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6
  • 제문(祭文)
  • 노사 선생에 대한 제문(祭蘆沙先生文)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6 / 제문(祭文)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16.0001.TXT.0001
노사 선생주 1)에 대한 제문
삼대(三代) 시대 여러 성인이 나온 뒤에 공자께서 나오셨고, 염락(濂洛)주 2)의 여러 철인이 나온 뒤에 주자가 나왔고, 동방의 여러 유자들이 나온 뒤에 선생께서 태어나셨으니, 대개 하늘이 성대하게 일어난 뒤에 한 사람을 낳아 절충하고 집성하게 하여 사문(斯文)을 위한 만세의 계획으로 삼았던 것입니다. 더구나 의리는 어두워져 막히고 추향은 여러 갈래로 나누어 진 것이 이에 춘추(春秋) 시대와 남송(南宋) 때 보다 심함이 있으니, 하늘이 선생으로 하여금 한번 다스려지는 운수를 담당하게 한 것은 또 어찌 우연이겠습니까.
오호라! 선생께서는 운수에 응한 것이 황하와 같고 신령함을 모은 것이 산악과 같아 오백 년 지극히 크고 지극히 강한 기와 천만 년의 오랜 유정유일(惟精惟一)주 3)의 학문은 장엄하기가 마치 암벽이 천 길 높이 솟은 것과 같고, 넓고 아득하기가 마치 바다가 만곡(萬斛)을 담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인(仁)은 봄기운이 생동하는 것 같고 의(義)는 가을 기운이 엄숙한 것 같습니다. 좋은 금과 정결한 옥처럼 순수하여 조탁한 흔적이 없고 광풍제월(光風霽月)주 4)처럼 깨끗하여 속진을 벗어난 모습이 있습니다. 출처[行藏]는 나라의 시운과 관계되었고 문장(文章)은 천지의 원기에 참여하였습니다. 곡절이 만 번 변하였으나 응답함은 큰 종소리가 메아리에 응하는 것 같았고 현우(賢愚)가 다르지만 교육시킴은 조물주가 빠뜨림이 없는 것과 같았습니다.
오호라! 성인이 멀어지고 말씀이 인몰되며 세도는 떨어지고 풍속은 오염되어 사람들이 그 의론을 달리하고 선비는 그 학문을 사사롭게 여겨 종횡으로 분열되어 천만 갈래로 나누어졌습니다. 오직 선생께서는 동서남북의 밖으로 나와 도덕(道德)과 인의(仁義)의 근원에 앉아 밝은 견해로 분명하게 비추어보고 담소하며 물리쳐 마치 백천(百川)의 미친 물결이 그 길을 얻어 호연(浩然)히 동으로 흘러가는 것 같았습니다.
오호라! 나라에서 의뢰함이 시귀(蓍龜)주 5)와 같았고 사람들이 우러르기를 마치 태산북두같이 하고 백성들이 바라보기를 마치 상서로운 해와 구름같이 보았는데, 어찌 원로를 남겨두지 않아 이 세상으로 하여금 갑자기 안방(安放)의 애통함주 6)을 만나게 하는 것입니까.
소자가 선생을 섬긴 지 지금 십여 년입니다. 아껴주시고 가르쳐 주시며 꾸짖으시고 바라심에 그 간절한 마음 지극히 하셨는데, 소자가 보답한 것은 어떤 일입니까? 빙호수월(氷壺水月)주 7)을 다시 볼 수 없으니, 규구(規矩)와 준승(準繩)주 8)을 어디에서 본받으랴. 태산이 무너지자 개미언덕이 높아지고 태양이 사라지자 반딧불이 빛을 내니, 사문과 세도가 장차 어느 곳에 멈출지 모르겠습니다.
오호라! 선생께서 계시지 않지만 그 행의(行義)와 언범(言範)이 세상에 남아 해와 별같이 빛나니, 이것이 갱장(羹墻)의 사모주 9)와 강한(江漢)의 생각주 10)을 깃들여 장차 여기에서 몸을 마칠 수 있을 것입니다.
오호라! 흠향하소서.
주석 1)노사 선생(蘆沙先生)
정의림의 스승 기정진(奇正鎭, 1798∼1879)을 말한다. 초명은 금사(金賜), 자는 대중(大中), 호는 노사(蘆沙), 본관은 행주(幸州)이다. 서경덕, 이황, 이이, 임성주, 이진상과 함께 성리학의 6대가(六大家)로 꼽힌다. 저서로는 《노사집》이 있다.
주석 2)염락(濂洛)
염(濂)은 염계(濂溪)로 주돈이(周敦頤)가 살았던 곳이고, 낙(洛)은 정호(程顥)와 정이(程頤)가 살았던 낙양(洛陽)을 말한다.
