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콘텐츠
  • 특화콘텐츠
  • 호남근현대문집
  •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6
  • 제문(祭文)
  • 대곡 김경범에 대한 제문(祭大谷金景範文)

일신재집(日新齋集) / 권16 / 제문(祭文)

자료ID HIKS_OB_F9001-01-202101.0016.0001.TXT.0009
대곡 김경범주 56)에 대한 제문
오호라! 우리 노사 선생(蘆沙先生)께서 늦게 동방에 태어나 이미 끊어진 학문을 잇고 이미 어두워진 의리를 밝혀 사설을 물리쳐 선비들의 추향을 바르게 하고 이단의 무리를 물리쳐 세도를 밝히니, 사람들은 군신부자의 인륜이 있는 줄 알고 선비들은 격물치지 성의정심의 학문이 있는 줄 알게 되었습니다. 가까이로는 영남과 호남으로부터 멀리로는 관서와 해서에 이르기까지 문하에 찾아와 학업을 청한 사람이 무려 수천 명이었습니다.
공은 묘년(妙年)의 나이에 뜻을 세워 가족을 데리고 선생을 따라 배웠는데, 독실하고 총명한 자질로 훈도하고 배양하는 가르침을 받은 것이 처음부터 끝까지 30년이었습니다. 긍지(矜持)하던 것은 순수하고 견고해지고, 사색(思索)하던 것은 기쁘고 순해지고, 간단(間斷)하던 것은 접속되어 순수하게 사문의 성덕(成德)이 되고 성대하게 한 시대의 유종(宗儒)이 되었는데, 오늘에 이르러 갑자기 한 번의 병으로 마침내 천고의 사람이 될 줄 누가 알았겠습니까.
자연(子淵)주 57)이 죽고 백풍(伯豊)주 58)이 가버렸으니, 사문(師門)의 남은 실마리를 누가 수습할 것이며, 사문의 은미하고 깊은 뜻을 누가 발휘할 것입니까? 큰 의리가 밝아졌다가 다시 어두워지고 은미한 말이 분석되다가 다시 혼잡하게 되었으니, 이것은 사문(斯文)의 불행입니다. 세도가 분열되고 이단의 무리가 점점 불어나 백성들이 도탄에 빠진 것이 이 때와 같은 때가 언제 있었습니까? 사특함을 배척하고 정도를 호위하는 것은 세상에 그러한 사람 보기 어려우니, 이것은 이 세상의 불행입니다. 노사 선생께서 돌아가심으로부터 원근의 학자들이 의심스러운 것을 질정하고 덕을 고찰함에 오직 공에게 의지하여, 공경하여 감히 거만하지 못하고 두려워하여 감히 방자하지 못하였는데, 지금은 끝나버려 형세가 장차 흐트러지게 되었으니, 이것은 사문(斯文)의 불행입니다. 궁벽한 시골의 한 선비에게 시운(時運)의 비태(否泰)가 매이고 풍화(風化)의 오륭(汚隆)이 관계됨이 이와 같음이 있을 줄 누가 알았겠습니까.
의림(義林)은 몇 년 전부터 안으로는 부모님을 여의고 밖으로는 의귀할 분을 잃었고, 게다가 세상 변고는 점점 심해지고 학문은 날로 엉성해졌습니다. 오직 공이 바라보이는 가까운 곳에 있어 우러르기를 태산북두 같이 하고 공경하기를 시귀(蓍龜) 같이 하여 만년에 서로 의지할 계획으로 삼았는데, 어찌 나를 버림이 이같이 급작스럽게 하였습니까? 외롭고 쓸쓸하게 더듬거리며 길을 찾음에 내 장차 누구를 의지하겠습니까? 소리 놓아 길게 불러봄에 눈물이 저승에 떨어집니다. 오호라! 말은 끝이 있지만 뜻은 무궁하니, 영령이여 지각이 있다면 이 제수 흠향하소서.
주석 56)대곡(大谷) 김경범(金景範)
김석귀(金錫龜, 1835∼1885)를 말한다. 자는 경범, 호는 대곡,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정재규(鄭載圭), 정의림(鄭義林)과 함께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노사학파의 3대 제자로 불렸다. 저서로는 《대곡집》이 있다.
주석 57)자연(子淵)
공자의 수제자 안회(顔回)의 자이다. 서른두 살의 젊은 나이로 요절하였다.
주석 58)백풍(伯豊)
주자의 고제(高弟) 오필대(吳必大)의 자이다. 일찍 죽었으며 저서로 《사해집(師海集)》이 있다.
祭大谷金景範文
嗚呼。惟我蘆沙先生。晩出東方。繼已絕之學。明已晦之義。闢邪說而正士趍。攘異類而明世道。人知有君臣父子之倫。士加有格致誠正之學。近自嶺湖。遠至關海。及門請業。無慮數千人。公妙年立志。絜家從學。以篤實頴悟之資。受薰陶培養之教。首尾三十年。矜持者純固。思索者怡順。間斷者接續。粹然爲斯門之成德。蔚然爲一世之宗儒。誰知至於今日。而遽以一疾。竟作千古耶。子淵死矣。伯豊逝矣。師門緖餘。誰其收拾。師門微奧。誰其發揮。大義明而復晦。微言析而復混。此則斯文之不幸也。世道分裂。異類浸淫。生民塗炭。孰若此時。斥邪衛正。世難其人。此則斯世之不幸也。自先生沒後。遠近學者。質疑考德。惟公是倚。敬之而不敢慢。畏之而不敢肆。合焉已矣。勢將渙散。此則斯文之不幸也。誰知窮巷一布衣。繫時運之否泰。關風化之汚隆。有如是哉。義林年歲以來。內失怙恃。外失依歸。加以世故轉深。學問曰疎。惟公相望在邇。仰之如山斗。敬之如蓍龜。以爲晚暮相依之計。何其棄我。若是忽劇。踽踽擿埴。余將疇依。放聲長呼。淚落懸泉。嗚呼。言有盡而意無窮。靈其有知。歆此奠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