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8
  • 서(7)(書(7))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8 / 서(7)(書(7))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8.0001.TXT.0002
황경함에게 답함
사람은 사람과 같고 동물은 동물과 같다.[人與人同 物與物同]는 설은 일찍이 한 벗의 질문으로 인하여 창졸간에 답한 것이 이와 같아 한 생각이 허전하여 십분 알맞은 뜻이 아니라고 여겼네. 그 뒤 돌이켜 생각해도 그렇지 않은 점을 보지 못하여 생각할수록 더욱 그 설에 들어가니, 이것이 경함(景涵)의 말이 전후로 누누이 이어졌지만 끝내 옳다고 수긍하지 못한 까닭이네. 일전에 우연히 《중용》을 가지고 아침 일찍부터 늦게까지 한가로이 보다가 《중용집주》에 이른바 "사람과 물건이 태어남에 각기 부여 받은 바의 이(理)를 얻음으로 인하여 건순(健順), 오상(五常)의 덕(德)을 삼는다."라는 한 단락에 이르러서는 나도 모르게 황연히 깨달았네. 사람이 되고 물건이 됨은 분수는 비록 다르지만 건순 오상을 덕으로 삼는 것은 동일하네. 하문에 "성과 도는 비록 다르지만"이라고 한 것은 어찌 이 구절에 응하여 붙여서 한 말이 아니겠는가? 그대가 고집하는 것은 과연 이유가 있고, 나의 견해를 고집하는 것은 혼미함을 돌리기 어려우니, 매우 부끄럽네. 그러나 분변하기를 힘쓰지 않는다면 앎이 견고하지 못하니, 전날 다소의 허비한 설이 무슨 손상이 되겠는가? 매우 감사하네. 또 '만수(萬殊)'라고 하는 것은 '일본(一本)'의 안산(案山)이니, 오로지 이분(理分)으로 말하였지 어찌 일찍이 기분(氣分)으로 설명하였던가? 그러나 일변의 논의에 이를 혼연하여 구분이 없는 물로 여겨 주재와 구별은 모두 기로 말미암는다고 여기니, 이것은 성악(性惡)의 설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그 설의 오류를 보고 돌이킬 수 있기를 생각한다면 분수(分數)의 단락이 이미 이(理)에 갖추어졌다고 여겨야 하니, 이 설은 일변의 설에 비해 하늘과 땅만큼 차이가 날 뿐만이 아니네. 그러나 한갓 분수의 단락이 이미 갖추어진 것만 알고 절충함이 있지 않으면 이른바 악(惡)이라는 것이 귀속(歸屬)할 곳이 없어 도리어 성악의 논의에 점점 빠져들 것이네. 그렇다면 장차 어떻게 절충할 것인가? 반드시 분수 상에서 절단하여 이기(理氣)를 보아야 바야흐로 귀착할 곳이 있을 것이네. 그렇지 않으면 횡측(橫側)으로 치달려 천차만별한 것을 똑같이 이(理)가 가진 것이라 이르겠는가? 이것이 만수(萬殊)에 이분(理分)과 기분(氣分)의 설이 있는 까닭이네. 정통 편색(正通偏塞)은 인물(人物)의 큰 구분이고 만세토록 바꿀 수 없는 것이 되니, 비록 기(氣)이지만 이(理分)이라 하는 것이 가하네. 내가 이른바 이분은 실로 교구(矯捄)할 수 없다고 한 것은 처음부터 이 뜻이 아님이 없는데, 그대는 도리어 끝까지 힐난하여 "금수를 교구하는 것이 사람의 정통(正通)이 된다.……"고 하니, 어찌 남의 말을 믿지 않음이 이와 같은가? 선사(先師)주 5)께서 이른바 "형기를 떠나서 분(分)을 말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이(理)가 일찍이 분(分)이 없지 않음을 볼 수 있다."