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표점
  • 국역/표점
  • 표점
  • 겸산유고(謙山遺稿)

겸산유고(謙山遺稿)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서-집부-별집류
· 내용분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작성주체 편저자 : 이병수(李炳壽)
· 간사년
· 간사지
· 형태사항 크기 : 28.7 X 19.6 / 石版本 / 책수 : 10 / 반곽 : 16.7 X 22.2 / 有界 / 12行25字 / 한자 / 內向二葉花紋魚尾
· 소장처 현소장처 : (재)한국학호남진흥원 / 원소장처 : 미상
정의

이병수(李炳壽, 1855~1941)의 시문집.

해제
■ 형태서지

권수제
謙山遺稿
판심제
謙山遺稿
간종
석판본(石版本)
간행년
1946年刊
권책
20권 10책
행자
12행 25자
어미
內向二葉花紋魚尾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전북대학교 도서관, 전남대학교 도서관 등
선간집수
한국근대문집선간 3


■ 저자

성명
이병수(李炳壽)
생년
1855년(철종 6)
몰년
1941년
복일(福一)
석전(石田)·겸산(謙山)
본관
양성(陽城)
특기사항
동학농민운동과 을미의병에 대해 기록한 「금성정의록(錦城正義錄)」을 남김.


■ 가계도

李潝(증조부)



李愚三(조부)



李洪九(양부)
李興九(친부)
洪州 宋氏(양모)
長澤 高氏(친모)



李炳壽(본인)
光山 金氏 容晛의 女(부인)



李承奎(아들)
姜天秀의 妻(딸)


■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철종
6
1855
을묘
咸豊
5
1
1월 7일, 나주 여황면 죽산리에서 태어나다.
철종
11
1860
경신
咸豊
10
6
족숙(族叔) 용석(龍石) 이준구(李浚九) 문하에 나가 수학하다.
고종
11
1874
갑술
同治
13
20
도백일장에서 「석전음(石田吟)」으로 장원을 하다.
고종
30
1893
계사
光緖
19
39
도약소(都約所)의 직월(直月) 직책을 맡다.
고종
31
1894
갑오
光緖
20
40
나주목사 민종렬(閔種烈)의 곁에서 동학군에 맞서 나주를 수성하다.
고종
32
1895
을미
光緖
21
41
기우만(奇宇萬)의 의병에 참여하다.


1917
정사


63
경상도 지역을 다녀오면서 면우(勉宇) 곽종석(郭鍾錫)을 만나다.


1918
무오


64
함평군 나산면 송암리로 이거하다.


1931
신미


77
고향인 나주로 돌아와 금성산 아래 금곡리에 정착하다.


1936
병자


82
월송마을에 송산정사(松山精舍)를 짓다.


1941
신사


87
7월 7일, 졸하다.


1946
병술


-
문집이 간행되다.


