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5
  • 상량문(上樑文)
  • 밀양 박씨 영모재 상량문(密陽朴氏永慕齋上樑文)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5 / 상량문(上樑文)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15.0005.TXT.0001
밀양 박씨 영모재 상량문
먼 조상을 추모하여 그 생각 보존하니
이에 전대에 지었던 것 보겠네
뜻을 잘 계승하여 그 일 전술하니
이에 오늘의 긍당이 있게 되었네
이것이 자손이 우러러 사모하는 방법이요
생도들이 학업을 익힐 장소를 얻게 되었네
생각건대 밀양 박씨는 대대로 벼슬한 집안으로
능주 서쪽 토구의 고을을 지켰네
당부주 114) 같은 것은
의리를 보관한 것 길이 받들고
모 수 모 언덕에
선영의 나무 그늘 대대로 보호하네
한 구역 기둥과 글방은
실로 진군의 정자주 115)이고
백년의 구림은
이 어찌 계씨의 침문이겠는가
상로 내릴 때 처창한 생각주 116) 깃들이고
조석으로 바라보며 절하는 정성 펼치네
동상과 서실에서
친척의 정 즐거워 하고
봄가을 예서와 경서로
자제들의 학업 점검하네
이에 지은 지 오래되어서는
기울고 넘어지는 근심 없지 않네
담장은 다시 높아진 위태로움 보겠고
서까래는 너무 지나치게 꺾임이 있네
낙양의 정자주 117)
비록 족히 말할 것 없지만
안영의 실려주 118)
절로 전수받은 것이 있네
창업하고 보호하여
자손들로 하여금 이을 수 있게 하고
집을 지음에 법을 이루었으니
선조의 아름다움을 생각하네
여러 의론이 일제히 같아
공사를 바야흐로 일으키네
일은 크고 힘은 부족하니
옛날 그대로 따르려 하고
세월이 오래되어 건물이 썩으니
형세가 장차 다시 새롭게 하는데 이르네
이에 깎고 세워
계사주 119)와 당실의 위치 정하고
저기에 도끼질 하고 톱질하여
동량과 두공의 재목 실어오네
목수들은 능히 그 책임 다하고
마을 사람들은 즐거이 그 일에 달려가네
혼중주 120)의 익진주 121)
이괘(離卦)의 문명한 상서에 응하고
그림자 측량하니 갑경주 122)의 방향이라
사방의 풍기가 모이는 줄 알겠네
그런대로 합하고 아름다우니
위나라 형의 선거와 같고주 123)
높고 화려하니
장노의 미송을 생각하네주 124)
오직 명예를 길이 마칠 것을 헤아리니
장차 며칠 되지 않아 이루어지네
긴 들보를 들어 올림에
짧은 노래 짓네

어영차주 125) 들보 동쪽으로 던지니주 126)
문산의 맑은 기운 성대하네
강루주 127)가 지척이라 추로주 128)를 바라보니
성교가 넘쳐흘러 상서로운 기운 통하네

어영차 들보 남쪽으로 던지니
붓같이 높은 봉우리 삼태성처럼 나열하였네
만 리의 무민주 129) 가까이 바라보이니
밤마다 달빛은 가을 연못에 비치네

어영차 들보 서쪽으로 던지니
한 쌍의 벽학이 하늘에 들리도록 우네
누가 장차 철곽으로 오랑캐 방어하여
우리 의복을 오랑캐 복식으로 바뀌지 않게 할까

어영차 들보 북쪽으로 던지니
지석의 맑은 강 쉼 없이 흐르네
하늘 끝에서 북두성에 기대 서울 바라보니
바라건대 질병 없이 천수를 누리기를

어영차 들보 위쪽으로 던지니
위에는 덕산이 있어 첩첩의 산 열렸네
즐비하게 늘어선 네 척의 봉분에
천추토록 향기로운 제향 쇠하지 말라

어영차 들보 아래쪽으로 던지니
아래엔 후손들 결사를 많이 맺었네
구물의 청전주 130) 여기에서 볼 것이니
대대로 이어서 성대하게 유아한 이 많겠네