주석 3)유정유일(惟精惟一)
순임금이 우임금에게 제위(帝位)를 넘겨주면서 "인심은 위태롭고 도심은 은미하니, 정밀하게 하고 한결같이 하여야 진실로 그 중도를 잡을 것이다.[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執厥中.]"라고 한 것을 가리킨다. 《書經 大禹謨》
주석 4)광풍제월(光風霽月)
비 갠 뒤의 맑은 바람과 밝은 달로, 인품이 고결하고 마음이 깨끗한 사람을 비유한다. 송(宋)나라 황정견(黃庭堅)의 〈염계시서(濂溪詩序)〉에 주돈이(周敦頤)를 평하면서 "용릉의 주무숙은 인품이 매우 고상하고 가슴속이 깨끗하여 마치 비 온 뒤의 맑은 바람과 밝은 달 같다.[舂陵周茂叔, 人品甚高, 胸中灑落, 如光風霽月.]"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주석 5)시귀(蓍龜)
점을 칠 때 쓰는 시초(蓍草)와 거북 껍데기를 말하는데, 옛날에 일의 시비와 길흉을 점치던 것으로, 사물을 판단하는 기준을 뜻하며, 나아가서 모든 의문을 판별해 주는 원로나 국사(國士)를 뜻하는 말로 쓰인다.
주석 6)안방(安放)의 애통함
스승이 세상을 떠나 의지할 곳이 없어진 데 따른 애통함을 말한다. 공자가 세상을 떠나기 일주일 전에 "태산이 무너지는구나. 대들보가 꺾이는구나. 철인이 시드는구나.[泰山其頹乎! 梁木其壞乎! 哲人其萎乎!]"라고 노래하였는데, 자공(子貢)이 이 노래를 듣고는 "태산이 무너지면 우리가 장차 어디를 우러러보며, 대들보가 꺾이고 철인이 시들면 우리가 장차 어디에 의지하겠는가.[泰山其頹, 則吾將安仰? 梁木其壞, 哲人其萎, 則吾將安放?]"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禮記 檀弓上》
주석 7)빙호수월(氷壺水月)
빙호추월(氷壺秋月)과 같은 뜻이다. 얼음으로 만든 호리병에 맑은 가을 달이 비친 것과 같이 티 없이 고결한 정신을 뜻하는 말로, 주자(朱子)의 스승인 연평(延平) 이동(李侗)의 인품을 형용한 말에서 나왔다. 《朱子大全 祭延平李先生文》
주석 8)규구(規矩)와 준승(準繩)
규(規)는 원(圓)을 만드는 기구요, 구(矩)는 방형(方形)을 만드는 기구이며, 준(準)은 측평기(測平器)요, 승(繩)은 먹줄이다.
주석 9)갱장(羹墻)의 사모
국과 담장을 보기만 하여도 사모하는 마음이 든다는 말로 돌아가신 선왕이나 현인을 경모(敬慕)하고 추념(追念)함을 뜻한다. 《후한서(後漢書)》 권63 〈이고열전(李固列傳)〉에 "옛적에 요 임금이 돌아가신 뒤에 순 임금이 3년 동안 우러러 그리워하여 앉으면 담장에서 요 임금을 보았고, 밥을 먹으면 국에서 요 임금을 보았습니다.[昔堯殂之後, 舜仰慕三年, 坐則見堯於墻, 食則睹堯於羹.]"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주석 10)강한(江漢)의 생각
스승을 애타게 추모는 생각을 말한다. 《맹자》 〈등문공 상(滕文公上)〉에 증자(曾子)가 공자를 찬미하여 "선생님의 덕은 강수(江水)와 한수(漢水)로 씻는 것과 같고 가을볕으로 쪼이는 것과 같아서 깨끗하고 깨끗하여 더할 수 없다.[江漢以濯之, 秋陽以暴之, 皜皜乎不可尙已.]"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祭蘆沙先生文
三代群聖之後。孔子作。濂洛群哲之後。朱子出。東方群儒之後。先生生。蓋天生一人於蔚興輩出之餘。使折裏集成。爲斯文萬世計者也。況義理之晦塞趍向之多門玆有甚於春秋南宋之時。則天之所以使先生當一治之運者。又豈偶然哉。嗚呼。先生膺運河瀆。鍾靈山岳。五百年至大至剛之氣。千萬古惟精惟一之學。儼儼若壁立千仞。蕩蕩若海涵萬斛。仁如春生。義如秋肅。良金精玉。粹然無雕琢之痕。光風霽月。灑然有出塵之標。行藏係邦國之時運。文章參天地之元氣。曲折萬變。而酬答如洪鍾之應響。賢愚不齊。而敎育如化工之無遺。嗚呼。聖遠言湮。世降俗汚。人異其論。士私其學。縱橫分裂。千蹊萬逕惟先生出乎東西南北之外而坐於道德仁義之源。洞見昭晣。談笑摩之。如百川狂瀾。得其道而浩然東注也。嗚呼。邦國賴之若蓍龜。士林仰之若山斗。輿民望之若瑞日祥雲。豈不憖遺。使斯世遽遭安放之痛也耶。小子事先生。十數年于玆矣。其愛之敎之。責之望之。極其懇惻。而小子之所以報答者。爲何事也。氷壺水月。不可復覿。規矩準繩。於何可倣。泰山頹而邱垤高。大明沒而螢爝光。斯文世道。將不知稅駕於何地。嗚呼。先生不在。而其行義言範之在世。炳如日星。此可以寓羹墻之慕江漢之思。而將終身於斯焉。嗚呼。尙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