하는 것이 불가하다는 것은 실로 나의 뜻이 아니니, 당시에 무엇 때문에 그렇게 말했겠는가? 제4단락의 주재와 묘용이 절로 심의 진면목과 본지(本旨)라는 것은 진실로 편지에서 말한 것과 같네. 그러나 이것은 그대만 아는 것이 아니라 나도 알고 있으니, 교왕과직(矯枉過直)은 여기에 있지 않네. 다만 령을 심으로 인식하는 것은 주기(主氣)에 혐의스럽기 때문에 령의 밖에서 별도로 한 개 주재 묘용을 취하여 심의 본지로 삼아 사람으로 하여금 귀결[着落]할 곳이 없고 의거하여 지킬 것이 없게 하는 것이 마치 바람을 잡고 그림자를 매어두려는 것 같으니, 이것이 교왕과직이 아니겠는가? 제5단락에서 말한 것은, '심통성정(心統性情)'의 '통' 자는 성정의 위에 있으니, '심' 자가 주제(主制)한다는 뜻이 절로 드러나네. 심이라는 것은 성정의 총명(總名)이고 '총' 자는 성정의 아래에 있으니, 성정의 밖에 다시 별도로 심이 없는 것이 마치 '성의(誠意)'와 '의성(意誠)'을 말함에 공(功)과 효(效)가 나누어지고, '경이(敬以)'와 '이경(以敬)'을 말함에 직(直)과 부직(不直)이 판별되는 것과 같네. 제6단락에서 "겨우 성(性)을 말하면 성이 아니기 때문에 도(道)는 깨닫는 이치는 있지만 깨닫는 일은 없다."라고 하였는데, 만약 이 설과 같다면 겨우 성을 말하기 이전에 도는 깨닫는 것이 있고 성을 말한 뒤에는 깨닫는 것이 없네. 또 말하기를 "심은 주재의 이(理)이고 묘용의 신(神)인데 그 돕는 것을 말하면 정령(精靈)이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심과 정령을 나누어 두 가지 물로 여기는 것이네. 또 말하기를 "깨닫는 것은 령이고 깨닫게 하는 것은 주재와 묘용이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또 령과 주재 묘용을 나누어 두 조각으로 만든 것이네. 이물(二物)과 양편(兩片) 이것이 어찌 일본(一本)과 주재(主宰)의 뜻이겠는가? 나는 실로 "기는 유위(有爲)하기 때문에 심이 능히 성을 점검한다."라고 하였지, 어찌 일찍이 곧장 "기가 능히 성을 점검한다."라고 하였던가? 술이 보리에서 만들어진다고 보리를 마신다고 하는 것이 가하겠는가? 한갓 기가 성을 점검하는 것이 신하가 임금을 제어하는 것 같음만을 알고, 이가 성을 점검하는 것은 임금이 임금을 제어하는 것이 되는 줄 모르는가? 또 심이 성을 점검하는 것은 성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성을 따르는 것이니, 마치 장군이 바깥에서 제어하는 것은 임금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임금의 명을 행하는 것이라는 것과 같네. 만약 장군이 바깥에서 제어하는 것을 가지고 참람되고 핍박하는 혐의가 있다고 여겨 금지하여 간여할 수 없게 하고, 음식을 전달하고 북을 울리는 등 해야 할 모든 일을 임금 스스로 한다면, 임금의 권세가 높다고 하겠는가, 없다고 하겠는가? 지금 의론이 무엇이 이것과 다르겠는가? 제7단락에서 "준로(峻露)……"라고 한 것은, 다른 것이 아니라 령(靈)이라는 물(物)은 비록 기를 떠나지 않지만 그것을 곧장 기라고 한다면 정추(精粗)의 구분에 흡족하지 못한 점이 있기 때문에 준로(峻露)라고 했을 뿐이네. 무릇 심이라는 것은 오행(五行)의 정영(精英)이고 일신(一身)의 신명(神明)이니, 이른바 주재가 이로 말미암아 서고 이른바 묘용이 이로 말미암아 생겨나니, 어찌 정령을 버리고 별도로 주재와 묘용의 신을 구하여 심의 본지(本旨)로 삼는 것이 가하겠는가? 