■ 생애
『겸산유고(謙山遺稿)』는 이병수(李炳壽; 1855~1941)의 시문집이다. 20권 10책 석판본으로 간행되었다. 이병수의 자는 복일(福一), 호는 석전(石田)·겸산(謙山)이며, 본관은 양성(陽城)이다. 조선 선조(宣祖) 대에 휘 광익(光翼)나주에 정착한 이래 수 세기 동안 나주에 세거하였다. 증조부의 휘는 흡(潝), 조부의 휘는 우삼(愚三)이다.
아버지의 휘는 홍구(洪九), 어머니는 홍주 송씨(洪州 宋氏)이다. 낳아주신 아버지의 휘는 흥구(興九), 낳아주신 어머니는 장택 고씨(長澤 高氏)이다. 이병수1855년 1월 7일 나주 여황면 죽산리(竹山里, 현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동)에서 태어났으며, 이홍구의 계자(系子)로 입적되었다.
6세 때인 1860년에 족숙(族叔) 용석(龍石) 이준구(李浚九) 문하에 나가 수학하였다. 20세 때인 1874년 도백일장에서 「석전음(石田吟)」으로 장원을 하였다. 젊을 때에 과거 시험을 위한 공부를 하였으나 혼란했던 시대 속에서 세상에 대한 뜻을 버렸다. 이후 『심경(心經)』, 『근사록(近思錄)』 등을 읽으며, 위기지학(爲己之學)에 매진하였다. 족숙인 이준구 외의 사승관계는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문인 등과 교유하지만 특별한 스승 없이 독립적으로 학문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39세 때인 1893년 민종렬(閔種烈)나주목사로 부임하여 나주 향약을 조직하고 도약소(都約所)를 설치하였다. 그러면서 이병수에게 도약소의 직월(直月) 직책을 맡게 하였다. 그리하여 처음으로 공적 임무를 수행하면서, 상벌의 규정을 시행하는 일을 하였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민종렬초토사(招討使)의 임무를 맡아 토평(討平)하게 되었으며, 이병수민종렬의 곁에서 동학군에 맞서 나주를 수성(守城)하는 데에 참여하였다. 1895년에 단발령이 공포되자 이듬해 기우만(奇宇萬)이 의병을 일으켰는데, 이때 이병수도 참여하였다. 1894년의 동학농민운동부터 1896년호남 의병활동에 이르기까지 역사적 현장 속에 있었던 이병수는 당시의 일을 「금성정의록(錦城正義錄)」에 자세히 기록하였다. 1896년에는 나주향교 부교(副校)로 있으면서, 의병 봉기의 목적, 개화에 대한 반대, 참서관 안종수(安宗洙)의 잘못 성토 등을 담은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56세 때인 1910년 국권을 잃게 되자, 식음을 전폐하고 비통해 하였으며, "눈 들어 둘러보니 산하(山河)가 괴이하고, 인사와 사물은 그릇되어 가슴 아프네. 원컨대 고죽자(孤竹子)를 따라, 수양산의 고사리를 캐리.[擧目山河異 傷心人物非 願從孤竹子 薄採首陽薇]"라고 시를 읊었다. 매천(梅泉) 황현(黃玹)의 자결 소식을 들은 후, 황현육유(陸游)의 시를 차운하여 지은 시를 다시 차운한 우국시(憂國詩)를 짓기도 하였다.
63세 때인 1917년 봄에 경상도 지역을 다녀오면서 면우(勉宇) 곽종석(郭鍾錫)을 만나기도 하였다. 이때의 여행은 「교남일기(嶠南日記)」에 자세히 기록하였다. 64세 때인 1918년에 가족을 거느리고 함평군 나산면 송암리(松巖里)로 이거하였다. 이곳에서 강학을 시작하니 인근에서 배우기 위해 찾아오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해 겨울에 고종이 승하하자 단을 쌓아놓고 오백년 왕업이 끊겼다며 통곡하였다.
77세 때인 1931년에 다시 고향인 나주로 돌아와 금성산 아래 금곡리(琴谷里)에 정착하니, 사방에서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이 몰려 들었다. 제자들의 후원 속에 1936년나주시 노안면 용산리 월송마을에 송산정사(松山精舍)를 지었으며, 유도(儒道)를 강론하며 많은 문인을 양성하였다. 문인 중 전남 함평 출신의 우전(雨田) 신호열(辛鎬烈)은 6살 때 이병수를 만나 훈육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한문 유산 국역 등에 크게 기여하였다. 신호열은 스승 이병수에 대한 행장(行狀)을 지었으며, 이것이 『겸산유고』의 부록과 『우전선생일고(雨田先生逸稿)』에 실려 있다.
이병수는 노년기에 함평나주에서 강학에 집중하는 삶을 살았는데, 『겸산선생연원록(謙山先生淵源錄)』의 「문인록(門人錄)」에 744명이 기록되어 있어 많은 문인을 길러냈음을 알 수 있다. 문인들은 나주를 중심으로 한 전남의 문인들이 다수를 차지하며, 특히 이병수의 아들과 조카들을 비롯한 양성 이씨가 121명으로 가장 많다. 같은 책의 「종유록(從遊錄)」에는 난와(難窩) 오계수(吳繼洙),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 후석(後石) 오준선(吳駿善)호남지역의 이름난 학자 51인이 기록되어 있어, 교유관계를 볼 수가 있다.
1941년 7월 7일에 명정(銘旌)에 "소화일민(小華逸民) 양성이군지구(陽城李君之柩)"라 쓰라고 당부하고 8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장례 때 모인 인원만 수천 명이었고, 집불(執紼)한 사람이 3백여 명이었다고 한다. 부인은 광산 김씨(光山 金氏) 용현(容晛)의 딸이다. 1남 1녀를 낳았는데, 아들은 승규(承奎)이고 딸은 진주(晉州) 강천수(姜天秀)와 혼인했다. 1947년 송산사(松山祠)에 배향되었다.


