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6
  • 제문(祭文)
  • 계남 최원칙에 대한 제문(祭溪南崔元則文)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6 / 제문(祭文)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16.0001.TXT.0006
계남 최원칙에 대한 제문
오호라! 공은 말세에 우뚝하게 태어나 천품이 도에 가까웠고 문로가 이미 발라 능히 함양함에 방도가 있었습니다. 단후(端厚)하고 장묵(莊黙)하여 위대하게 산립(山立)주 36)의 기상이 있었고, 온량(溫良)하고 화락[愷弟]하여 성대하게 봄기운이 불어오는 기운이 있었습니다. 바라봄에 공경할 만하니 도가 있는 기상이 되는 줄 알겠고, 나아감에 사랑할 만하니 덕 있는 군자가 되는 줄 알겠습니다. 나이가 더욱 들수록 덕은 더욱 성대하고, 몸이 더욱 막힐수록 도는 더욱 형통하여 사문의 일맥을 우주가 회양(懷襄)주 37)하는 가운데서 실추되지 않도록 함이 있었으니, 공은 여기에 대해서는 아마 유감이 없어 생순사안(生順死安)주 38) 처를 삼을 수 있을 것입니다.
오호 통재라! 사촌(沙村)주 39)에서 입설(立雪)주 40)하고 진구(珍邱)에서 스승을 모셨으니, 옛적 어느 날이었던가? 산이 무너졌으니 누구를 우러를까? 벗들을 떠나 쓸쓸히 홀로 지낸지 몇 년이 되자, 옛 학업을 마치지 못한 것을 탄식하고 동지들이 더욱 멀어짐을 개탄하여, 이에 수시로 강론하며 모일 계획을 하였는데, 영남의 신안사(新安社)·뇌룡정(雷龍亭)과 호남의 담대헌(澹對軒)·영귀정(詠歸亭), 방장산·쌍계사·화엄사 등이 모두 그런 곳이 아니었던가. 그렇게 행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우선 세상이 혼란하다고 정지하였으니, 어찌 혼란이 끝날 기약이 없고 공이 이미 먼저 갈 줄 알았겠습니까. 우리들이 백수(白首)의 여생에 간관(間關)주 41)으로 서로 따르며 구구한 세한(歲寒)의 계획주 42)으로 삼았던 것이 지금은 모두 선천(先天)의 뜬구름이 되었습니다. 뒤에 남은 모래와 자갈 같은 사람주 43)은 누구를 통하며 누구주 44)를 의지하겠습니까. 더구나 회양(懷襄)의 경색이 나날이 더욱 심하여 눈으로 차마 볼 수 없고 귀로 차마 들을 수 없음에랴! 단지 덜컥 죽어 공과 함께 팔뚝 잡고 나란히 유람하기를 살았을 때와 같이하려고 하니, 조만간 공은 기다리시라.
주석 36)산립(山立)
주희(朱熹)의 〈정명도화상찬(程明道畫像贊)〉에 "양기가 만물을 기르듯 하고 산처럼 우뚝 섰으며, 옥빛처럼 아름답고 종소리처럼 쟁쟁하였네.[揚休山立, 玉色金聲.]"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주석 37)회양(懷襄)
회산양릉(懷山襄陵)의 준말로, 재앙이 매우 큼을 뜻한다. 《서경》 〈우서(虞書) 요전(堯典)〉에 "넘실거리는 홍수가 널리 해를 끼쳐 거세게 산을 에워싸고 언덕을 넘는다.[湯湯洪水方割, 蕩蕩懷山襄陵.]"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주석 38)생순사안(生順死安)
도에 입각하여 살다가 편안한 마음으로 죽음을 맞이한다는 뜻으로, 《논어》 〈이인(里仁)〉에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朝聞道, 夕死可矣.]"라는 공자의 말에 대해서 주희(朱熹)가 "도는 사물의 당연한 이치이니, 참으로 이것을 얻어 듣는다면, 살아서는 이치에 순하고 죽어서는 편안하여 다시 남은 한이 없을 것이다.[道者事物當然之理, 苟得聞之, 則生順死安, 無復遺恨矣.]"라고 주석한 말에서 나온 것이다. 이 말은 장재(張載)의 〈서명(西銘)〉에 "살아서는 천리(天理)에 따라 일을 행하고, 죽을 때에는 마음 편히 부끄러움이 없다.[存吾順事, 沒吾寧也.]"라고 사용하였다.
주석 39)사촌(沙村)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에 있는 마을이다.
주석 40)입설(立雪)
정문입설(程門立雪)의 준말이다. 송나라 유작(游酢)과 양시(楊時)가 처음 정이(程頤)를 찾아갔을 때 마침 정이가 눈을 감고 앉아 있으므로 두 사람은 인기척을 내지 않고 서서 기다렸는데, 정이가 눈을 떴을 때는 문밖에 내린 눈이 한 자가량이나 쌓여 있었다고 한다. 이것이 '정문입설'이라는 유명한 고사로, 문하에서 가르침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宋史 卷428 楊時列傳》
주석 41)간관(間關)
《시경》 〈소아(小雅) 차할(車舝)〉에 "덜커덩 수레 걸쇠여, 예쁜 막내딸을 생각하여 가도다.[間關車之舝兮, 思變季女浙逝兮.]"라는 말이 나오는데, 수레에 걸쇠를 설치하는 소리이다.
주석 42)세한(歲寒)의 계획
세한은 해가 저물어 가는 한겨울의 매운 추위를 이르는 말인데, 노년의 지조를 비유한다. 《논어》 〈자한(子罕)〉의 "해가 저물어 날씨가 추워진 다음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뒤늦게 시든다는 것을 안다.[歲寒然後, 知松柏之後凋也.]"라고 한 말에서 유래하였다.
주석 43)뒤에……사람
원문의 "사석재후(沙石在後)"를 풀이한 말이다. 진(晉)나라 왕탄지(王坦之)와 범계(范啓)가 서로 앞을 양보하면서 걸어가다가 뒤에 처지게 된 왕탄지가 "곡식을 까불며 바람에 날리면 겨와 쭉정이가 앞에 있게 마련이다.[簸之颺之, 糠粃在前.]"라고 한마디 하자, 범계가 "조리질을 하며 물에 흔들면 모래와 자갈이 뒤에 있게 마련이다.[淘之汰之, 沙礫在後.]"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世說新語 排調》
주석 44)누구
저본에는 '雖'로 되어 있으나 '誰'의 오류로 보고 수정 번역하였다.
祭溪南崔元則文
嗚呼。公挺生叔世。天資近道。門路旣正。克養有方。端厚莊黙。偉然有山立之象。溫良愷弟。藹然有春噓之氣。望之可敬。知其爲有道氣象。卽之可愛。知其爲有德君子。年彌衰而德彌盛。身益否而道益亨。使斯文一脉。有以不墜於宇宙懷襄之中者。公其於此。庶乎無憾。而可以爲生順死安處矣。嗚呼痛哉。沙村立雪。珍邱侍瑟。昔何日矣。山頽安仰。離索有年。歎舊業之未卒。慨同志之愈遠。乃爲隨時講聚之計。嶺之新安雷龍。湖之澹對詠歸。方丈雙溪華巖。皆非其地耶。行之未幾。姑以世亂停止。豈知亂無了期而公已先逝耶。吾輩以白首殘年。間關相從。以爲區區歲寒之計者。今皆爲先天浮雲矣。沙石在後。誰因雖依。況懷襄景色。日甚一日。目不忍見。耳不忍聞。只欲溘然歸化。與公把臂倂遊。如在世時。早晚公其待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