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9
  • 서(8)(書(8))
  • 위심숙에게 답함(答魏心叔)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9 / 서(8)(書(8))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9.0001.TXT.0037
위심숙에게 답함
편지를 받들어 보매 참으로 지난해 왕림하였을 때와 같으니, 나의 고마운 마음은 오랫동안 답답했던 것을 풀어내는 것 같네. 더구나 부모를 모시면서 기거하는데 건강이 좋은 것도 알았음에랴. 편지 가득히 써놓은 내용을 보면, 마음 세움의 돈독함과 학문을 향한 부지런함을 볼 수 있으니, 이제부터 어찌 발전하지 않음을 걱정하겠는가. 비록 눈을 부비고 무릎을 맞대며 그 실마리를 엿볼 수 있는 이야기를 듣지는 못하지만, 멀리서 기대하는 마음은 더욱 커지네. 약을 쓰지도 않고 병이 낫는 약은 어찌 특별한 방법이 있겠는가. 보내준 편지에서 말한 '성실(誠實)' 두 글자가 바로 그 참된 처방이니, 어떻게 생각하는가. 나는 노둔하고 저열한 하근(下根)주 104)으로 늙을수록 더욱 상태가 나빠져 가니, 아마도 이러한 의체(義諦)에 대해 헤아려서 답할 수 없는데, 그대의 근후한 뜻에 감동하여 말을 하지 않을 수 없으니 혜량해 줄 수 있겠는가. 문목은 또한 조목에 따라 대답할 것이니 바라건대 자세히 살펴보고 그 시비를 다시 알려주기 바라네. 《대학》은 《예기》의 편 가운데 하나로 있어서 세상 선비들은 〈내측(內則)〉이나 〈곡례(曲禮)〉 등 여러 편 등과 함께 똑같이 보았네. 그러다가 비로소 《예기》에서 뽑아내서 한 책으로 드러낸 자는 바로 정자(程子)라네. 그러므로 〈서문〉에서 특별히 정자 형제에 대해 말하였고,주 105) 주자(周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은 것은 이 때문이네. '공자'라고 하지 않고 '공씨'라고 하였는데, 증자와 자사가 모두 공씨라는 말 안에 포함되니, 전(傳) 10장이 자사가 지은 것이 아닌가.'초학자의 입문'은 공부의 발단을 가리켜서 말하고, '대인(大人)의 학문'은 도리(道理)의 처음과 끝을 총괄하여 말한 것이네주 106). '물(物)'은 체이고 '사(事)'는 용이네. 명덕(明德)과 신민(新民)은 남과 나에 대해서 말한 것이기에 물(物)이라고 이르고, 지지(知止)와 능득(能得)은 공부의 과정에 대해서 한 것이기에 사(事)라고 이르네. '종(終)'을 먼저 말하여야 문장이 순하네.주 107)
주석 104)하근(下根)
불교의 진리를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이 약한 사람을 가리킨다.
주석 105)특별히……말하였고
주희(朱熹)의 〈대학장구서(大學章句序)〉에서 "천운이 순환하여 가면 돌아오지 않음이 없기에 송(宋)나라의 덕이 융성하여 정치와 교화가 아름답고 밝았다. 이에 하남(河南) 정씨(程氏) 양부자가 나와서 맹자의 전함을 이어 진실로 이 책을 존신(尊信)하고 표장(表章)하셨다."라 하였다.
주석 106)초학자의……것이네
초학지문(初學之門)이란 말은 《대학》 수장의 첫 구절 들어가기 전의 정자의 말에 보이니 "《대학》은 공씨가 남긴 책으로 초학자들이 덕에 들어가는 문이다.〔大學 孔氏之遺書而初學入德之門也〕"라 하였다. 대인지학(大人之學)이란 말은 수장 첫 구절의 주에서 "대학이란 대인의 학문이다.〔大學者 大人之學也〕"라는 말에 보인다.
주석 107)​명덕과……순하네
문장이 순하다는 것은 "물에는 본말이 있고 일에는 종시가 있으니, 먼저 하고 뒤에 할 것을 알면 도에 가까울 것이다.〔物有本末, 事有終始, 知所先後則近道矣.〕"라는 《대학》 수장의 구절을 가리킨다. 명덕과 신민은 물(物)이라 하고 지지와 능득은 사(事)라고 한 것은 위 구절의 주에서 "덕을 밝히는 것은 근본이 되고 백성을 새롭게 하는 것은 끝이 되며, 머무를 곳을 아는 것이 시작이고 머무를 곳을 얻는 것이 마지막이다.〔明德爲本 新民爲末 知止爲始 能得爲終〕"라는 구절을 가리킨다.
答魏心叔
承書。正是去年承枉時。區區感沃。足令積菀釋然。矧審侍省之餘。起居百福。滿紙臚列。可見立心之篤。向學之勤。率是以往。何患不進。雖不能拭眼促膝.參聽緖餘。而遙遙期仰。於玆尢至。勿藥之藥。有何別方。來喻所謂誠寶二字。是其眞詮。如何如何。義林魯劣下根。老益荒廢。恐不足以上下於此等義諦。而感服勤意。有不能無言。倘諒恕耶。問目亦且逐條答去。幸爲視至。而回示其可否爲望。大學在禮記篇中。世儒與內則曲禮諸篇。一例等視。而始簡別而表出之者。程子也。則於序文特言兩程而不及周子者。此也。不曰孔子而曰孔氏。則會子子思皆在其中。傳十章。其非子思所述耶。初學之門。指功夫發端而言。大人之學。統道理終始而言。物體也事。用也。明德新民。是人我上說。故謂之物。知止能得。是功夫邊說。故謂之事。先言終。順文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