■ 구성과 내용
『겸산유고(謙山遺稿)』는 1946년에 문인 이민선(李敏璿), 김기우(金基禹), 정우석(鄭遇錫) 등에 의해 송산정사에서 발간되었다. 서문과 발문은 없으나 권18 말미에 문인 이민선(李敏璿)이 쓴 「겸산선생유고발간서사(謙山先生遺稿發刊敍事)」가 수록되어 있고, 문집 발간에 참여한 사람들 명단이 기록된 「겸산유고간소임원록(謙山遺稿刊所任員錄)」도 실려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20권 10책 전체가 있고, 전북대학교 도서관에 권19~20을 제외한 18권 9책이, 전남대학교 도서관에 권19~20 1책이 있다.
권1에 시(詩) 184편, 권2에 서(書) 28편, 권3에 서(序) 51편, 권4에 기(記) 76편, 권5에 기(記) 83편, 권6에 상량문(上樑文) 30편, 권7에 상량문(上樑文) 18편, 축문(祝文) 7편, 제문(祭文) 9편, 봉안문(奉安文) 5편, 기우문(祈雨文) 6편, 비(碑) 39편, 권8에 묘갈명(墓碣銘) 27편, 권9에 묘갈명(墓碣銘) 43편, 권10에 묘갈명(墓碣銘) 55편, 권11에 묘갈명(墓碣銘) 37편, 권12에 묘표(墓表) 75편, 권13에 행장(行狀) 33편, 권14에 행장(行狀) 32편, 권15에 행록(行錄) 30편, 권16에 발(跋) 48편, 전(傳) 14편, 권17에 잡저(雜著) 21편, 권18에 잡저(雜著) 33편, 부록(일기, 서사), 권19에 「금성정의록(錦城正義錄)」 갑편(甲編), 권20에 「금성정의록(錦城正義錄)」 을편(乙編)·병편(丙編), 부록(가장, 행장)이 수록되어 있다.
권1에는 시 184편이 수록되어 있다. 첫 번째로 수록된 작품은 「석전음(石田吟)」으로, 20세의 나이로 도백일장에서 장원을 할 때 지은 것이다. 마지막에 수록된 작품은 「임종구호(臨終口呼)」로, 8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 지은 것이다. 이를 보면 전체적으로 시를 지은 시기를 고려하여 문집에 수록하였음을 알 수 있다. 184편의 시 중에는 교유한 사람들과의 수창시가 많은데, 수창한 인물로는 나주목사 민종렬(閔種烈), 유광희(柳光熙), 나명숙(羅明淑), 나윤후(羅允煦), 기주현(奇周鉉), 기윤보(奇允甫), 윤충하(尹忠夏), 양상형(梁相衡), 봉채규(奉采奎), 오용선(吳龍善), 오계수(吳繼洙), 이학상(李鶴相), 기우만(奇宇萬), 박훈양(朴薰陽), 안동섭(安東燮), 박준관(朴準觀), 오준선(吳駿善), 성경수(成卿修), 정용구(鄭容求), 김병렴(金秉濂), 임규호(林圭鎬), 김종섭(金鍾燮), 오병수(吳秉壽), 오병남(吳秉南), 이장현(李章見), 황성원(黃聲遠), 이인상(李麟相), 이규채(李奎采), 기국빈(奇國賓), 홍윤명(洪允明) 등이 있다.
또 일제강점기를 살았던 이병수는 당대의 현실을 보고 나라를 걱정하는 시도 많이 지었다. 1805년 일제에 의해 강제적으로 을사조약이 체결되고 민영환(閔泳煥)이 자결하자, "동계의 역지사지 지금 어렵고 만세의 춘추는 찾을 수 있네. 마음 쏟아내 천의를 지탱하니 자결함이 바다로 은거하려는 마음보다 낫네.[桐溪易地亦難今 萬世春秋賴可尋 撑腸瀉出撑天義 蹈刃較勝蹈海心]"라고 읊은 시 「문계정민보국영환순절음(聞桂庭閔輔國泳煥殉節吟)」이 문집에 실려 있다. 1933년여수에 충민사(忠愍祠)가 중건되자 쓴 시 「충민사중건운(忠愍祠重建韻)」, 매천 황현의 시집을 읽고 쓴 시 「제매천황현시집(題梅泉黃玹詩集)」 등에도 일제강점기 유학자의 의식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권2에는 서(書) 28편이 수록되어 있다. 나주목사였던 민종렬에게 보낸 「상민후종렬(上閔侯鍾烈)」, 경상도의 유학자 곽종석에게 보낸 「상곽면우도서(上郭俛宇鋾書)」, 호남의 유학자이자 의병장인 기우만에게 보낸 「여기송사(與奇松沙)」를 비롯하여, 최정우(崔正愚), 오균선(吳均善), 오준선(吳駿善) 등 다양한 학자들과 주고받은 편지를 볼 수 있다.
