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6
  • 서(5)(書(5))
  • 양 처중에게 답함(答梁處中)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6 / 서(5)(書(5))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6.0001.TXT.0010
양 처중에게 답함
지난번에 황생(黃生)과 함께 논변한 바가 있었는데, 끝내 설득하지 못하고 이야기가 지리멸렬하게 흐리기만 하여 그의 마음을 돌릴 힘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믿을 것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오직 그대【東溪】주 14)의 힘뿐이라 생각하였습니다. 그런데 보내온 편지를 받아보니 도리어 그대와 황생의 의견이 같았습니다. 이에 나의 비루한 견해가 과연 어긋나고 잘못되어 의견을 바꾸어 바로잡아야 할 사람은 다름 아닌 나란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대와 황생은 신(神)자를 이(理)라고 잘못 알고 있기 때문에 끝없는 갈등을 야기시키는 듯합니다. 이 마음이 이미 쏠리는 바람에 창졸지간에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나, 청컨대 주자(朱子)의 설로 질문을 하여도 괜찮겠습니까. 명덕(明德)장 주석에서 '허령(虛靈)'이라 하였고, 진심(盡心)장 주석에서는 '신명(神明)'이라 하였으며, 혹문(或問)에서 또한 '신명'이라 하고, 혹은 '허령'이라 말하고, 혹은 '신명'이라고 하였는데, 어째서입니까. 영(靈)은 기(氣)의 영묘함이요, 신(神)은 기(氣)의 신묘함이니, 영과 신은 서로 맞닿아 있고, 허와 명은 서로 응하기 때문에, 하나의 예로 말하여도 서로 차이가 있지 않게 됩니다. 그러나 만약 신명(神明)을 이(理)로 여긴다면, 이(理)로 이(理)를 갖추고 이(理)로 이(理)를 신묘하게 하는 것이니, 이것이 옳겠습니까. 이와 같다면, 공자(孔子)께서 마땅히 '도(道)로써 능히 도를 넓힐 수 있다'라고 하였지, '사람이 능히 도를 넓힐 수 있다'고 하지 않았을 것이며, 장자(張子)는 '성(性)으로 능히 성을 검속할 수 있다'라고 하였지, '심(心)으로 능히 성을 검속할 수 있다'라고 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허령(虛靈)과 신명(神明)은 본래 둘로 나뉜 것이 아니니, '구(具)․응(應)․묘(妙)․재(宰)'라고 한 것들이 모두 그 하는 바이니, 내가 이른바 "단지 이 영묘함뿐이니, 바로 이것으로 주재할 수 있다"라고 한 것입니다. 어찌 주자(朱子)의 설과 반대되는 바가 있을 수 있단 말입니까. 그대가 보기에 몹시 놀라서 좀 이상하게 여겨지는지요. 주자께서 말하길 "허령(虛靈) 두 글자는 명덕(明德)을 설명하기에 충분하다."주 15)라고 하였으니, 덕(德)은 심(心)에 비하여 더욱 정밀한데, 오히려 '이미 충분하다【已足】'고 하였습니다. 더구나 심(心)의 본지(本旨)가 어찌 이보다 부족함이 있어서 단지 사물 자체만을 말한 것이겠습니까. 무릇 영(靈)은 체(體)에 가깝고, 신(神)은 용(用)에 가까우며, 영은 비교적 실(實)에 해당하고, 신은 비교적 허(虛)에 해당하나, 그 형이하(形而下)가 됨은 하나입니다. 묘용(妙用)을 신(神)이라 여긴 것은, 아마도 신(神)이 바로 이(理)의 묘용임을 말한 것입니다. 