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3
  • 서(2)(書(2))
  • 기회일에게 보냄(與奇會一)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3 / 서(2)(書(2))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3.0001.TXT.0017
기회일에게 보냄
해가 바뀌는 때를 맞아 형의 체후가 약간 편안하지 못하다고 들었습니다. 새해가 시작된 이래로 다시 편안한 일상을 회복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세상에 대한 근심과 걱정을 어떻게 달래고 계십니까? 형을 향한 그리움을 가눌 길이 없습니다. 의림(義林)은 지난번에 길을 나서지 못하여 이어서 설을 쇤 뒤 열흘 안으로 한 번 가서 마음에 쌓아둔 몇 가지 생각을 여쭈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몸의 병과 집안의 근심이 겹겹이 더해지고 가시지 않아 또 그대로 주저앉게 되었으니 한탄스러움이 어떠하겠습니까. 애산(艾山 정재규(鄭載圭))의 거취는 근래 혹시 들으셨고 궐리(闕里)주 47)의 회합은 과연 또한 잘 이루어졌는지요? 형께서 장차 열읍에 통지로 알려 열읍에서 1만 명까지 연명(聯名)으로 상소하게 하려고 하신다고 들었습니다. 형의 진심 어린 정성이 사람을 감격하여 눈물짓게 합니다. 그러나 백성들이 향상(向上)의 뜻을 갖지 않은 지 오래되었고 이적(夷狄)으로 변한 자가 많습니다. 일제히 한목소리를 내고 분기(奮起)하여 모일 수 있는 자가 몇이나 되겠습니까. 우리나라는 궁벽한 바다 모퉁이에 있어 사방에서 반드시 빼앗고자 하는 땅이 아니며 반드시 빼앗고자 자는 오직 왜(倭)뿐입니다. 왜(倭)가 우리를 향해 침을 흘린 것이 어찌 일조일석의 일이겠습니까. 근래 우리가 쇠약해진 것으로 인해서 제멋대로 틈을 엿보아 침입하더니 개화(開化)라는 구호를 내세워 30여 년에 걸쳐 이루지 않은 계책이 없고 이루지 못한 뜻이 없었습니다. 온 나라의 병사를 쓸어버리고 온 나라의 재물을 다 소진하였으며 청나라 군대를 요동(遼東)으로 내치고 러시아인을 여순(旅順)에서 막아버렸으니 이것이 어찌 이웃 나라를 보살피려고 한 것이겠습니까. 단지 우리의 원조를 끊고 우리 땅을 뺏으려는 것입니다. 수많은 비용을 소모하고 여러 해의 노고를 거듭하여 산을 뚫고 골짜기를 메꾸어 철로(鐵路)를 깔고 전기선을 설치한 것도 어찌 통상(通商)을 하려고 한 것이겠습니까. 장차 판도(版圖)를 마련하고 관원(官員)을 두어 아침저녁으로 왕래하기 위한 계책입니다. 겸병(兼倂)하여 하나로 합치는 것이 그들의 커다란 욕망이고 이미 정해진 계책이니, 3천 리 강토는 이제 그물 안으로 들어간 물고기 신세입니다. 아득히 먼 시골에서 올린 소장(疏章)과 각 나라의 담판이 어찌 저들의 머리카락 하나라도 흔들 수 있겠습니까. 진(晉)이 화하(華夏)의 맹주가 되었는데도 계씨(季氏)에게 뇌물을 받아 소공(昭公)이 돌아오지 못하고 건후(乾侯)에서 죽게 하였습니다.주 48) 이제 절역의 오랑캐 무리가 유독 왜노(倭虜)의 뇌물에 마음을 빼앗기지 않으리라는 것을 어찌 알겠습니까. 이미 그들의 뇌물에 마음을 빼앗겼다면 우리나라 백성과 선비들의 여론은 거리낄 것이 없을 것입니다. 이렇게든 저렇게든 뜻하지 않은 행운은 전혀 없습니다. 또 형께서 매번 크게 탄식하면서 "아무개, 아무개는 모두 나라를 위해서 죽었건만, 나만 죽지 않았으니 어찌하겠는가?"라고 한다고 들었습니다. 이것은 참으로 충의(忠義)로 인한 울분에 격앙되어 편안히 지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앞으로 죽을 수 있는 날은 반드시 적지 않을 것입니다. 어찌하여 꼭 그때 죽지 못한 것을 한으로 여기겠습니까. 