권3에는 서(序) 51편이 수록되어 있다. 정상(鄭祥)의 『창주집(滄洲集)』, 정준일(鄭遵一)의 『향북당유고(向北堂遺稿)』, 이덕우(李德雨)의 『송와유고(松窩遺稿)』, 이희진(李熙眞)의 『후곡유고(後谷遺稿)』, 김려(金礪)의 『서원연고(瑞原聯稿)』, 한창규(韓昌奎)의 『성재시고(誠齋詩稿)』, 박기현(朴冀鉉)의 『강재유고(剛齋遺稿)』, 진석형(陳錫馨)의 『계광시고(溪狂詩稿)』, 나영집(羅英集)의 『소백시고(小柏詩稿)』 등과 같은 문집에 대한 서문이 많으며, 「영산김씨파보서(永山金氏派譜序)」와 같은 족보 관련 서문도 있다.
권4~5에는 기(記) 159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별 수량은 각각 76편, 83편이다. 남사정(南莎亭), 하구정(何求亭), 만회정(晩悔亭), 석은정(石隱亭), 독취정(獨醉亭), 금사정(錦史亭), 금파정(錦坡亭), 자형정(紫荊亭)과 같은 누정에 대한 기문을 다수 확인할 수 있으며, 「습재기(習齋記)」, 「지재기(止齋記)」, 「청전기(靑田記)」와 같은 인물의 호(號)와 관련한 기문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 습재는 나병집(羅秉集), 지재는 이형칠(李衡七), 청전은 이학상(李鶴相)의 호이다.
권6에는 30편, 권7의 전반부에는 18편의 상량문(上樑文)이 수록되어 있다. 「함평향교중건상량문(咸平鄕校重建上樑文)」, 「경열사상량문(景烈祠上樑文)」, 「나주정씨사우상량문(羅州鄭氏祠宇上樑文)」, 「석하정상량문(石下亭上樑文)」, 「임천정사중건상량문(林泉精舍重建上樑文)」과 같이, 향교, 사당, 재각, 누정 등 다양한 건물에 대한 상량문을 볼 수가 있다.
권7의 후반부에는 「제금성산신문(祭錦城山神文)」을 비롯한 축문(祝文) 7편, 「제기송사우만문(祭奇松沙宇萬文)」을 비롯한 제문(祭文) 9편, 「무열사중건봉안문(武烈祠重建奉安文)」을 비롯한 봉안문(奉安文) 5편, 「두직단기우문(杜稷壇祈雨文)」을 비롯한 기우문(祈雨文) 6편, 「선교랑이공묘비음기(宣敎朗李公墓碑陰記)」를 비롯한 비문(碑文) 39편이 수록되어 있다. 비문 중에는 「열부조씨사실비(烈婦曺氏事實碑)」, 「효열부정씨사실비(孝烈婦鄭氏事實碑)」와 같이 여성의 효열을 기록한 작품도 다수 보인다.
권8~11에는162편의 묘갈명(墓碣銘)이 수록되어 있는데, 권별 수량은 각각 27편, 43편, 55편, 37편이다. 권12에는 묘표(墓表) 75편이, 권13~14에는 행장(行狀) 65편이, 권15에는 행록(行錄) 30편이 수록되어 있다. 모두 인물의 일생을 볼 수 있는 글로, 다양한 인물들의 면모를 볼 수가 있다. 예컨대, 「증병조판서시충숙난파정공묘갈명(贈兵曹判書諡忠肅蘭坡鄭公墓碣銘)」을 통해서는 동학농민운동 때 나주에서 승전을 거두어 해남군수로 승진된 정석진(鄭錫珍)의 행적을, 「성균생원하촌나공행장(成均生員荷村羅公行狀)」을 통해서는 『하촌유고(荷村遺稿)』의 저자이자 금사정(錦社亭)의 상량문을 쓴 인물인 나동륜(羅東綸)의 행적을 볼 수가 있다.
권16에는 「미천원지발(眉泉院誌跋)」, 「장암나충열공유집발(壯巖羅忠烈公遺集跋)」, 「모효재정공유집발(慕孝齋鄭公遺集跋)」, 「기축록발(己丑錄跋)」과 같이 문집을 비롯한 다양한 문헌에 대한 발문 48편과 전(傳) 14편이 수록되어 있다. 전은 「유인백씨전(孺人白氏傳)」을 시작으로 「효열부정씨천장(孝烈婦鄭氏薦狀)」에 이르기까지 모두 여성에 대한 것이다.
