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8
  • 서(7)(書(7))
  • 황경함에게 답함(答黃景涵)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8 / 서(7)(書(7))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8.0001.TXT.0009
황경함에게 답함
앞의 설이 자못 상세하여 이로부터 거의 하나로 귀결될 희망이 있다고 스스로 여겼더니, 보내온 편지를 받아봄에 하나로 귀결되지 못했을 뿐 아니라 다시 가지에서 가지가 생겨나고 덩굴에서 덩굴이 생겨나 얽히고설킨 것이 또 심하였네. 모르겠으나 나의 설이 통하지 못한 점이 있는 것인가, 그대의 견해가 가려진 것이 있는 것인가? 반드시 여기에 하나는 있을 것이네. 지금 구절마다 답장을 하려고 하여도 잡다한 일로 여가가 없고, 비록 답장을 해도 또한 신뢰를 받을 리가 없으니, 어찌하고 어찌하겠는가? 우선 그 큰 요체 가운데 서로 합하지 않는 곳을 들어서 말하니, 여기에 합하면 합하지 않는 것이 없을 것이라, 또 어찌 번거롭게 말할 필요가 있겠는가? 무릇 허령(虛靈)과 신명(神明)은 절로 하나의 물이네. 령(靈)은 실로 이(理)의 령이고 신(神) 또한 기(氣)의 신이며, 신은 실로 이의 묘(妙)이고 령 또한 이의 묘이네. 이른바 묘용을 신으로 여긴 것은 그 뜻이 대개 신은 이의 묘용이라고 하는 것일 뿐이요, 곧장 신을 이로 여긴 것은 아니네. 그러므로 주자의 글에 신을 형이하(形而下)로 여긴 곳이 하나가 아니니, 예를 들면 후씨(侯氏)주 17)는 신명(神明)을 이(理)로 여기고 만정순(萬正淳)주 18)은 신명을 물(物)로 여겼는데, 주자는 만정순의 설을 따랐으니, 여기에서 볼 수 있네. 지금 그대는 신을 이로 여기고 명은 령으로 여기며, 령을 지반(地盤)으로 여기고 신을 주재(主宰)로 여기며, 령을 당체(當體)로 여기고 신을 본지(本旨)로 여기네. 또 말하기를 "깨닫는 것은 령이고 깨닫게 하는 것은 신(神)이다."라고 하고, 또 말하기를 "령은 기가 발한 것이고 신은 이의 작용이다."라고 하니, 이와 같은 류가 한둘이 아니라 매우 많네. 이와 같다면 령과 신은 머리를 나란히 하여 병립해서 각각 점거함이 있는 것인가? 아니면 돌고 돌아 나오는 것이 각각 시절이 있는 것인가? 기를 이로 인식하고 성을 작용으로 인식해서 명의와 위치가 어긋나지 않음이 없네. 신령하게 하는 것을 주재와 묘용으로 여기고 작용의 권한을 한결같이 령에 돌리면 반드시 석씨(釋氏)처럼 작용을 성으로 여긴 뒤에야 권한을 이에 돌린다고 하겠는가? 령의 전권을 신에 돌리는 것을 싫어하는 것은 당(唐)나라 덕종(德宗)이 숙장(宿將)이 병권을 담당하는 것을 싫어하여 병권을 총신(寵臣)에게 돌린 것과 같네. 고인이 임금에게 아랫사람에게 맡기는 도에 대해 말하기를 "오직 스스로 자신의 의견을 쓰지 않아야 비로소 사람을 쓸 수 있습니다."라고 하였으니,주 19) 이가 스스로 쓰지 않아도 주재가 되는 데 해롭지 않은 것은 그 상이 또한 이와 같네. 남당(南塘)이 이른바 "천리를 밝히는 주재의 오묘함은 그 말이 작용에 빠져들기 쉽다."라고 한 것주 20)은 애초에 까닭이 있어서 발한 것임을 비로소 알았네. 뒤에 그대 편지에서 인용한 한주(寒洲)의 "심이 성과 다른 것은 정을 겸하고 있기 때문이다."라는 말주 21)은 앞에서 이른바 "성과 정을 합하여야 심이라는 이름이 있다."라는 것과 "심은 성정의 총명(總名)이다."라고 한 것과 동일한 권투(圈套)이니, 그대가 명백하고 공평하다고 인정한 것은 당연한 일이네. 이미 이와 같이 인정해 놓고 또 의논할 것이 있다고 여기는 것은 어째서인가? 또 한주의 설에 대해 의논할 것이 있음을 아니, 자신의 설 또한 의논할 것이 없다는 것을 어찌 보장하겠는가? 지난날 송복재(宋復齋)주 22)의 문집을 교정할 때 문집 가운데 "정상(精爽)은 기의 령인데 심이 타고 있다."라고 한 것이 있었는데, 이 말은 또한 어떠한가? 나의 뜻에는 좋지 못한 것이 있는데 그대는 반드시 매우 좋다고 여길 것이네. 세상의 유자들은 대부분 태극(太極)은 기를 띠고 있고, 오성(五性)은 기를 인하는 것이고, 명덕(明德)은 형이하(形而下)라고 여기니, 이것은 실로 이를 해치는 심한 것이네. 간혹 그 폐단을 보고 돌이킬 수 있기를 생각하는 이가 있지만 또 교왕과직을 면치 못하여 작용이 성이라는 설을 하기에 이르니, 이와 같은데 어찌 그 일변(一邊)이 나에게 복종하기를 바랄 수 있겠는가?