다만 신(神)이 바로 이(理)라고 한 것은 아닙니다. 그렇지 않다면, 주자께서 어찌 "신령(神靈)은 성(性)이라고 말해서는 안 된다"라고 했겠으며, 또한 어찌 "신명(神明)은 물(物)이요, 이(理)가 아니다"라고 하였겠습니까. 그리고 신(神)은 천지(天地)의 묘용(妙用)이며 음양(陰陽)의 불측(不測)을 말한 것이니, 본래 무위지물(無爲之物)이 아닌 것입니다. 지금 무위(無爲)하면서 유위(有爲)의 주(主)가 된다고 하니, 어찌 무위함이 있으면서 신(神)이라 할 수 있겠습니까. 주자께서 말하길 "심(心)은 몸에서 주(主)가 되고, 성(性)은 심(心)의 이(理)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이것으로 말하면, 심(心)은 이기(理氣) 합일(合一)의 물(物)입니다. 그러므로 나는 "능히 주재하는 자【能主宰者】는 영(靈)이요, 주재하는 대상【所主宰底】은 이(理)이다"라고 말하였는데, 주체자【能者】가 대상자(所者)를 부리는 것이 되고, 장수가 되는 것이니, 이 어찌 소이(所以)의 위에 다시 소이(所以)를 두는 격이 아니겠습니까. 여기서 알 수 있듯이 이(理)가 주(主)가 되는 것에는 신(神)자를 끌어다가 이(理)로 만들 필요가 없으니, 그러한 연후에 이(理)가 비로소 주(主)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두 본령(本領)과 기(氣)를 이(理)로 착각하고 있다고 그대를 나무랐던 것은, 마땅히 남을 책망하는 것으로 나 스스로를 책망하는 격이 되었습니다. 모든 조항마다 모두 예를 들어서 열거하기 어려우나, 만약 '영(靈)이 기(氣)이고, 신(神)이 이(理)이며, 신(神)은 장수이고, 영(靈)은 병졸이며, 영(靈)은 신(神)이 아니면 영묘하지 못하고, 신(神)은 영(靈)이 아니면 신묘하지 못하다'라고 한다면, 이와 같은 말들은 병통이 아닐 수 없습니다. 어찌 신(神)과 영(靈)을 나누어서 이(理)와 기(氣)에 배속하고서 논리를 세우는 데 어긋나지 아니함이 있겠습니까. 그러나 이는 동계(東溪) 한 사람만의 견해가 아니니, 근래에 주리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혹 많이들 이와 같이 합니다. 이는 심(心)이 주재(主宰)가 된다는 말을 보고서 기(氣)가 주인의 자리를 빼앗을 것을 두려워한 나머지, 허령(虛靈)의 밖에 별도로 신(神)이라는 한 글자를 찾아서, 억지로 이름지어 이(理)라고 한 것입니다. 무릇 운용(運用)․작위(作爲)함은 모두 귀일되는 것이니, 만약 선유(先儒) 가운데 기질을 논하는 자가 온몸의 기질을 버리고서 희미하고 아득한 사이에서 별도로 심(心)의 기질을 찾는다면, 그 말류(末流)의 병폐됨이 어찌 주기론에만 그치겠습니까. 무릇 도리(道理)란 무형(無形)이라, 알기도 어렵고 표현하기도 어렵습니다. 더구나 견해가 아직 명확하지 못한데 억지로 판별해내려고만 한다면, 이는 바람을 붙잡거나 그림자를 묶어놓는 격이니, 죽을 때까지 세월을 보낸다 한들 어찌 학문의 완성을 이룰 수 있겠습니까. 이에 우리는 더욱 존양(存養)함에 몰두하고 정진하여서 갖가지 강학과 토론의 길을 열어야 할 것이니, 부디 늙은 나이【桑楡】주 16)라도 학문에 수확이 있기를 혹 희망해봅니다.
주석 14)동계(東溪)
조선 말기 유학자였던 양회락(梁會洛, 1862~1935)로, 자는 처중(處仲), 호는 동계(東溪)입니다. 천성이 총명하고 행동거지가 심중하였으며, 10세에 경전을 통달하였다. 정의림(鄭義林)과 정재규(鄭載圭)의 문하에서 수업하였으며, 기정진(奇正鎭)의 영향으로 주리론(主理論)을 주장하였다.
