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4
  • 기(記)
  • 낙청헌기(樂淸軒記)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4 / 기(記)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14.0001.TXT.0011
낙청헌기
낙청헌(樂淸軒) 위공(魏公)은 천관산(天冠山)주 22) 산중에 은거하며 덕업을 닦고 의리를 행한 세월이 앞뒤로 57년이 되기에 호남의 선비들이 일제히 흠모하여 선배와 큰 덕망을 지닌 분으로 칭송하였다. 나는 어린 시절부터 진실로 이미 어르신의 명성을 익히 들어왔지만, 단지 고루하게 집에만 있었기에 공의 헌(軒)에 올라 '낙청(樂淸)'이라 하게 된 뜻을 묻지 못했다.
삼가 생각건대, 시세(時勢)는 쇠퇴함과 융성함이 있기에 풍속이 모두 순박할 수 없고, 기질은 아름다움과 악함이 있기에 사람들이 모두 선할 수 없으니, 비록 맑음을 즐긴다고 하더라도 장차 어느 곳에서 즐길 수 있겠는가. 아니면 그 즐기는 바가 풍기(風氣)와 형체 밖에 있어서 평범한 사람이 생각할 수 있는 바가 아닌 것인가?
정해년(1887) 겨울에 내가 선롱(先壠)의 일로 금릉(金陵)주 23)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단촌리(丹村里)에서 공을 뵈었는데, 그 집안을 살펴보니, 산림과 수석(水石), 정원의 돌과 궤석(几席)이 거울처럼 열려 있고 옥처럼 배열되어 한 점 티끌도 없이 깨끗하였다. 또한 백발에 화사한 얼굴로 높이 관을 쓰고 느슨한 띠를 두른 채 그 사이에서 사쁜사쁜 가볍게 거니는 모습이 표연(飄然)하여 마치 하늘의 신선이 내려와 앉아 있는 것 같았다. 내가 밤새도록 곁에서 모셨는데, 경계하고 깨우쳐주는 사이에서 나온 말씀들이 모두 지극하고 긴요한 것들이었고, 끊임없는 천기(天氣) 중에서 흘러나왔기에 더욱 나도 모르게 송연(悚然)히 옷깃을 여미었다.
아, 풍속이 경박하여 온 세상에 탁류가 넘쳐나는데, 어느 누가 천관산 아래에 이처럼 깨끗한 한 곳이 있을 줄 알겠는가. 영원히 세속을 떠나 스스로를 깨끗하게 하는 것은 비록 그 본심이 아닐지라도 한 조각 아교(阿膠)주 24)가 진흙 물결이 일렁이는 사이에서 쓸모가 없다면 나의 우물을 지키며 홀로 그 맑음을 즐긴다 한들 어느 누가 불가하다고 말하겠는가. 그러나 가슴에 쌓은 경륜을 드러내지 않고, 담박하면서도 간명한 도를 스스로 감춘 것이 세상의 혼탁한 사람과 같지 않아 매우 구별되었는데, 공이 어찌 일찍이 그 맑음을 스스로 말한 적이 있었겠는가. 공이 오히려 감히 스스로 말하지 않았으니, 하물며 공의 맑음을 아는 자가 몇 사람이나 되었겠는가. 오직 남쪽 고을로 부임해 온 송석(松石) 송공(宋公)만이 한번 보고 알아서 그 헌에 '낙청'이라 썼으니, 낙청의 뜻을 송공이 아니면 누가 알 수 있었겠는가. 이것이 지사(志士)가 서로 만나 어울리는 한 부분이다.
나의 어리석음으로도 감히 그 사이를 엿보아 헤아리지 못하지만, 눈과 귀로 보고 들은 것만으로도 사사로이 염모하고 흠앙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이와 같이 그 대략을 기술한다.
주석 22)천관산(天冠山)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과 대덕읍 경계에 있는 산이다.
주석 23)금릉(金陵)
조선시대 김산군(金山郡)의 별호(別號)로 지금은 김천시에 속해 있다.
주석 24)아교(阿膠)
혼탁한 물을 맑게 하는 약물이라고 한다. 《포박자(抱朴子)》 외편(外篇) 〈가둔(嘉遯)〉에 "얼마 안 되는 아교(阿膠)로는 황하의 흐린 물을 맑게 만들 수가 없다.[寸膠不能治黃河之濁]"라는 내용이 보이고, 주희가 친구 남헌(南軒) 장식(張栻)에게 준 〈수남헌(酬南軒)〉에서 "어찌 한 치의 아교로 천 길의 혼탁함을 구하겠는가.[豈知一寸膠, 救此千丈渾.]"라고 하였다.
樂淸軒記
樂淸軒魏公。隱居天冠山中。修德行義。前後五七十年。湖之士。翕然向之。稱先輩長德。余自童丱。固已艶聞。而但固陋屛居。未獲登公之軒。問所以樂淸之意。切念時有汚隆。俗不能皆淳。氣有美惡。人不能皆善。雖樂淸。其將何所可樂乎。抑其所樂。有在於風氣形殼之外。而匪夷所思者耶。歲丁亥冬。予以先壠事。往金陵。其歸謁公於丹村里。見其邱林水石。庭石几席。鑑開玉排。瑩然無一點塵累。而華顔白髮。峨冠博帶。婆娑其間。飄然若天仙降坐。予終宵侍側。而發於警咳提喩之間者。皆至言要語。自滚滚天機中流出。尤不覺悚然斂衽也。嗚乎。風澆俗漓。擧世淊淊。而誰知天冠山下有此一區乾淨哉。長往自潔。雖非其心。而一片阿膠。無所用於淈泥揚波之間。則守我井渫。獨樂其淸。孰謂不可哉。然含蘊不露。淡簡自晦。與世之汶汶者不似。大故逈別。則公何嘗自道其淸也。公猶不敢自道。況知公之淸者。幾人哉。惟松石宋公來莅南州。一見知之。題其軒曰樂淸。樂淸之意。非宋公孰能知之。此是志士相遇一副節拍處也。以余之愚。亦不敢窺涯其間。而但以耳目之睹記。不勝艶欽之私。謹述其梗槩如是云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