라고 한 것은 또한 그 이분의 설을 가리킨 것이네. 사람이 불선을 하는 것과 금수가 치고 깨무는 것과 초목이 요얼(妖孼)이 되는 것 같은 것을 어찌 일찍이 이(理)가 가진 것이라 말한 적이 있었던가? 이분과 기분은 그 설이 어떠한지 모르겠으나 내가 자못 힘을 들여 구처(區處)한 것이 이와 같으니, 과연 전현에게 죄를 얻지 않을지 모르겠네. 지난번 보여준 책자는 연이어 어지럽고 쓸데없는 일로 인하여 미처 살펴보지 못하다가 지금 겨우 한 번 보았을 뿐이네. 삼가 나의 뜻으로 대략 말한 것이 있으니, 살펴보면 다 알 수 있을 것이네. 다시 더욱 자세히 생각하여 인편에 따라 보여주는 것이 어떠하겠는가? 도리어 생각건대 보잘것없는 나는 벗들을 떠나 쓸쓸히 지내며 노쇠하여 옛 학업이 황폐해진 지 오래 되었으니, 만일 그대가 나를 위해 단서를 열어 주지 않으면 어찌 한 생각이 이러한 의체(義諦)에 미치겠는가? 감사한 마음 끝이 없네. 바라건대 모름지기 부지런히 힘써 더욱 높고 깊은 경지에 나아가시게. 사옥(士玉)주 6)은 요즘 함께 지내고 있는가? 독실하고 근칙(謹勅)하니, 기대하는 바가 적지 않네. 밤낮으로 서로 지켜주면 도움 되는 것이 적지 않을 것이네.
주석 5)선사(先師)
정의림의 스승 기정진(奇正鎭, 1798~1879)을 말한다. 초명은 금사(金賜), 자는 대중(大中), 호는 노사(蘆沙), 본관은 행주(幸州)이다. 서경덕ㆍ이황ㆍ이이ㆍ임성주ㆍ이진상과 함께 성리학의 6대가(六大家)로 꼽힌다. 저서로는 《노사집》이 있다.
주석 6)사옥(士玉)
정순진(鄭淳珎, 1878~?)의 자이다. 본관은 하동(河東)이다.
答黃景涵
人與人同物與物同之說。曾因一友生之問。倉卒酬答者如此。而一念缺然。以爲非十分稱停之義。其後反而思之。未見其不然。愈思而愈入其說。此所以景涵之言前後縷縷。而終不肯可者也。日前。偶將中庸早晩閒看。及到集註所謂人物之生。因各得其所賦之理。以爲健順五常之德一段語。不覺怳然而覺悟也。爲人爲物。分則雖殊。而其爲健順五常則一也。下文性道雖同。豈非所以應貼此句而言者乎。賢之固執。果有以。而鄙見之執迷難回。可愧可愧。然辨之不力。則知之不固。前日之多少費說。爲何傷也。謝謝。且萬殊之云。是一本之案山。專以理分言。何嘗以氣分說也。然一邊之論。以理爲渾然無分之物。而以爲主宰區別。皆由於氣。此非性惡之說而何。見其說之差謬。而思有以反之者。則以爲分數段落。已具於理。此說比一邊之說。不啻天淵。然徒知分數段落之已具。而不有以折衷之。則所謂惡者。無所歸屬。而反有以駸駸乎性惡之論矣。然則將何以折衷哉。必於分數上。折斷得理氣看。方有着落處。不然橫側奔逸。千差萬錯。槪謂之理之所有耶。此所以有萬殊理分氣分之說也。正通偏塞。是人物之大分。而爲萬世不可易底。則雖氣也而謂之理分可也。鄙所謂理分固不可以矯捄者。未始非此意。而賢反窮詰之。以爲矯捄禽獸爲人正通云云。何不諒人言之若是耶。先師所謂雖不離形氣言分。而理之未嘗無分可見云者。亦指其理分底說也。若人之爲不善。禽獸之爲搏囓。草木之爲妖孼何嘗言理之所有耶。理分氣分未知其爲說何如。而區區所以頗費區處者如此。果不知獲罪于前賢否耶。向來所示冊子。連因紛冗。未及繙閱。今纔一番看過耳。謹以鄙意略有云云。考可悉矣。更加三思。隨便示及。如何如何。顧惟無狀。離索衰替。而舊業之荒廢久矣。如非吾友爲之發端。則安有一念及於此等義諦耶。感感亡已。望須勉勉益造崇深也。士玉近日同處否。篤實謹勅。所望非細。昕夕相守。資益想不淺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