주석 15)허령(虛靈) …… 충분하다
주자(朱子)가 "허령불매 네 글자로【虛靈不昧四字】 명덕의 뜻을 이미 충분히 말하였다【說明德意已足】"고 하였다.
주석 16)상유(桑榆)
늙은 나이를 뜻하는 말이다. 원래는 서쪽의 해가 지는 곳으로 저녁을 가리키는데, 당초에는 일이 잘못되었으나 마침내 성공하였음의 비유로 쓰인다. 마원(馬援)이 "처음에는 비록 회계에서 날개를 드리웠지만 마침내 민지에서 날개를 떨칠 수 있었으니, 동우에서는 잃었지만 상유에서 거두었다 이를 만합니다.【始雖垂翅回谿, 終能奮翼黽池, 可謂失之東隅, 收之桑榆.】"라고 한 데서 유래하였다. 《後漢書 卷24 馬援列傳》
答梁處中
曩與黃生有所論辨。而終不回頭。顧惟滅裂。無力可回。所恃者。惟東溪之力可以助之。及讀來書。反與黃生之見同焉。可知愚陋之見。果是差謬而所當回頭者。未始非此漢也。然賢與黃生。錯認神字作理看了。是以生出無恨葛藤此意已熟。有非倉卒可解。請以朱子說質之可乎。明德註曰。虛靈云云。盡心註曰。神明云云。或問又曰。神明云云。或言虛靈。或言神明何耶。靈是氣之靈。神是氣之神。靈與神相貼。虛與明相應。故一例互言。而非有差殊也。如以神明爲理。則是以理具理。以理妙理可乎。如此則孔子當曰。道能弘道。不當曰人能弘道。張子當曰性能檢性。不當曰心能檢性也。虛靈神明。本非二物。而曰具曰應曰妙曰宰。皆其所爲則。愚所謂只此靈也。便能主宰云云。何嘗與朱子說。有所背馳。而賢者見之以爲大驚小怪耶。朱子云。虛靈二字。說明德意已足。德於心較精。而猶云已足。況心字本旨。有何不足於此。而只以當體爲言耶。夫靈近體。神近用。靈較實。神較虛。而其爲形而下者則一也。以妙用爲神者。蓋言神是理之妙用云爾。非直以神爲理也。不然朱子何以曰。神靈不可以言性。又何以曰。神明是物非理云耶。且神是天地妙用陰陽不測之謂。則本非無爲之物。今曰無爲而爲有爲之主。安有無爲而可以謂之神者耶。朱子曰心是主於身。而性是心之理也。以此言之。心是理氣合一之物也。愚故曰。能主宰者是靈。所主宰底是理。能者爲役所者爲帥。此安有所以之上復有所以之嫌耶。於此可見理之爲主。而不必引神字作理然後。理始爲主也。然則兩本領。及認氣爲理之譏。賢者恐當以責人者自責。庶乎可矣。諸條固難枚擧。而如云靈是氣。神是理。神爲帥。靈爲役靈非神不靈。神非靈不神。此等句語。無非病痛。安有分神靈屬理氣。而立論不差者乎。然此非東溪之獨見。近日主理之論。或多如此。蓋見心爲主宰之語。而恐氣之奪主也。遂於虛靈之外。別討一神字。强名之曰理。凡運用作爲。一切歸之。如先儒之論氣質者。舍周身氣質。而別求心之氣質於渺茫怳惚之間者也。其爲末流之獘。豈但主氣而已哉。夫道理無形。難知亦難言。況見之未明。而强辨不置。則如捕風繫影。卒歲窮年。寧有了期耶。此吾輩尤當汲汲存養沈索。以開種種講討之路。庶幾桑楡之收。或有望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