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9
  • 서(8)(書(8))
  • 배사원에게 답함(答裴士遠)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9 / 서(8)(書(8))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9.0001.TXT.0009
배사원에게 답함
《주역》은 몇 권까지 읽었는가? 무릇 공부는 단지 치지(致知)와 거경(居敬)에 있으니, 치지가 아니면 능히 거경할 수 없고 거경이 아니면 치지할 수 없네. 마치 수레에 두 개의 바퀴가 있고 새에 두 날개가 있는 것과 같아 서로 기다려 서로 도와야 일을 할 수 있네. 항상 단장재숙(端莊齊肅)하여 상제(上帝)를 대하는 듯, 전장(戰場)에 있는 듯이 하여 하루 12시 동안 이 마음이 간단(間斷)하는 바가 없어야 하네. 이것이 바로 공자가 이른바 "경이직내(敬以直內)"라는 것과 자사(子思)가 이른바 "계신공구(戒愼恐懼)"라는 것과 맹자가 이른바 "구방심(求放心)"이라는 것인데, 또 치지의 본령이 되네. 원컨대 사원(士遠)은 한 번 여기에 의지하여 노력해 보는 것이 어떠하겠는가? 지난번에 한 마디 말을 해달라고 하였으나 미적거리는 병통 탓으로 그 뜻에 부응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감히 이 말을 거론하여 언급하니, 바라건대 내가 나의 마음으로 미루어보지도 않고 징험하지도 못한 말이라고 하여 소홀히 여기지 않는 것이 어떠하겠는가? 세상의 어지러움이 이와 같으니, 우리 사원이 옛날 학업을 잊지 않고 진중하게 부탁함이 이와 같은데 이르렀으니, 개인적인 마음에 매우 감사하네. 나를 후대하려는 뜻은 지극히 얕지 않지만 아무것도 없는 나를 어쩌겠는가?

[문] 도(道)와 기(器)는 다만 '형(形)' 자로 나누어지는 경계인데, 이(理)는 통창하고 기(氣)는 국한되며, 이전 온전하고 기는 치우쳤다는 것은 접때 이미 가르침을 들었습니다. 돌아와 생각해 봄에 하나이면서 둘이고[一而二] 둘이면서 하나이며[二而一], 서로 떠나지도 않고[不相離] 서로 섞이지도 않는다[不相雜]는 것은 항상 분명하지 못하니, 원컨대 한 마디 가르침을 주시지요.
[답] 하나이면서 둘이라는 것에서 보면 기를 이라고 부를 수 없고 이를 기라고 부를 수 없으며, 둘이면서 하나라는 것에서 보면 기는 이의 바탕이고 이는 기의 소이연(所以然)이네.
[문] 선유(先儒)가 이르기를 "이가 아니면 발할 바가 없고, 기가 아니면 발할 수 없다."라고 하였고, 또 이르기를 "만반(萬般)의 정은 모두 이에서 발한다."라고 하였습니다.
[답] 상단은 그 전체를 총괄함을 말한 것이고, 하단은 그 단서를 가리킨 것이네.
[문] 형기(形氣)와 기질(氣質)에 대해 묻습니다.
[답] 형기는 사물로 말한 것이고 기질은 사람으로 말한 것이네. 형기의 편색(偏塞)은 견고하여 열 수가 없고, 기질의 청탁(清獨)은 변화시킬 수 있네.
[문] 감(感)과 동(動)은 실로 서로 필요하고 서로 돕지만 감할 때 동이 그 가운데 있고 동할 때 감이 그 가운데 있습니다. 감은 심(心)에서 말한 것이고 동은 신(身)에서 말한 것이니, 어떠한지 모르겠습니다.
[답] 바르게 보았네.
[문] 《논어》에 인(仁)을 풀이하기를 "전체불식(全體不息)주 17)"이라 하였고, 또 "사랑의 이치이고 마음의 덕이다.[愛之理 心之德]"라고 하였습니다.
[답] 전체불식은 인도(仁道)의 큼을 풀이한 것이고, 사랑의 이치이고 마음의 덕이라는 것은 '인(仁)' 자의 뜻을 풀이한 것이네.
[문] 혹자는 수(水)와 화(火)를 치음(稺陰)과 치양(稺陽)으로 여기고, 혹자는 목(木)과 금(金)을 치음과 치양으로 여기니, 어째서입니까?
[답] 형화(形化)로 말하면 수와 화가 치음과 치양이 되고, 사시의 순차로 말하면 목과 금이 치음과 치양이 되네.
[문] 주자가 "성은 태극과 같고 심은 음양과 같다.[性猶太極 心猶陰陽]"라고 하고, 또 말하기를 "심은 성과 정의 주재이다.[心者 性情之主宰]"라고 하였습니다.
[답] 심과 성을 상대하여 말하면 성은 태극과 같고 심은 음양과 같으며, 용처(用處)로 보면 심이 하는 바가 아님이 없네. 그러나 그 주재하는 것은 심이지만 주재하게 하는 것은 성이 아니겠는가?
[문]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지(智)와 총명예지(聰明睿智)의 지(智)는 체와 용이 있는 듯합니다.
[답] 인의예지의 지는 성(性)이고, 총명예지의 지는 심(心)이네.
[문] 원성(元城) 유 선생(劉先生)주 18)은 사마온공(司馬溫公)에게 배웠는데, 사마온공이 재상이 된 뒤로부터 한 번도 왕복하지 않았으니, 어진 사람도 또한 혐의를 피함이 있습니까?
