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9
  • 서(8)(書(8))
  • 고경부【익주】에게 답함(答高經夫【翊柱】)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9 / 서(8)(書(8))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9.0001.TXT.0049
고경부【익주】에게 답함
세상에 대처하는 글을 보니 뜻이 매우 좋고 문사도 또한 아름답네. 옛날 사람이 사립문주 123)에서 한가히 소요한 것은 이런 뜻 아님이 없네. 공자는 말하기를 "은거하면서 자신의 뜻을 구한다."주 124)라고 하였고, 맹자는 "곤궁하면 홀로 자신의 몸을 선(善)하게 한다."주 125)라고 하였는데, 만약 뜻을 구하거나 홀로 선하게 하는 실지가 없다면 그 은거함은 은거함이 아니며 그 곤궁함은 곤궁함이 아니니, 저 산과 들판의 어리석은 노인도 또한 은거하였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곤궁하다고 할 수 있는가. 요컨대 스스로 수신을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으니, 부지런히 노력해야 하네. 그 글을 처음에는 보내려고 하였는데, 우연히 찾아도 보이지 않으니 다음 인편을 기다려야 하겠네. '의관을 바르게 하고, 보는 것을 정중하게 하며, 용모를 움직이며, 생각을 안정시키며, 외면을 정제하고 엄숙하게 하며, 엄격한 위의와 매우 조심함'은 지경(持敬) 공부에 대하여 말한 것이네. '마땅히 그러해야 할 것과 그렇게 된 바를 궁구하고, 날마다 알지 못한 것을 알며 달마다 그 능한 것을 잊지 않는다.'는 것은 치지(致知)에 대하여 말한 것이네. '바라는 것이 있으면서 하는 것은 이(利)요, 바라는 것이 없으면서 하는 것은 의(義)이다. 은미한 생각부터 드러난 일에 이르기까지 몸으로 깨달아 성찰하여 어김이 없다.'고 한 것은 실천에 대하여 말한 것이네.
주석 123)사립문
형문(衡門)은 나무를 가로질러 만든 보잘것없는 문으로, 안분자족(安分自足)하는 은자(隱者)의 거처를 뜻한다. 《시경》 〈형문(衡門)〉에 "형문의 아래에서 한가히 지낼 만하다.〔衡門之下 可以棲遲〕"라는 내용이 보인다.
주석 124)은거하면서……구한다
《논어》 〈계씨(季氏)〉에 보이는 말이다.
주석 125)곤궁하면……한다
《맹자》〈진심 상(盡心上)〉에 보이는 말이다.
答高經夫【翊柱】
處世文。志尙甚好。文辭亦佳。古之考槃衡門。未必非此意也。孔子曰。隱居而求其志。孟子曰。窮則獨善其身。苟無充志獨善之實。則其隱非隱。其窮非窮。彼山翁野叟蠢蠢之人。亦可謂之隱。亦可謂之窮乎。要在自修之如何而已。千萬勉旃其文初欲付去。偶尋未見。容竢後便。正衣冠。尊瞻視。動容貌。整思處。整齊嚴肅。儼威嚴恪。此持敬之說。窮其所當然與其所以然。日知其所未知。月無忘其所能。此致知之說。有所爲而爲者利也。無所爲而爲者義也。自念慮之微至事爲之著。體認省察。無所違越。此踐履之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