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8
  • 서(7)(書(7))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8 / 서(7)(書(7))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8.0001.TXT.0004
황경함에게 답함
애장(艾丈)의 심설(心說)은 실로 좋지만 '주재(主宰)는 이(理)'라는 한 구절은 조금 경약(徑約)주 10)한 듯하네. "그 주재를 말하면 심이고 그 주재하는 것을 말하면 이이다."라고 말하는 것이 어떠하겠는가? 근래 이른바 주기론(主氣論)은 실로 말할 것이 없고, 주리자(主理者)도 또한 종종 설이 너무 고상하여 오로지 '심'을 '이' 자로 간주하고 심지어 성은 치우치고 심은 온전하며 성은 영쇄(零碎)하고 심은 총회(總會)라고 하여, 심과 성 두 물이 대치하여 병립한 것 같이 여기고 또 별도로 무위진인(無位眞人)이 명명(冥冥)한 가운데 앉아 있는 것 같이 여기네. 이것은 작은 병통이 아니니, 어찌하고 어찌 하겠는가? 합일분수(合一分殊)는 당초 나의 뜻은 이일분수(理一分殊)의 뜻으로 보아 인력으로 끌어다가 합치는 것을 기다리는 것을 이르는 것이 아니라고 여겼네. 지금 동계(東溪)와 경함(景涵)의 말을 보고 과연 그것이 온당하지 않은 줄 알았으니, 어찌 경계할 줄 모르겠는가? "생지위성(生之謂性)"에 두 가지 의가 있으니, 곧장 생(生)을 가리켜 성(性)이라 하는 것은 상대적인 설이고, 생한 뒤를 성이라 하는 것은 전후의 설인데, 어찌 전혀 구분이 없다고 말하겠는가? 남과 계교하기를 좋아함은 사욕이 앞선 폐단이네. 그 사용이 앞서는 것을 버리는 것이 인을 구하는 방도가 아니겠는가? 세속에 동화하고 더러운 세상에 영합하지 않아 나의 의(義)를 행할 수 있고 의사를 홀로 세움이 있는 것이 의를 행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남과 더불어 계교하지 않는 것은 인을 구하는 방법이니 학자의 공부이고, 남과 계교함이 없는 것은 안자(顔子) 이상의 일이네.
주석 10)경약(徑約)
박문(博文)하고서 약례(約禮)해야 하는데도 박문은 거치지 않고 바로 약례에만 치중하는 것을 말한다.
答黃景涵
艾丈心說固好。但主宰則理一句。稍涉徑約。如曰言其主宰則心。言其主宰底則理。何如耶。近日所謂主氣之論。固無足道。其主理者。亦往往說得太高。專以心看作理字。至以性爲偏。心爲全。性爲零碎。心爲總會。似若心性二物對峙竝立。又若別有無位眞人。坐在冥冥之中此非小疵。奈何奈何。合一分殊。當初愚意。看作理一分殊之義。非待人力牽合之謂也。今得東溪及景涵之語。果知其未穩。曷不知戒。生之謂性有二義者。眞指生謂性是對待說。生而後謂之性。是前後說。何謂專然無分耶。好與人校。是私勝之敝也。去其私勝。非求仁之方耶。不同流合汚。可以行吾義。有獨立意思。非所以爲義耶。不與物校。是求仁之方。學者之功也。與物無校。是顔子以上之事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