주자가 말하기를 "성과 심은 하나이면서 둘이고 둘이면서 하나이다."라고 한 것은 둘이면서 하나인 것으로 말한 것이고, 맹자가 이른바 "인은 인심이다.[仁人心]"라고 한 것과 소옹(邵雍)이 이른바 "심은 택극이 이것이다.[心太極是也]"라고 한 것은 하나이면서 둘인 것으로 말한 것이고, 공자가 이른바 "그 마음이 인을 어기지 않는다.[其心不違仁]"라는 것과 주자가 이른바 "심은 음양과 같은 것이 이것이다.[心猶陰陽是也]"라고 한 것은 합하여 하나로 하려고 하되 반드시 먼저 나누어 정밀하게 해서 피차의 경계가 실로 구차해서는 불가하다는 것과 같네. 주자가 또 말하기를 "신령한 곳은 단지 심이다.[靈處只是心]"라고 하였으니, 주자는 어찌 주재와 묘용을 말하지 않고 단지 령으로 말한 것인가? 대개 령은 주재와 묘용이 되는 소이(所以)이기 때문이네. 《대학》의 주에 "명덕(明德)은 사람이 하늘에서 얻어 허령불매한 것으로……"라고 하였는데, 덕(德)은 득(得)이니, '소득(所得)' 두 글자로 '허령(虛靈)……'이라는 위에 두었으니, 허령은 명덕(明德) 가운데의 일이 됨을 알 수 있네. 세상 사람들은 '소득' 두 글자가 윗부분에 있는 줄 모르고 단지 하단의 '허령……'이라고 한 사이에서 명덕을 찾고 심지어 명덕이 형이하(形而下)가 된다고 하니, 어찌 잘못되지 않았는가? 이로서 령은 이(理) 가운데의 일이고 령이 주재묘용이 되는 것은 바로 이가 주재 묘용 하는 것임을 알겠네. 어떻게 여기는가? 부곽(郛郭)의 설은 편지를 통해서와 만나서 이야기 한 것이 상세히 다했을 뿐 아닌데, 이에 다시 이렇게 제기하는가? 선입견은 옮기기 어려움이 이와 같은 줄 알 수 있겠네. 비록 답하려고 하여도 앞에서 말한 것 이외에 다시 남은 말이 없으니, 어찌하고 어찌하겠는가? 이렇게 이단의 학문이 침범하는 날을 당하여 이런 일이 있는 줄 아는 사람이 거의 없네. 이런 일이 있는 줄 아는 사람은 또 모두 주기(主氣)의 오류를 주장하여 각자 서로 배격하는 것이 갈수록 더욱 심하니, 우리 유학의 도가 고약(孤弱)함이 어떠하겠는가? 더구나 이렇게 노쇠하고 궁하여 침체되어 있어 외롭고 무료한데, 오직 그대가 있어 서로 바라봄에 멀지 않은 곳에 있으니, 보거(輔車)주 15)처럼 의지하고 공거(蛩蚷)주 16)처럼 도움을 받는다면, 강토(講討)하고 문변(問辨)하는 사이에 입술이 들어맞듯 회통(會通)하여 한 곳으로 함께 귀결할 것을 생각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원컨대 그대는 선입견을 주장하지 말고 공정하게 듣고 나란히 관찰하여 지당한데 돌아가기를 바라네.
주석 14)선사(先師)께서……있으니
《노사집(蘆沙集)》권12〈정후윤의 문목에 답함[答鄭厚允問目]〉에 나온다.
주석 15)보거(輔車)
보(輔)는 협보(頰輔)로 뺨에 붙은 뼈를 가리키고, 거(車)는 아거(牙車)로 어금니 아래 뼈이다. 《춘추좌씨전》 희공(僖公) 5년에 "속담에 이른바, '보거(輔車)가 서로 의지하고 입술이 없어지면 이가 시리다는 것'은 우(虞)와 괵(虢)을 두고 이른 것이다."라고 하였다.
주석 16)공거(蛩蚷)
공공(蛩蛩)과 거허(蚷虛)를 말하는데, 전설상의 두 짐승의 이름이다. 공공은 북해 가운데 있다는 말 비슷한 짐승이고 거허는 수말과 암나귀 사이에서 난 짐승인데, 늘 같이 따라 다닌다고 한다. 항상 함께 지내며 서로 의지하는 것을 비유한다.
