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4
  • 서(3)(書(3))
  • 정화중에게 답함(答鄭華中)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4 / 서(3)(書(3))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4.0001.TXT.0023
정화중에게 답함
의림(義林)은 타고난 자품(資稟)이 지극히 어리석은 데다가 어물어물하는 것이 빌미가 되어 젊고 혈기가 왕성한 시절을 헛되이 흘려보냈습니다. 이윽고 만년에 이르러서는 온갖 풍파가 함께 일어나 죽어가는 목숨의 미약한 숨결을 견디지 못하고 기력을 잃은 채 후미지고 궁벽한 시골구석에 숨어 지내고 있습니다. 어찌 존경하는 집사(執事)께서 실정에 맞지 않는 말을 잘못 받아들이시고 현랑(賢郞)을 보내서 이렇게 배우기를 청하도록 하시리라고 생각하였겠습니까. 매우 감사한 일이지만 실제에 맞는 사람이 아니니 어찌하겠습니까. 삼가 보건대 현랑은 온화하고 찬찬하여 포용력이 크고 고상한 성품을 갖추었으니 집안에서 가르침이 훌륭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대로 나아간다면 덕문(德門)에서 큰 결실을 얻는 소식이 이 현랑에게 있지 않으리라는 것을 어찌 알겠습니까. 삼가 부러운 마음을 스스로 이기지 못하고 덕문에 축하 인사를 올립니다. 의림(義林)이 연간에 당한 일은 모두 지은 죄에 대한 재앙으로 불러들인 것들이니 비통하고 부끄러워 차라리 죽고 싶습니다. 우리 두 사람이 모두 만년(晩年)의 경계에 있건만, 이웃에 살면서 같은 시대를 살아온 정분을 과연 이 지면(紙面) 하나로 다 할 수 있겠습니까. 아니면 한바탕 시를 짓고 술을 마시며주 30) 곳간의 양곡을 모두 털어 내는주 31) 즐거움을 앞으로 펼치게 될까요. 남쪽으로 천관산(天冠山)을 바라보자니 아득한 마음만 절실합니다.
주석 30)한바탕……마시며
《양서(梁書)》 〈강혁전(江革傳)〉에 "여유롭게 노닐고 한가롭게 지내면서 시 짓고 술 마시는 것으로 스스로 즐거워하였다.【優遊閑放, 以文酒自娛.】"라는 구절이 보인다.
주석 31)곳간의……내는
원문의 '경균도름(傾囷倒廩)'은 자신의 생각과 식견을 남김없이 드러내어 말해 준다는 뜻이다. 한유(韓愈)의 〈답두수재서(答竇秀才書)〉에 "비록 도를 쌓고 덕을 지니고 있으면서 자신의 재능을 감추어 드러내지 않고 자기 입을 막아 도를 전하지 않는 옛날의 군자라 하더라도 이처럼 간절하게 청하는 족하 같은 사람을 만난다면 자신의 창고에 있는 재화를 다 기울여서 나열하여 바칠 것입니다.【雖使古之君子, 積道藏德, 遁其光而不曜, 膠其口而不傳者, 遇足下之請懇懇, 猶將倒廩傾囷, 羅列而進也.】"라는 구절에서 온 말이다. 《韓昌黎文集 卷15 答竇秀才書》
答鄭華中
義林素稟至愚。加以因循爲崇。小少强壯。徒爾蹉過。旣而濛汜催景。百劫幷作。㱡㱡餘喘。耐住不得。而頹然蟄藏於僻隅窮蔀之中。豈意尊執事。曲聽過情之言。而命送賢郞。爲此請敎之擧哉。爲感則厚。而其於實非其人何。竊覸賢郞慈祥謹察。所就溫籍。其庭誨之美。可以領略。率是以往。安知德門碩果消息。不在於此耶。竊不自勝其愛艶之私。而奉爲德門賀也。義林年間所遭。莫非罪殃致然。悲霣慙作。寧欲溘然。吾兩人俱在葉楡境中。隣壤竝世之分。果以此一紙面而塞責耶。抑一場文酒。傾困倒廩之樂。行在來頭耶。南望天冠。只切悠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