삼가 바라건대 상량한 뒤에는
천지는 고문의 운수 되돌리고
산천은 원기의 빼어남 내려주어
자식은 효도하고 신하는 충성하여
가문의 기업 영원히 전하고
집집마다 현송하여
대대로 사림의 법도 있게 하소서
주석 114)당부(堂斧)
분묘(墳墓)를 말한다. 《예기》 〈단궁(檀弓)〉에 자하(子夏)가 말하기를 "옛날에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내가 보건대, 봉분하는 것을 마치 마루처럼 쌓아 올린 것이 있고……도끼날처럼 위가 좁게 쌓아 올린 것도 있었으니, 나는 도끼처럼 하는 것을 따르겠다.' 하셨다.[昔者, 夫子言之曰:吾見封之若堂者矣,……見若斧者矣, 從若斧者焉.]"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주석 115)진군(甄君)의 정자
송(宋)나라 때 서주(徐州)의 부호였던 진씨(甄氏) 집안이 진군(甄君)의 대(代)에 이르러 빈한해졌다. 그래서 부모 형제가 죽어도 장례를 치르지 못하다가 마을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간신히 여러 영구(靈柩)를 함께 장사지내고 무덤 가에 조상을 추모한다는 뜻을 담은 사정(思亭)을 지었다. 이에 당시 문장가인 진사도(陳師道)가 그 내력과 조상을 사모해야 한다는 뜻을 가지고 〈사정기(思亭記)〉를 지었다. 《古文眞寶後集 卷10 思亭記》
주석 116)상로(霜露)……생각
《예기》 〈제의(祭義)〉에 "가을에 서리와 이슬이 내리면 군자가 이것을 밟고 반드시 서글퍼지는 마음이 있으니, 추워서 그러한 것이 아니다.[霜露旣降, 君子履之, 必有悽愴之心, 非其寒之謂也.]"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주석 117)낙양(洛陽)의 정자
《주자서절요》 권5 〈답진동보(答陳同甫)〉에 "거센 바람이 불어 정자가 넘어졌는데, 마치 하늘이 때맞추어 일으킨 것 같습니다. 저 낙양의 정자야 심히 부러워할 것이 무엇이겠습니까.[大風吹倒亭子, 却似天公會事發. 彼洛陽亭館, 又何足深羡也?]"라고 한 데서 인용한 말이다.
주석 118)안영(晏嬰)의 실려(室廬)
안영이 나무로 만든 한 칸의 방에 거처했다는 것을 말한다. 《춘추좌씨전》 양공(襄公) 17년에 "제(齊)나라 안환자(晏桓子)가 죽으니, 그의 아들 안영이 거친 상복을 입고 나무로 지은 한 칸의 방에서 거처하였다."라고 하였다.
주석 119)계사(階戺)
섬돌 양 옆에 비스듬히 놓인 돌인데 당전(堂前)의 의미로 쓰인다.
주석 120)혼중(昏中)
혼지중성(昏之中星)의 준말로, 28수(宿) 중 초저녁 하늘 중앙의 남방(南方)에 보이는 별을 말하는데, 이 별을 관찰하여 사시(四時)를 확정할 수 있다.
주석 121)익진(翼軫)
이십팔수 가운데 익수(翼宿)와 진수(軫宿)로, 남방의 별이다.
주석 122)갑경(甲庚)
길흉이라는 뜻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길하다는 의미이다. 《성호사설》 제1권 〈천지문(天地門)〉의 선후갑경(先後甲庚)에서 "갑의 앞과 경의 뒤는 길하고 경의 앞과 갑의 뒤는 나쁘다는 것이다. 이 갑과 경의 앞뒤라는 것은 음양학설상 삼합(三合)의 설과 일치된다."라고 하였다.
주석 123)그런대로……같고
공자가 위(衛)나라 공자(公子) 형(荊)을 평가하기를 "그는 집에 거처하기를 잘하였다. 처음 소유하게 되자, '그런대로 모여졌다.' 하였고, 조금 더 장만하게 되자, '그런대로 충분히 갖추었다.' 하였고, 부유하게 되자, '그런대로 충분히 아름답다.' 하였다.[善居室, 始有曰, 苟合矣; 少有曰, 苟完矣; 富有曰, 苟美矣.]"라고 한 데서 인용한 말이다. 《論語 子路》