예전에 선생을 모실 때 "문산(文山)과 첩산(疊山)주 49)은 어찌하여 나라가 망하고 도성이 점령되는 날에 죽지 않고 도리어 몇 년 뒤 자살하라는 명을 받고 부름을 받은 날에 죽었습니까?"하고 여쭈었습니다. 선생께서 "처의(處義)가 어떠한지를 볼 뿐이다. 어찌하여 꼭 죽음이 이르고 늦음을 따지겠느냐."라고 하였습니다. 형께서도 역시 일찍이 들었으리라고 생각됩니다. 곽면우(郭俛宇 곽종석(郭鍾錫))가, 군주가 치욕을 당하여 신하로서 죽음을 맞이하겠다는 의리를 자부하고 그날 대궐로 달려 나갔지만 끝내 낭패를 당하고 돌아와 매우 실망스러웠습니다. 이것은 오늘날 우리가 거울로 삼을 만한 하나의 사실이 아니겠습니까. 마음에는 확정한 계산이 없고 일에는 좋은 계책이 없으면서 우선 눈앞에 닥치는 일만 따르기에 힘을 쏟아 시선을 가리고자 한다면 이러한 지경에 이르지 않는 자가 거의 없을 것입니다. 의리(義理)는 반착(盤錯)주 50)의 상황에서 잘못되기 쉽고 지기(志氣)는 전패(顚沛)되는 곳에서 버티기 어렵습니다. 바라건대 노형(老兄)께서는 이른지 늦은지 따지지 말고 진퇴를 따지지 말며 오직 자신의 뜻을 잃지 않고 자신의 절조를 굽히지 않는 것을 궁극의 계책으로 삼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옛날에는 나라가 망했을 경우에 죽을 수 있는 의리가 한가지라서 신하는 사직이 망하는 날 죽었습니다. 지금은 나라가 망할 경우에 죽을 수 있는 의리가 두 가지라서 신하는 사직이 망했을 때 죽고 선비는 사람과 금수로 갈릴 때 죽습니다. 그러나 사직이 망했을 때는 간혹 죽지 않고도 여전히 절조를 온전히 하는 자가 있지만, 사람과 금수로 나뉠 때는 죽지 않고 사람이 될 수 있는 경우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사람과 금수의 구별은 사직의 멸망보다 중요하고, 도를 위해 죽는 의리는 사직을 위해 죽는 절의보다 중요합니다. 문을 잠그고 담 구멍을 막아놓은 채 나의 복식(服飾)을 입고 나의 두발(頭髮)을 보존하다가 치의(緇衣)를 입고 머리를 깎는 재앙주 51)이 아주 가까이 이른 뒤에 자신의 분수를 지키더라도 어찌 늦겠습니까. 제가 자처하는 생각은 이와 같습니다만, 득실이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이러한 변고와 험액(險阨)을 당하여 더불어 마음을 얘기하고 의리를 강구할 수 있는 사람으로 오직 노형(老兄)만 우러러볼 뿐입니다. 바라건대 자세히 일깨워주어 뜻이 맞는 사람과 함께 돌아가는 은혜를 아끼지 않으시기를 천 번 만 번 바랍니다. 면암(勉菴)은 근래 상황이 어떠합니까? 연재(淵齋)주 52)는 서울에 간 지 여러 달이 지났으니 또한 이미 돌아왔겠지요? 전우(田愚)도 지난번에 상소했다고 합니다. 전날 출가하지 않았던 여식(女息)은 이제 시집을 가서 다른 집안의 며느리가 됐는지 모르겠습니다. 가령 부모가 괴이한 증상, 급작스러운 질병이 생겼을 경우 발광(發狂)하면서 큰 소리로 부르짖건만, 자식이 된 자가 수수방관하다가 기식(氣息)이 끊어지고 나서야 비로소 질환을 물어서야 되겠습니까. 이것이 무슨 의리이겠습니까. 한탄스럽습니다. 노신암(盧愼庵)주 53)은 요사이 거조(擧措)가 어떠합니까? 근래에는 직지(直指)주 54)의 위엄은 산읍(散邑)의 임시 아전에게도 행할 수 없습니다. 이처럼 왕조의 위엄을 떨치지 못하고 있으니 과연 나라에 평온함이 찾아오게 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온 나라 안에 비분강개하여 신포서(申包胥)주 55) 처럼 더불어 큰일을 할 수 있는 자가 없지 않으리라고 생각되니 나라를 보존하게 되는 날이 반드시 오지 않으리라는 것을 어찌 알겠습니까. 실타래 같은 희망이 여기에 걸려 있습니다만, 또한 하늘의 뜻이 어떠한지 모르겠습니다.