권17~18에는 잡저(雜著) 54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권별 수량은 각각 21편, 33편이다. 통문(通文), 설(說), 사실(事實), 문대(門對), 가(歌), 행(行), 계(戒), 서(書), 일기(日記), 논(論), 서(序) 등 다양한 글이 수록되어 있다. 이중 「여호남학회회관서(與湖南學會會館書)」는 1907년 7월 창립하여, 1908년부터 다음해까지 총 9호의 월보를 발행한 호남학회(湖南學會)에 보낸 글로, 유교의 쇄신을 주장하는 『호남학보』에 대한 이병수의 반대 입장을 볼 수가 있다. 권17의 마지막에 실린 「교남일기(嶠南日記)」는 1917년 3월 23일부터 4월 15일까지 경상도 지역에 다녀온 일을 기록한 것으로,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 퇴계(退溪) 이황(李滉) 등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곳에 들르고, 면우 곽종석을 방문한 것 등을 볼 수 있다. 권17에 실린 「경의문대(經義問對)」, 권18에 실린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 등 경학에 대한 문장도 잡저에서 볼 수가 있다.
잡저의 다음에는 부록으로 「겸산선생임종일기(謙山先生臨終日記)」, 「겸산선생유고발간서사(謙山先生遺稿發刊敍事)」, 「겸산유고간소임원록(謙山遺稿刊所任員錄)」이 실려 있다. 「겸산선생임종일기」는 문인 정우석(鄭遇錫)이 기록한 것으로, 스승 이병수의 병세가 위중하다는 것을 듣고 찾아간 일, 스승의 임종과 장례의 과정 등이 기록되어 있다.
권19~20에는 「금성정의록(錦城正義錄)」이 수록되어 있다. 갑편(甲編)·을편(乙編)·병편(丙編)의 3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권19에는 갑편이, 권20에는 을편과 병편이 실려 있다. 「금성정의록」은 1894년부터 1896년까지 나주지역의 일을 기록한 것으로, 동학농민운동, 항일의병 등의 일이 일기 형식으로 담겨 있다. 갑편에는 동학농민군과 수성군 사이의 전투 등 1894년의 일이 기록되어 있고, 을편에는 동학군 토평 이후 행정 개편과 단발령에 대한 반발 등 1895년의 일이 기록되어 있으며, 병편에는 의병활동 관련 통문과 연관된 상황 등 1896년의 일이 기록되어 있다. 1894년 7월 1일 일기에 "적의 괴수 최경선(崔京先)이 일당 수천 명을 거느리고 유린하며 줄곧 말을 몰며 본 고을에 직접 쳐들어 왔다. 오권선(吳權善)은 괴적의 우두머리가 되어 군중들을 통솔하고 와서 금안동(金安洞)에 합세하여 진을 치고 수삼일 동안 침략을 가하면서 금성산으로 개미떼가 붙듯이 몰려들었다.[賊魁崔京先 率黨數千 蹂躪長驅 直搗本州 吳權善爲倀鬼 率其衆 合陣于金安洞 侵掠三數日 蟻附錦城山]"고 기록한 것 같이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담고 있으며, 분량도 간행본의 86면을 차지할 정도로 풍부하여, 동학동민운동 등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볼 수 있는 귀한 자료로 인정받고 있다.
말미에 부록으로 정우석(鄭遇錫)이 쓴 가장(家狀), 신호열이 쓴 행장(行狀)이 수록되어 있으며, 발문은 따로 없다.

