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0
  • 서(9)(書(9))
  • 임우경에게 답함(答任宇卿)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0 / 서(9)(書(9))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10.0001.TXT.0002
임우경에게 답함
새 봄이 저물어 가는데 소식이 없으니 애타게 그리운 마음을 어찌 견딜 수 있겠는가. 인편에 편지 한 통이 이러한 때 전해지니 위안과 감사함을 어떻게 형용할지 모르겠네. 더구나 조부모와 부모를 모시고 학문하면서 줄곧 건강이 좋다고 함을 알았음에랴. '자신을 얽어맨다.'주 3)고 하였는데, 이는 참으로 가난을 참고 견디는 본래 모습으로 면할 수 없는 것이네. 다만 횡거(橫渠) 장재(張載)가 말한 사익(四益)과 같이 하면서 실로 더욱 공부를 더한다면 그대가 말한 '망령된 계책'이란 것이 또 어찌 올바른 계책이 아니라고 장담하겠는가. 마음이 흔들려서 사물에 이끌려 가버리는 것은 이 또한 보통 사람들이 다 같이 겪고 있는 걱정거리이네. 무릇 사물이 자신에게 닥쳐올 때 반드시 리(理)로 이겨서 사물에 마음을 빼앗겨 버리지 않는 것이 옳은 일이네. 그러나 마음을 존양하고 이치를 궁구하는 공부가 없다면 이(理)가 있는 곳을 알지 못하며, 또한 비록 알더라도 그 힘이 이기지 못하니, 이는 실로 일상생활에서의 제일가는 중요한 일이네. 힘쓰고 또 힘쓰게나. 향당의 학교를 '상(庠)'이라고 하고 주의 학교를 '서(序)'라 하며 나라의 학교를 '학(學)'이라고 하며, '교(校)'는 가르친다는 의미라네. 상(庠), 서(序), 학(學)은 사람을 가르치는 것 아님이 없으니, 그러므로 연달아 거론하여 문장을 이룬 것이네. 또한 교(校)는 하(夏)나라의 학교이니, 헤아릴 때 빼서는 안 되네. 우(虞)는 순(舜)의 씨이며, 하(夏)는 우(禹)의 씨이니, 이는 상고 시대의 다른 씨족류의 의미이네. 은(殷)과 주(周)는 나라 이름이요, 씨족의 호칭이 아니네. 나의 견해가 이와 같은데, 잘 모르겠네만 어떻게 생각하는가. 그러나 독서는 반드시 대의를 힘써 궁구해야 하니, 만약 한 글자의 위 아래와 한 구의 같고 다른 곳에 대의가 있지 않으면 참으로 급급할 필요가 없네. 정자가 말하기를 "대개 문장을 이루려고 하면 형세가 모름지기 이와 같아야 하니, 반드시 매 글자마다 각각 그 의미를 구할 필요는 없다."라고 한 것은 바로 이런 까닭이네. 가르치고 공부하는 여가에 몸가짐을 단정히 하고 마음을 존양하는 공부를 더하여 나의 힘으로 하여금 저 한가롭고 태만한 것을 이기게 하고 한가롭고 태만한 것이 나를 이기게 하지 말게나.
주석 3)자신을 얽어맨다
《근사록(近思錄)》 권10 〈정사(政事)〉 64조에 나오는 내용이다. "횡거 선생(橫渠先生)이 말하기를 '사람들이 어린 아이를 가르치는 일에도 또한 유익함을 취할 수 있으니, 자기를 옭아매어 출입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첫 번째 유익함이요, 사람을 여러 번 가르침에 자신도 글 뜻을 분명하게 아는 것이 두 번째 유익함이요, 아이들을 대할 적에 반드시 의관을 바르게 하고 시선을 공경하게 하는 것이 세 번째 유익함이요, 항상 자신으로 인해 남의 인재를 파괴함을 근심한다면 감히 게을리 하지 못할 것이니, 이것이 네 번째 유익함이다'[人敎小童, 亦可取益, 絆己不出入, 一益也, 授人數數, 己亦了此文義, 二益也, 對之, 必正衣冠, 尊瞻視, 三益也, 常以因己而壞, 人之才爲憂, 則不敢墮, 四益也.]"라고 하였다.
答任宇卿
新春向暮。音聞寂然。懷想憧憧。曷以勝堪。便頭一幅。際此來至。慰豁感沃。又不知所以爲諭。矧詢重省學履。連序佳告者乎。且示絆已之云。此固固窮本色。而有不得免者。只得如橫渠四益之云。而實加功焉。則賢所謂妄計者。又安知不爲得計也。戚戚牽引。此亦衆人通患。凡事物之來。必以理勝而不與俱往。爲可爲可。然非有存養窮索之功。則不知理之所在。雖知之。而其力又不能以勝之矣。此實日用第一事。勉之勉之。黨曰庠。州曰序。國曰學。而校者敎也。庠序學。無非所以敎人者。故連擧成文。且校是夏學。而不可以關數也。虞是舜之氏。夏是禹之氏。此是上古氏別族類之義。殷與周是國名。非氏號也。鄙見如此。未知何如。然讀書必須務窮大義。若其一字上下。一句同異。非大義所存。固不必汲汲爾也。程子曰。盖欲成文。勢須如此。不必每字。各求其義。正爲此也斅學之暇。更加端莊存養之功。使吾之力。足以勝彼之優優。而勿爲優優之所勝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