주석 47)궐리(闕里)
노성(魯城)의 궐리사(闕里祠)를 가리킨다. 노성은 현재의 충청남도 노성면이다.
주석 48)진(晉)이……하였습니다
춘추 시대 노나라 계씨(季氏)가 전횡을 저지르자, 소공(昭公)이 토벌하였으나 이기지 못하고, 소공 25년에 망명하여 제(齊)나라로 갔다가 28년에 진(晉)나라로 가서 건후(乾侯)에 머물다가 32년에 그곳에서 죽었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소공(昭公) 25, 32년 조 참조.
주석 49)문산(文山)과 첩산(疊山)
송나라가 원나라에게 멸망당했을 때 절의를 지켜 원나라에 벼슬하지 않은 문천상(文天祥, 1236~1282)과 사방득(謝枋得, 1226~1289) 두 사람을 가리킨다. 문천상의 자는 송서(宋瑞)ㆍ이선(履善), 호는 문산이다. 이종(理宗)과 익왕(益王)을 섬겼고, 임안(臨安)이 함락된 뒤에도 송나라 단종(端宗)을 받들고 근왕군을 일으켜 원군(元軍)과 싸웠으며, 위왕(衛王) 때 조양(潮陽)에서 패전하여 원군의 포로가 되어 연경에 3년 동안 억류되었다. 원나라의 온갖 회유에도 굴하지 않고 〈정기가(正氣歌)〉를 지어 자신의 충절을 나타내고 죽었다. 《宋史 巻418 文天祥列傳》 사방득의 자는 군직(君直), 호는 첩산이다. 1256년에 문천상과 함께 진사에 급제하였다. 직언을 좋아하여 가사도(賈似道)에게 미움을 받아 쫓겨났다가 1267년에 사면되었다. 1275년에 신주(信州)를 맡았을 때, 원나라 군대가 침공하여 성이 함락을 당하자, 당석산(唐石山)에 은둔하여 제자를 가르치며 살았다. 송나라가 망한 뒤, 원나라 조정에서 누차 출사를 권했으나 굳게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원나라 지방관이 억지로 호송하여 북경에 억류해 두었으나, 굴복하지 않고 단식하다가 죽었다. 문집에 《첩산집》이 있다. 《宋史 卷425 謝枋得列傳》
주석 50)반착(盤錯)
'반근착절(盤根錯節)'의 준말로, 뿌리가 뒤엉키고 가지가 어지러이 교차된 것을 말하는데, 처리하기 어려운 일을 비유한다. 후한(後漢)의 우후(虞詡)가 "반근착절의 상황을 만나지 않는다면 칼이 예리한지 무딘지 분간할 수가 없으니, 지금이 바로 내가 공을 세울 때이다.【不遇盤根錯節, 無以別利器, 此乃吾立功之秋.】"라고 말한 고사에서 나왔다. 《後漢書 卷58 虞詡列傳》
주석 51)치의(緇衣)를……재앙
나라가 망해 치의를 입고 머리를 깎고 중이 되는 것을 말한다.
주석 52)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 1836~1905)의 호이다. 송병선은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화옥(華玉)으로 송시열(宋時烈)의 9세손이며, 큰아버지 송달수(宋達洙)에게 성리학과 예학을 수학하였다. 경연관(經筵官), 서연관(書筵官), 시강원 자의(侍講院諮議) 등에 차례로 선임되었으나 모두 거절하였다. 1905년 11월 일제가 무력으로 위협하여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하고 국권을 박탈하자, 12월 30일에 황제와 국민과 유생들에게 유서를 남겨놓고 자결하였다. 저서로는 《연재집》이 있다.
주석 53)노신암(盧愼庵)
신암(愼庵)은 노응규(盧應奎, 1851~1907)의 호이다. 노응규의 자는 성오(聖五), 본관은 광주(光州)이다. 지금의 경상남도 함양군 출신이다. 허전(許傳, 1797~1886)의 문인이고, 최익현(崔益鉉, 1833~1907) 등을 사사하였다. 1895년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明成皇后)가 시해되자, 의병을 일으켜 진주성을 장악하였으나, 일본군의 공격과 내부의 반란으로 성이 함락되자, 아버지와 형은 살해되고 가산이 몰수되는 비운을 겪었다. 1902년 한때 조정의 관직을 맡은 적이 있으나,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관직을 버리고 다시 의병 활동을 계속하다가 1907년 결국 체포되어 옥사하였다.