세부목차

卷 1
詩 : 石田吟, 次西城樓志喜韻幷小序, 戒子, 酬柳陶下光熙丙申夏達陶下於茂松癸卯春更唔三首, 寒食山亭遠眺, 見早麥口占, 花溪詩會, 石門詩會 二首, 與龍興寺僧松隱宿, 山亭早春, 共小柏羅兄明淑夜話, 再遊山亭三首, 謾吟, 夜話, 餞春, 宿多寶寺, 溪堂會話, 勉養齋小會, 東亭詩會, 再會溪堂, 遊尋 香寺, 溪堂夏日, 鄕校居接時與諸生唱和六首, 次小柏羅英集壁上韻, 酬錦坡羅允照, 鵲巢, 怪石, 述懷三首, 漫成二首, 聞桂庭閔輔國泳煥殉節吟, 次南步奇兄周鉉回甲宴韻倂小序, 次小柏羅兄明淑回甲韻, 西遊寓懷七首, 謹 次奇丈梧隱允甫氏晬韻, 咸平月岳有八烈門往在丁酉生靈魚肉女多被擄八烈投七山海同日殉節其後値回甲年則子孫望祀于海上有原韻謹步二首, 戊 戌夏海南尹忠夏來留數朔臨別贈詩二首, 挽梧隱奇公允甫, 挽小草林兄達志二首, 挽梁丈柏下相衡 四絶一首七絶三首, 挽翠友軒吳丈龍善, 次醉隱亭奉公釆奎壁上韻, 次呈襄平吳公影幀移安韻二首, 次宋止齋海士原韻, 題歸樂齋板上韻, 壬子臘月約與吳後石德行將守歲于佛甲寺矣旣而爲其諸宗所挽期會于大明洞永思齋夫簡且示三律因賓和以星三首, 永思齋除夜書懷, 翌日抵大明洞會話, 吳難窩重涵三難韻擬和己久而意溢辭縮未敢率爾露醜適玆頫示三絶意寄珍重不可以蕪拙自沮終孤盛惠謹步仰星恐不免刻畵唐突而三難韻倂寫添足追次李靑田注書魯悠南鍮鐸兩賢酬唱韻, 次月潭韻, 次取暎亭原韻, 挽奇松沙, 喜聾二首, 次晦軒亭韻幷小序, 忠賢閣壇享時有感, 題鳳山亭, 花樹亭韻, 題錦沙亭韻羅宗煥, 題錦坡亭韻林喆相, 錦坡亭詩話, 次安鳳岡東燮晬宴韻, 金議官應文回甲韻, 敬次向陽齋韻幷小序, 錦坡亭遇朴湖隱薰陽, 玉窓櫻桃, 追賀心史辛君元汝回甲韻, 餞春二首, 詩山養老齋韻, 寄題松隱亭韻, 挽金進士秉圭, 樂五亭韻朴準觀, 題南石齋沈鍾大, 次松溪亭韻茂長松山, 次蓮堂韻, 次臨履亭韻, 次四會亭重修韻, 次晩翠堂韻成卿修, 挽吳後石德行, 麗水郡建廟十週年紀念詩, 