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7
  • 서(6)(書(6))
  • 조중직【필승】에게 답함(答曺仲直【弼承】)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7 / 서(6)(書(6))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07.0001.TXT.0006
조중직【필승】에게 답함
오랫동안 소식이 끊겨 답답하였는데, 지금 편지 한 통을 받으니 어찌 다만 많은 재물과 같을 뿐이겠습니까? 삼가 집안 어른께서 강녕하시고, 곁에서 모시는 상황이 위중(衛重)함을 알게 되었으니, 얼마나 듣고 싶었는지 모릅니다. 다만 소공(小功)주 7)의 참담함은 당내(堂內)입니까? 당외(堂外)입니까? 깊은 사랑을 받았던 처지에 비통한 심정을 어찌 감당하겠습니까. 선조고(先祖考)의 난례(灤禮)는 과연 능히 길일을 택해 안장(安葬)하여 효성스러운 마음에 흡족하신지요? 조상을 추모하는 마음이 더욱 새로워지는 듯합니다. 이러한 일을 겪으셨지만 직접 가서 살피지 못하였으니, 부끄럽고 슬픔을 어찌 말하겠습니까. 보내주신 편지에서, "홀로 공부하는 것은 담벼락을 마주한 듯 합니다.……"라고 하였는데, 스스로 살피는 치밀함과 스스로 꾸짖는 절실함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어찌 능히 이것을 말할 수 있겠습니까? 정자(程子)가 말하기를, "학문은 생각함에 근원한다."라고 하였으니, 총명(聰明)함을 개발하고 뜻을 넓게 하여 나아가는 것은 모두 생각함에 달려 있는 것입니다. 진실로 여기에서 힘을 얻을 수 있어야 하니, 어찌 홀로 공부하는 탄식과 담벼락을 마주한 듯한 근심이 있단 말입니까? 일찍이 여씨(呂氏)의 《동몽훈(童蒙訓)》에서, "오늘 한 이치를 깨닫고, 내일 한 이치를 깨닫는다."라는 말을 좋아하였는데, 초학자에게 가장 절실할 것입니다. 보여주신 한자(韓子)의 설 또한 어찌 깊이 본받을 만한 것이 아니겠습니까? 문목(問目)은 제 모자란 견해로 대략 답변을 드렸으나, 결론을 내리지 마시고 거듭 여러차례 생각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맹자》 「평륙장(平陸章)」에서, "왕을 알현하는 것"주 8)의 '현(見)'자와 다른 장에서, "왕을 알현한다."는 '현(見)'은 모두 음을 '현(現)'으로 읽는데, 어찌하여 같지 않다고 하는 것입니까? '선비가 제후에게 의탁하지 않는다'는 장주 9)과 '옛날의 군자들은 어떤 경우에 벼슬했습니까' 장주 10)의 두 장 모두 '주(周)'자는 궁핍한 사람을 두루 구제한다는 뜻입니다. 다만, 전자에서는 범범하게 백성을 두루 구제한다는 뜻을 말하였고, 후자에서는 다만 여러 현인의 뜻으로 말한 것입니다. "대인으로서 자취 없는 화의 경지에 들면 성인이라고 하고, 성인으로서 헤아려 알 수 없는 경지에 이르면 신인이라고 한다."는 문장에서, 이 '성(聖)'과 '신(神)'자는 성인이 나아간 지위로써 말한 것입니다. "성인이 지나가고 머무는 곳마다 신령스럽게 된다."주 11)는 것은 다만 공용(功用)이 밖으로 드러난 것을 말한 것이니, 이는 조금 다를 뿐입니다. "요 임금과 순 임금은 본래의 성품 그대로 행하신 분들이다.……"주 12)라고 한 것은 평소 인품에 이러한 세 가지가 있음을 말한 것이니, 오로지 말구(末句)에서 이야기를 시작한 것을 보지 못한 것입니다. '신지(身之)'는 '자신의 몸을 돌이킨다'라는 뜻이니, '신(身)'자를 말한 것은 '반(反)'자의 뜻이 그 가운데 있고, '반'자를 말한 것은 '신'자의 뜻이 그 가운데 있으니, 반드시 구구하게 그 같고 다름을 분석할 필요가 없습니다. '지(之)'와 '자(者)' 또한 크게 다름이 없을 따름입니다.
주석 7)소공(小功)
5개월 동안 입는 상복. 증조부모, 백숙조부모, 종백숙조부모, 형제의 아내, 외조부모, 외숙 등의 상이 이에 해당한다.
주석 8)왕을 알현하는 것
평륙장(平陸章)은, 《맹자》 「공손추 하」에, '맹자께서 평륙으로 가시어【孟子之平陸】'로 시작하는 장을 말한다. 이 장의 끝에, '맹자께서 얼마 후에 왕을 뵈었다.【他日見於王】'라는 구절이 나온다.
주석 9)선비가 제후에게 의탁하지 않는다는 장
해당 구절은 《맹자》 「만장 하(萬章 下)」에 실려 있다.
주석 10)옛날의 군자들은 어떤 경우에 벼슬했습니까
해당 구절은 《맹자》 「고자 하(告子 下)」에 실려 있다.
주석 11)성인이 지나가고 …… 신령스럽게 된다
《맹자》 「진심 상」에서, "성인이 지나가는 곳마다 감화를 받고, 머무는 곳마다 백성들이 신령스럽게 된다.【所過者化, 所存者神】"라고 하였다.
주석 12)요 임금과 순 임금은 …… 행하신 분들이다
《맹자》 「진심 상」에 나온다.
答曺仲直【弼承】
久阻悵鬱。此時一書。奚啻百朋。謹審堂候康寧。侍旁衛重。何等願聞。但小功之慘。堂內耶堂外耶。親愛隆深。悲痛何堪。先祖考灤禮。果能卜吉安兆。愜於孝思耶。追遠之感。想益如新矣。所故如是。而未能躬造相省。愧悵何道示喩獨學墻面云云。可見自省之密。自責之切。不然。安能說到此耶。程子曰。學原於思。夫開發聰明。展拓步趨。皆在於思。苟能於此得力。有何獨學之歎。墻面之憂哉。嘗愛呂氏童蒙訓。今日格一理。明日格一理之說。最切於初學也。所示韓子說。亦豈不深可法耶。問目。自以鄙見。略略奉復。勿爲歸宿。更加三思如何。平陸章見王之見。與他章見王之見。音皆作現。何謂不同耶。士之不託諸侯章。及古之君子何如則仕章。兩處周字。皆是周恤窮乏之義。但上段泛言周民之義。下文特言周賢之義。大而化之之聖。聖而不可知之神。此聖神字。以聖人所造之位而言所過所存之神特以功用之著於外者而言。此其微別耳。堯舜性之云云。此是平說人品有此三者。未見其專爲末句說起也。身之。此是反身之義。說身字。包反字義在其中。說反字。包身字義在其中。不必區區辨析其同異也。之字者字。亦且無甚同異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