答黃景涵
來書第一段。謂靈是心之當體。就其中。自有主宰妙用之神。故有是具衆理應萬事之體用如此。則朱子於大學明德註。何不曰虛靈不昧之中。自有主宰妙用之神。以具衆理云云。而止曰虛靈不昧耶。只此靈也。便能主宰。便能妙用。除却此靈。則頑然一土木而已。更有何物可以主宰。可以妙用。但仁故靈。非仁安有此靈。仁故覺。非仁安有此覺。是知能覺者是靈。而所覺底是性。能主宰者是靈。而所主宰底是性。能妙用者是靈而所妙用底是性。能者爲役而所者爲帥。者者爲僕而底底爲主。則所謂靈者。卽理之所以主宰妙用也。今不知此。而乃於靈之外。別討一箇玄玄茫茫底影象。以爲主宰妙用。未知此物何物。是理耶氣耶。以爲氣也。則賢必不以主宰爲氣。以爲性也則是性檢性。不當曰心檢性。是性統性。不當曰心統性也。方寸之間。有靈又有神。各自占據。此於事理果穩當耶。近覺得艾山心說。誠有過當處。如所謂苟無是氣。則靜無所榙。動無所乘。故謂之合。此是完轉說性字本旨出來。非所以言心。先師嘗答艾山問有曰。駸駸流入說性去。可知誤入者。想未始非此之謂也。第二段云云。當體源頭。何嘗各有地分。陰陽無始。動靜無端。上天下地。無一物可以喚做源頭。所謂源頭。亦只於當體上見之。有此理故有此心。此源頭也有此心故具此理。此當體也。豈有上一半下一半層節之相懸耶。第三段云云。太極也性也神也心也。一理而已。則其爲主宰妙用。固無二致也。心不可以主宰妙用言者。實非愚意。當時緣何而云爾耶。第四段主宰妙用。自是心之眞面本旨。誠如來喩。然此非但賢知之。愚亦知之。矯枉過直。不在於此。但認靈爲心。嫌於主氣。故於靈之外。別取一箇主宰妙用。以爲心之本旨。使人沒着落無据守。如捕風繫影。此其非矯枉過直者耶。第五段云云。心統性情。統字在性情之上。則心字主制之義自著。心者性情之總名。總字在性情之下。則性情之外。更別無心。如曰誠意意誠。而功與效分焉。敬以以敬。而直不直判焉。第六段才說性。不是性。故道有覺之理。而無覺之事。若如此說。才說性以前。道有覺。而說性而後。無覺也。又曰心是主宰之理。妙用之神。而言其資助則精靈也。此以心與精靈。分爲二物也。又曰覺者靈也。覺之者主宰妙用也。此又以靈與主宰妙用。分爲兩片也。二物兩片。此豈一本主宰之義耶。愚固曰氣有爲。故心能檢性。何嘗直曰氣能檢性耶。以酒醴之出於來牟。而謂之飮來牟可乎。徒知氣檢性之如以臣制君。而不知理檢性之爲以君制君乎。且心之檢性。非制性乃循性也。如將軍之制於外。非制君。乃所以行君之命也。若以將之制外。而謂有僭逼之嫌。禁之使不得干預。而傳餐鳴鼓。凡百執事之役。君自爲之。則君之勢可謂尊乎貶乎。今之論何以異於是。第七段峻露云云。非他也。靈之爲物。雖不離氣而直謂之氣。則於精粗之分。有未愜者。故謂峻露耳。夫心者。五行之精英。一身之神明。所謂主宰。由此而立。所謂妙用。由此而生。豈可捨精靈而別求主宰妙用之神。以爲心之本旨乎。朱子曰性與心一而二。二而一。以二而一者言之。孟子所謂仁人心。邵子所謂心太極是也。以一而二者言之。孔子所謂其心不違仁。朱子所謂心猶陰陽是也。如欲合而一之。必先有以分而精之。而彼疆此界。固不可苟也。朱子又曰靈處只是心。朱子何不言主宰妙用。而只以靈言耶。蓋靈所以爲主宰妙用也。大學註曰。明德者。人之所得乎天而虛靈不昧云云。德得也。以所得二字。冠之於虛靈云云之上。可知處靈之爲明德中事也。世人不知所得二字在上頭。只於下段虛靈云云之間。尋求明德。至以明德爲形而下。豈不誤哉。是知靈是理中事。而靈之爲主宰妙用乃理之所主宰妙用也。如何如何。郛郭之說。以書以面。不啻詳悉。而乃復提起如此耶。可知先入之難移。有如是矣。雖欲奉答。而前說之外。更無餘言。奈何奈何。當此異學侵畔之日。而知有此事者。無幾人焉。知有此事者。又皆爲主氣所誤。各相排抑。去而愈甚。吾道之孤弱。爲何如耶況此衰窮淟渧。煢煢無聊。而惟有吾友相望。在不遠地。倚之如輔車。資之如蛩蚷。則其於講討問辨之間。可不脗然會通。思所以同歸一轍乎。願吾友不以先見爲主。公聽倂觀。歸於至當是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