[답] 이것은 혐의를 피한 것이 아니라, 사(士)가 된 도리는 마땅히 이와 같아야 하네.
[문]《주역》 〈곤괘(坤卦) 문언(文言)〉에 "군자는 경으로 내면을 곧게 하고, 의로써 외면을 바르게 한다.……"라고 하였는데, 치묵(致默)은 "사람은 혹 내면에 힘쓰면서 외면에 간략한 이가 있고, 사람은 혹 외면에 힘쓰면서 내면에 간략한 이가 있으니, 두 가지는 한 쪽을 폐할 수 없다."라고 여기고, 규덕(奎德)은 "막 내면을 곧게 하면 문득 외면이 바르게 되니, 마치 겉모습이 바르면 그림자가 바른 것과 같으니, 어찌 겉모습이 바른데 그림자가 바르지 않을 이가 있겠는가? 다만 내면을 바르게 하는데 힘써야 한다."라고 여깁니다.
[답] 두 설이 모두 아름답지만 치묵의 설이 더욱 정밀하네.
[문] 《중용장구》 제1장에 "하늘이 명한 것을 성이라 이르고, 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 이른다.[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라고 하였는데, 치묵은 "위아래 '성(性)' 자의 뜻이 같으니, 솔성(率性)은 바로 하늘이 명한 성을 따르는 것이다."라고 여기고, 혹자는 "위아래 '성' 자의 뜻은 같지 않음이 많이 있으니, 솔성의 성은 기질을 겸하여 말한 것이다."라고 여깁니다.
[답] 하늘에 있어서는 명(命)이 되고, 사물에 있어서는 이(理)가 되고, 사람에 있어서는 성(性)이 되네. 이미 성을 말한다고 했다면 혼연히 하늘에 있는 것이 아니니, 나는 그 같지 않음을 보지 못하겠네.
주석 17)전체불식(全體不息)
《논어》 〈공야장(公冶長)〉 옹야인이불녕장(雍也仁而不佞章)에 "인의 도는 지극히 커서 체를 온전히 하여 그치지 않는 자가 아니면 해당될 수 없다.〔仁道至大, 非全體而不息者, 不足而當之.〕"라고 한 것을 말한다.
주석 18)원성(元城) 유 선생(劉先生)
유안세(劉安世, 1048~1125)를 말한다. 자는 기지(器之), 호는 원성이다. 송(宋)나라 때 직신(直臣) 간의대부(諫議大夫)로, 사마광(司馬光)의 문인이다. 기개가 강직하여 천자의 진노를 무릅쓰고 거리낌 없이 직언을 잘하여 전상호(殿上虎)라 불렸다. 저서로는 《진언집(盡言集)》이 있다.《宋史 卷345 劉安世列傳》
答裴士遠
義經讀至幾卷耶。大抵功夫。只在致知居敬。非致知不能居敬。非居敬無以致知。如車之有兩輸。鳥之有兩翼。相須交資。可以有爲。常常端莊齊肅。如對上帝。如在戰陣。一日十二時。此心無所間斷。此便是孔子所謂敬以直內。子思所謂戒愼恐懼。孟子所謂求放心者。而又爲致知之本領也。願士遠試依此而用力焉。如何。何也有一言之請。而因循病故。未副其意。故敢擧此而及之。幸勿以不恕無驗之言而忽之。如何。世紛如此。惟吾士遠不忘舊日之業。而見屬珍重。至於如此。私心感感。所欲相厚。極不淺淺。而其於倥倥何。
道器。特以形字分界至。而理通氣局。理全氣偏。向旣聞命矣。歸而思之。一而二。二而一。不相離。不相雜者。尋常未瑩。願下一言之教。
以一而二者觀。則氣不可喚做理。理不可喚做氣。以二而一者觀。則氣是理之質。理是氣之所以然。
先儒云。非理無所發。非氣不能發。又云萬般之情皆發於理。
上端說其摠括全體。下端指其端緒。
形氣氣質。
形氣以物言。氣質以人言。形氣偏塞牢不可開。氣質清獨可以變化。
感與動。固相須相資。而感時動在其中。動時感在其中。感心上說。動身上說。未知如何。
得。
論語訓仁曰全體不息。又曰愛之理。心之德。
全體不息。訓以仁道之大。愛之理。心之德。訓以仁字之義。
或以水火。爲稺陰稺陽。或以木金爲稺陰稺陽。何也。以形化言。則水火爲稺陰稺陽。以四時序次言。則木金爲稺陰稺陽。
性猶太極。心猶陰陽。又曰心者。性情之主宰
以心性對言。則性猶太極。心猶陰陽。以用處觀。則莫非心之所爲也。然其主宰者心。而其所以主宰底非性耶。
仁義禮智之智。與聰明睿智之智。似有體用。
禮智智性睿智智心。
元城劉先生受業于司馬溫公。自溫公爲宰相後。一無往復。賢人亦有避嫌乎。
此非避嫌。爲士之道。當如是。
敬以直內。義以方外云云。致默以爲人或有務於內而簡於外者。人或有務於外而簡於內者。二者不可偏廢。奎悳以爲纔直內便方外。如表端而影正。豈有表端而影不正之理乎。但務直內。
二說俱佳。而致黙說尤密。
天命之謂性。率性之謂道。致黙以爲上下性字義同。率性卽率天命之性。或人以爲上下性字義。煞有不同。率性之性。兼氣質而言。
在天爲命。在物爲理。在人爲性。旣曰言性。非渾然在天者。吾未見其不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