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일신재집 권13
  • 서(序)
  • 《정씨세고》 서문(鄭氏世稿序)

일신재집(日新齋集) / 일신재집 권13 / 서(序)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13.0002.TXT.0002
《정씨세고》 서문
무릇 사람이 지니고 있는 이 몸은 선조가 남겨준 기(氣)가 아닌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 씨를 뿌리고 계속해서 태어나고 태어났기에 그 소속감이 가장 친근하고, 그 은혜가 가장 절실하다. 그러나 세대가 번갈아 바뀌고, 옛날과 오늘날이 매우 동떨어지면서 그 용모와 기상을 볼 수 없고, 그 음성과 웃음소리를 들을 수 없으며, 그 움직임과 행위를 알 수 없게 되니, 이처럼 기운이 같고 친근함이 절실했던 사이가 소원해지고 서먹해져서 또 이와 같이 되는 것인가. 추억하고 상상하여 비슷하게나마 마치 조상이 계시는 듯이 여긴다는 뜻을 붙일 수 있는 것은 오직 유언(遺言)과 유서(遺書) 뿐일 것이다.
우리 선세(先世)는 평소 문학(文學)과 벼슬로 조선 중기에 저명하였으나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극도로 쇠락해졌다. 이리저리 떠돌며 외롭고 고달파서 자신을 보존하는 데에 겨를이 없으니, 반남(潘南)의 옛터는 무성하게 자란 잡초에 파묻혔고, 가야(伽倻)의 선롱(先壟 조상의 무덤)은 소슬하게 구슬픈 바람만 불고 있다. 아, 남쪽 월(越) 땅의 새와 북쪽 오랑캐 땅의 말들도 오히려 애틋하게 고향을 그리워하는 정이 있는데, 하물며 이런 지경에 이른 사람이야 하늘에 닿는 슬픔과 뼈에 사무치는 고통이 어떠하겠는가.
용모와 음성은 형세상 본디 막연해지겠지만,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문고(文稿)마저도 또한 흩어지고 사라져서 남아 있는 것이 없었다. 그런데 내가 젊은 시절부터 샅샅이 찾아서 짧은 말이나 글을 만나게 되면 금가루처럼 아끼고 거두어 모아두었다가 이를 합쳐 책으로 만들어 《정씨세고(鄭氏世稿)》라 명명하였다. 그사이에 간혹 삭제해야 한다고 말할 만한 것이 없지 않겠지만, 삭제하여 근거로 삼을 바를 독단적으로 없애는 것보다는 어찌 보존하여 살펴볼 바가 있게 하는 것이 더 낫지 않겠는가.
선조의 세대로부터 세월이 오래 지났을 뿐만 아니고, 선조의 고향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졌을 뿐만이 아니지만, 선조의 기상과 말이 이 책에 갖추어져 있으니, 말을 완미(玩味)하고 그림을 살펴보면 마치 직접 음성과 용모를 받드는 것처럼 황홀하여 백년의 세월이 흘렀음을 느끼지 못할 것이다. 아, 우리 선조의 자손들이 이 책을 보고서 슬픈 마음이 들지 않는다면 사람의 감정이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대대로 전할 덕을 세워 내려주는 것이 어려운 일임을 느끼고, 가문의 운이 쇠락한 지 오래되었음을 슬퍼한다면, 몸을 삼가고 학문에 힘쓰며, 집안을 화목하게 하고 종족을 보존하여 선조의 일을 계승하여 완성시킬 바탕을 도모해야 할 것이니, 아마 이것을 그만둘 수 없는 점이 있을 것이다.
鄭氏世稿序
夫人之有此身。孰非祖先之遺氣哉。種下種子。接續生生。其屬爲最親。其恩爲最切。然世代迭遷。今古懸隔。其面貌氣象。不可得以見矣。聲音笑語。不可得以聞矣。動靜作爲。不可得以知矣。以若一氣親切之地。而其疎且闊。又如此耶。若其追惟想象。以寓彷彿如在之意。則其惟遺言遺書乎。我先世。素以文學仕宦。著名中葉。而零替至今日而極矣。流離孤苦。不遑自存。潘南遺墟。荒草蕪沒。伽倻先壟。悲風蕭瑟。嗚呼。越鳥胡馬。猶有懷本戀戀之情。況人生到此。而其窮天之感。切骨之痛。爲何如哉。面貌聲音。勢固漠然。而至於世傳文稿。亦且散逸無有存者矣。余自早歲。到底搜覓。遇片言隻字。愛如金屑而收拾之。合以成編。名之曰鄭氏世稿。其間或不無存削之可言。然與其削之而專無所據。曷若存之而俾有所稽耶。去先祖之世。不啻久矣。去先祖之鄕。不啻遠矣。而先祖之氣象言辭。具在於是。玩辭考畵。怳若親承音容。而不知百世之爲曠也。嗚呼。爲吾祖子孫者。覽是書而無悲感之心。則其可謂人情乎。感世德創垂之艱。悲家運零替之久。謹身力學。宜家保族。圖所以繼述成立之地。蓋將有不能已焉者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