주석 54)직지(直指)
지방에 파견되는 어사를 말한다. 한 무제(漢武帝) 때에 처음으로 조정에서 각 지방의 정사를 전담할 관원을 두어 그를 직지사자(直指使者)라 칭했던 데서 온 말인데, 그에게 수의(繡衣)를 입혔던 데서 직지수의사자(直指繡衣使者)라고도 칭하였다.
주석 55)신포서(申包胥)
춘추 시대 초(楚)나라 대부이다. 오자서(伍子胥)가 오(吳)나라 군대를 이끌고 초나라를 공격했을 때, 신포서가 진(秦)나라 조정에 가서 7일 밤낮을 통곡하며 호소한 결과, 구원병을 얻어 국난을 타개한 고사가 있다. 《春秋左氏傳 定公4年》
與奇會一
臨歲回便。聞兄體薄有不安之節。未審開歲以來。趁復安常否。時憂世慮。何以慰遣。傾溯無任。義林曩行未就繼以歲後旬內。擬爲一造。以質多少積蘊矣。以身恙家憂。層疊不霽。亦未免見停。歎恨何爲。艾山去就。近或得聞。而闕里之會。果亦利就否耶 。聞兄將欲通喩列邑。令列邑限萬人爲聯疏之擧。其苦懇血心。令人感涕。然民無向上者久矣。人化爲狄者多矣。其能齊聲奮聚。有幾人乎。我國僻在海隅。非四方必爭之地。而必爭者。獨倭也。倭之垂涎於我。豈一朝一夕哉。近因我之衰弱。肆然闖入。號爲開化。三十餘年。計無不遂。志無不得。掃一國之兵。傾一國之財。逐淸軍於遼東。距俄人於旅順者。豈恤隣爲哉。特以絶吾援而奪吾地也。糜距萬之費。積數年之勞。穿山塡壑。置鐵路而設電繩者。亦豈通商爲哉。將以設版圖置官員。爲朝往夕來計也。兼倂合一。此其所大之欲。已定之計。而三千里疆域。今爲入綱之魚矣。窮鄕之疏章。各國之談判。何足以動彼之一髮哉。晉爲華夏之盟主。而受季氏之賂。使昭公不返。而卒於乾侯。今安知絶域介鱗之類。獨不醉於倭虜之賂乎。旣醉其賂。則我國之民論士論。亦無足憚矣。以此以彼。絶無萬一之幸。且聞兄每太息曰。某某人皆死於國。我獨不死。柰何柰何。此固忠憤所激。按往不得處也。然前頭可死之日。想必不少。何必以不死於曩時爲可恨也。昔侍先生問。文山疊山。何不死於國亡城敗之日。而乃死於數年後賜死被召之日耶。先生曰。惟視處義之如何。何必以死之早晏爲計耶。想兄亦曾聞之矣。郭俛宇以主辱臣死自許。而卽日赴闕。竟未免狼狽而歸。其爲失望大矣。此非今日吾輩之一副前鑑也耶。心無定算。事無良策。姑欲勉循目前。以塞視瞻。則其不至於此者。幾希矣。義理易失於盤錯之際。志氣難持於顚沛之地。願老兄不計早晩。不計進退。惟以不失吾意。不屈吾節。爲究竟之策。如何。古之亡國也。可死之義一。臣死於社稷之亡。今之亡國也。可死之義二。臣死於社稷之亡。士死於人獸之判。然社稷之亡也。則或有不死而猶全其節者。人獸之判也。則未有不死而可以爲人者。此人獸之判。重於社稷之亡。殉道之義。大於殉社之節也。杜門塞竇。衣吾服。存吾髮。以至緇削之災。切近床膚而後。爲之自靖。亦豈爲晩乎。此區區自處之意如此。未知得失何居耶。當此變險。可與話心可與講義者。惟老兄是仰。幸細細示及。不惜惠好之歸。千萬千萬。勉菴近狀何如。淵齋赴京有月。亦已回轅否。田愚向亦上疏云。未知前日未嫁之女。今爲已嫁之婦耶。如父母有怪證急疾。發狂號呼。而爲子者。袖手恬視。至於氣絶而後。乃問其疾耶。此何義理。可嘆可歎。盧愼庵近日擧措何如。近來直指之威。不能行於散邑之一權吏。王靈之不振如此。未知果能使魯有鳩乎。擧國之內。想不無忿憤。慷慨。可與有爲如申包胥者。則安知存楚之日。必無其時乎。一縷懸望。惟在於此。而亦未知天意之何如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