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7
  • 묘지명(墓碣銘)
  • 둔암 처사 고공 묘지명(遯庵處士高公墓誌銘)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7 / 묘지명(墓碣銘)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17.0001.TXT.0017
둔암 처사 고공 묘지명
우리 고을에 옛날에 은사(隱士)가 있었으니, 둔암(遯庵) 고공(高公)인 휘 경리(景离), 자 광우(光宇)가 그 사람이다. 산에서 나물 캐고 강에서 낚시하여 부모님께 맛있는 음식을 올렸고, 밤에는 등불을 밝히고 경서를 읽었다. 함부로 교유하지 않고 반드시 합당한 사람을 택하였으며, 고, 함부로 출입하지 않고 반드시 합당한 곳을 택하였다. 예에 맞지 않는 책은 보지도 않고 법도에 맞지 않는 말은 하지 않았다. 사양하고 받으며 얻고 주는 일에 이르러서는 합당한 의리가 아니고 합당한 도리가 아니면 만종(萬鍾)이라도 달갑게 여기지 않았으며 조금도 구차하게 처신하지 않았다. 주군(州郡)에서 추천하였지만 나아가지 않고 관찰사가 불렀지만 나아가지 않았다. 국사봉(國師峰) 아래에 집을 짓고 세 갈래 오솔길을 내어 꽃과 대나무를 심고 사방 벽엔 책이 가득하였다. 소쇄하고 고즈넉하여 그 사이에서 자기 뜻대로 자유로이 생활하였다. 때때로 은봉(隱峰) 안 선생(安先生)을 따라 경서를 강론하고 산수 간에 노닐며 바람을 쐬고 시를 읊조리는 흥취를 다하였으니, 〈천태유산록(天台遊山錄)〉과 같은 여러 작품에서 볼 수 있다.
고씨(高氏)는 관향이 장흥(長興)이다. 휘 신전(臣傳)은 호조 참의를 지내고, 휘 열(悅)은 호조 참판를 지냈으며, 휘 상덕(尙德)은 지평을 지냈는데, 모두 중대의 현조(顯祖)이다. 증조는 휘 익심(益深)으로 창릉 참봉(昌陵參奉)을 지냈고, 조부는 휘 명진(明進)으로 통덕랑(通德郞)을 지냈다. 부친은 휘 현(鉉)으로 진사를 지냈다. 모친은 동래 정씨(東萊鄭氏)로, 첨추(僉樞) 언상(彦祥)의 따님이다. 공은 창녕 조씨(昌寧曺氏) 참봉 조의수(曺義修)의 따님에게 장가들었다. 모두 2남을 낳았으니, 장자는 원건(元健)이고, 차자는 인건(仁健)이다. 손자는 태제(泰濟)이고, 증손은 가한(可漢)이며, 현손(玄孫)은 명림(命霖), 명주(命舟), 명좌(命佐)이다. 이하는 기록하지 않는다.
공의 묘소는 수동(壽洞) 선영(先塋) 좌측 자좌(子坐)에 있고 쌍분(雙墳)이다. 10세손 광무(光茂)가 대인(大人)의 명을 받들어 가장(家狀)을 가지고 와서 묘지명을 청하였다. 다음과 같이 명을 짓는다.

옷 속에 옥을 품고 손에 옥 지니고 懷瑾据瑜
산림에 은거하였네. 枕山樓谷
한가롭게 소요하며 婆娑徜徉
즐거움 알리지 않기로 길이 맹세하였네. 永矢不告
커다란 운치, 은둔한 자취는 偉韻逸躅
저 언덕에 있네. 在彼阿陸
선조가 복을 다 누리지 않아 碩果不食
후손이 대대로 복을 누리네. 世世式穀
遯庵處士高公墓誌銘
吾鄕古有隱士曰遯庵高公。諱景离。字光宇。其人也。採山釣水以供親旨。焚膏繼晷以讀古經。不妄交遊而必擇其人。不妄出入而必擇其地。目不觀非禮之書。口不道非法之言。至於辭受取予。非其義也。非其道也。萬鍾有所不屑。一毫有所不苟。州郡擧之而不起。侯伯邀之而不赴。結廬於國師峰下。三逕花竹。四壁圖書。瀟灑幽。閴寄敖其間。時從隱峰安先生。講討墳籍。登臨水石。以償風詠之趣。如天台遊山錄諸篇可見。高氏貫長興。諱臣傳。戶曹參議。諱悅。戶曹參判。諱尙德。持平。皆其中系顯祖也。曾祖諱益深。昌陵參奉。祖諱明進。通德郞。考諱鉉。進士。妣東萊鄭氏僉樞彦祥女。公娶昌寧曺氏參奉義修女。擧二男。長元健。次仁健。孫泰濟。曾孫可漢。玄孫命霖命舟命佐。以下不錄。公墓在壽洞先兆左傍子坐雙墳。十世孫光茂。奉大人命。以其家狀。謁誌墓之文。銘曰。懷瑾据瑜。枕山樓谷。婆娑徜徉。永矢不告。偉韻逸躅。在彼阿陸。碩果不食。世世式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