주석 17)후씨(侯氏)
후중량(侯仲良)을 말한다. 자는 사성(師聖)ㆍ희성(希聖), 호는 형문(荊門)이다. 송나라 때 경학가로 정이(程頤), 주돈이(周敦頤), 호안국(胡安國)에게 배웠다. 저서로는 《논어설(論語說)》,《후자아언(侯子雅言)》등이 있다.
주석 18)만정순(萬正淳)
만인걸(萬人傑)을 말한다. 자는 정순·정순(正純), 호는 지재(止齋)이다. 송(宋)나라 흥국군(興國軍) 대야(大冶) 사람이다. 처음에 육구령(陸九齡)에게 배우다가 후에 육구연(陸九淵)의 제자가 되었고, 그 후에 남강(南康)에 가서 주희(朱熹)를 만난 뒤로 주희의 제자가 되었다. 《宋元學案 卷69》
주석 19)고인이……하였으니
육지(陸贄)가 당나라 덕종(德宗)에게 한 말인데, 《통감절요》권45〈당기(唐紀) 덕종황제 하(德宗皇帝下)〉에 나온다.
주석 20)남당(南塘)이……것
《남당집(南塘集)》권34〈한수재 권 선생 행장(寒水齋權先生行狀)〉에 나오는 말이다. 남당은 한원진(韓元震, 1682~1751)의 호이다. 자는 덕소(德昭),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호락논쟁(湖洛論爭)이 일어나자 인성과 물성이 같다는 낙론(洛論)에 맞서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주장하며 호론(湖論)을 이끌었다. 저서로는 《남당집》,《주자언론동이고(朱子言論同異攷)》,《역학답문(易學答問)》 등이 있다. 이조 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주석 21)한주(寒洲)의……말
《한주집(寒洲集)》권32〈심즉리설(心卽理說)〉에 나오는 말이다. 한주는 이진상(李震相, 1818~1886)의 호이다. 자는 여뢰(汝雷), 본관은 성주(星州)이다. 숙부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배웠다. 저서로는 《한주집》이 있다.
주석 22)송복재(宋復齋)
송진봉(宋鎭鳳, 1840~1898)을 말한다. 자는 치승(致承). 호는 사복재(思復齋), 본관은 여산(礪山)이다. 김평묵(金平默)의 문인이다. 저서로는 《사복재집》이 있다.
答黃景涵
前說頗詳。自謂自此而庶有歸一之望。得來書。不惟不一。而更於枝上生枝。蔓上生蔓。紕繆轇轕。抑又甚焉。未知鄙說有未暢歟。賢見有所蔽歟。必居一於斯矣。今欲逐節奉答。而冗撓未暇。雖奉答而亦恐無見信之理。柰何奈何。姑擧其大要之不相合處言之。於此合則無不合矣。又何必煩爲哉。夫虛靈也神明也。自是一物靈固理之靈。神亦氣之神。神固理之妙。靈亦理之妙。所謂以妙用爲神者。其意蓋曰神是理之妙用云爾。非直以神爲理也。故朱書以神爲形而下者。非一。如侯氏以神明爲理。萬正淳以神明爲物。朱子從正淳之說。此可見矣。今賢以神爲理。以明爲靈。以靈爲地盤。以神爲主宰。以靈爲當體。以神爲本旨。又曰覺者靈也。覺之者神也。又曰靈者氣之發。神者理之用。如此類。不一而足。如此則靈與神。是齊頭竝立。各有占據耶。抑旋旋出來。各有時節耶。認氣爲理。認性爲用。而名義位置。無不乖戾矣。以靈之爲主宰妙用。而作用之權一歸於靈。則必如釋氏之作用爲性然後。可謂權歸於理乎。惡靈之專權於神。猶唐德宗惡宿將典兵。而歸柄於寵臣也。古人語人君任下之道曰。惟不自用。乃能用人。理之不自用。而不害爲主宰者。其象亦猶是也。始知南塘所謂明天理主宰之妙。則其言易涉於作用者。未始非有爲而發也。後惠書所引。寒洲心之異於性。以其兼情故也之語。與前所謂合性與情。有心之名。及心者性情之總名。同一圈奪。賢以明白公平許之。固矣。旣許之如此。而又以爲有可議何耶。且知寒洲之有可議。而安知已說之亦無可議耶。曩日校澄宋復齋集。集中有曰精爽。氣之靈也而心乘焉。此語亦何如耶。於鄙意有不好。而賢必以爲大好矣。世之儒。多以太極爲帶氣。五性爲因氣。明德爲形而下。此固害理之甚者。間或有見其敝而思有以反之者。又不免矯枉過直。至爲作用是性之說。如此而安望其一邊之服於我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