주석 124)높고……생각하네
《예기》 〈단궁 하(檀弓下)〉에 "진(晉)나라 헌문자(憲文子)가 저택을 완성하자 대부들이 가서 축하하였는데, 이때 장로(張老)가 말하기를 '규모가 크고 화려하여 아름답도다.[美哉輪焉, 美哉奐焉!]' 하였다." 라고 하였는데, 정현(鄭玄)의 주(注)에 "윤(輪)은 높고 큼을 말한 것이고, 환(奐)은 많음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주석 125)어영차
원문의 '아랑위(兒郞偉)'는 '어영차'의 의성어로, 상량을 어영차 올린다는 뜻이다. 또는 젊은 사람을 뜻하는 아랑(兒郞)의 복수형으로, 상량문에서 도목수(都木手)가 장인(匠人)들을 부를 때 상투적으로 쓰는 표현이라는 설이 있다.
주석 126)
들보 동쪽으로 던지니:옛날에 집을 지을 때 길일을 택하여 상량식을 하는데, 이때 친지들이 떡이나 기타 잡물(雜物)을 싸 가지고 와서 축하하면서 이것을 장인(匠人)들에게 먹인다. 그러면 장인의 우두머리가 떡을 대들보의 상하 사방으로 던지면서 상량문을 읽고 축원을 한다. 《文體明辯附錄 卷13 上梁文》
주석 127)강루(降婁)
성차(星次)의 이름으로, 규성(奎星)과 누성(婁星) 두 별이 위치한 자리를 말한다. 춘분(春分) 무렵 초저녁에 나타난다.
주석 128)추로(鄒魯)
추(鄒)와 노(魯)는 모두 춘추 시대의 국명(國名)으로, 공자는 노나라에서 태어났고 맹자는 추나라에서 태어났다. 이 때문에 예교(禮敎)와 학문을 숭상하는 지방을 일컫게 되었다.
주석 129)무민(婺閩)
무원(婺源)과 민중(閩中)의 병칭으로, 무원은 주자의 선대 고향이고 민중은 주자의 출생지인데, 곧 주자를 가리킨다. 저본의 '嫠'는 '婺'의 오자로 보고 수정하였다.
주석 130)청전(靑氈)
푸른 모포라는 뜻으로, 선대로부터 전해진 귀한 유물이나 가문의 전통을 비유하는 말이다. 진(晉)나라 왕헌지(王獻之)가 누워 있는 방에 도둑이 들어와서 물건을 모조리 훔쳐 가려 할 적에, 그가 "도둑이여, 그 푸른 모포는 우리 집안의 유물이니, 그것만은 놓고 가는 것이 좋겠다.[偸兒, 靑氈, 我家舊物, 可特置之.]"라고 하자, 도둑이 질겁하고 도망쳤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晉書 王羲之列傳 王獻之》
密陽朴氏永慕齋上樑文
追遠而存其思。聿覩前世之創。善繼志而述其事。玆有今日之肯堂。是子孫瞻慕之方。得生徒肄業之所。惟密陽簪纓之族。守綾西菟裘之鄕。若堂若斧。永奉衣履之藏。某水某邱。世護松梓之蔭。一區阿塾。實是甄君之亭。百年邱林。此豈季氏之寢。寓霜露悽愴之思。伸朝夕瞻拜之誠。東廂西室。悅親戚之情。春禮秋書。課子弟之學。玆當經歷之久。不無傾圮之憂。垣墉見復上之隉。榱桷有大過之橈。洛陽亭館。雖不足言。晏嬰室廬。自有所受。創業垂護。使子孫可繼。作室底法。念先考攸休。僉議齊同。功役方作。事巨力綿。非不欲於因舊。歲久物敗。勢將至於改新。鑿斯築斯。定階所堂室之位。斧彼鋸彼。輸棟樑欂櫨之材。梓匠能勝其任。閭里樂赴其役。昏中軫翼。應三离文明之祥。景測甲庚。知四方風氣之聚。始有富有。同衛荊之善居。輪焉煥焉。念張老之美頌。惟永終是度。將不日而成。聊擧修樑。爲述短唱。兒郞偉抛樑東。文山淑氣鬱蔥蔥。降婁咫尺瞻鄒魯。聲敎洋洋瑞彩通。兒郞偉抛樑南。高峰如筆列台三。嫠閩萬里膽望近。夜夜月廻秋水潭。兒郞偉抛樑西。一雙碧鶴聞天啼。誰將鐵郭防洋竺。毋我衣裳易介蹄。兒郞偉抛樑北。砥石江淸流不息。倚斗望京天一方。庶無疾病壽千億。兒郞偉抱樑上。上有德山開疊嶂。累累成行四尺封。千秋不替苾芬餉。兒郞偉抛樑下。下有雲仍多結社。舊物靑氈監在玆。承承濟濟多儒雅。伏願上樑之後。天地回古文之運。山川降元氣之英。子孝臣忠。永傳門戶之基業。家絃戶誦。世有士林之典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