忠愍祠瀉重建韻, 題梅泉黃玹詩集, 兩中無聊次放翁韻, 拈梅泉集韻, 山居卽事, 哀許生昌文, 用前韻 再題梅泉集, 訪友人山居, 送任晩拙解謞歸覲, 立春日寫懷, 次蒙養齋原韻 鄭容求, 寄題霽梧堂壁上韻, 檀君, 次聽天堂壁上韻贈別金斗峰兼㾾, 追輓 林錦狂圭鎬, 次題養竹堂韻, 輓金議官鍾燮, 碧梧, 百日紅, 四季花, 追次柳氏雲湖亭, 次夜歸堂韻吳克卿, 次金氏老柏堂韻, 讀陶靖節乞食詩有感而作三首, 梅菊, 贈金生熙德, 偶題, 次吳秉南壽帖原韻幷小序, 謾吟, 送別李棘人弘榮歸峽川舊業, 挽吳難窩處士繼洙, 次不換亭板上韻二首, 石門會話, 靑田李兄題心鮮一律示余遣情措辭足令立懦念拙賓和, 採薇吟, 次石門冬至韻, 搜勝臺次退溪先生韻, 次矗石樓板上韻, 挽李進士明羽, 竹軒重修韻, 庚申晩秋朴勝彦金榮鈺來請學繼而尹南鉉又到適余冷泄成痢委臥床褥動經 數朔賴諸彦免幽獨固有將攝之道然吾勉進之力無之旣而臘月將盡三少年言□不可無一言相贈故搆三絶各贈但恨無以奏靑之曲送別次撫松亭韻, 題守靜齋, 奉星集成祠諸儒韻, 次後軒韻, 次三友亭韻, 次碧溪堂原韻柳星烈, 庚辰除夜書懷五七三絶, 辛巳正月生朝有感, 次丁氏永慕齋韻, 次題李斯文相瑚新菴壁上韻, 感懷, 次柳碧溪回甲韻幷小序, 不換亭詩會, 元夕留廣谷, 贈車後溪聖求, 甲寅除夕與後石吳兄守歲于石門山中, 乙卯正月初七日生朝有感, 題梅松堂, 重陽後七日登舒嘯亭三首, 翌日溪舍會飮, 石亭叙懷, 次酬丹 城李斯文章見甫, 次贈嶠南黃斯文聲遠甫, 次竹谷李兄麟相回甲韻, 次竹窩 吳兄回甲韻, 次松石李兄奎采回甲韻, 次靑田捿字韻, 更步休字韻, 硏子砧, 贈光山金雅, 觀西湖登霽月亭, 通峴望海, 歸路登佛甲, 登海佛菴, 冬夜, 春 日謾成, 生朝有感, 元朝見紅魚靑魚登盤戱作, 松窓謾興. 啄木鳥, 題金岡遊山錄, 詠霧, 物各有宜, 無題, 憶奇友雲陽國賓, 贈許生繼軒韻永奎, 仲夏之 月擁衾口號, 雪齋先生遺墟立碑之役病未晉忝聊寫拙搆以呈, 金岡山萬物抄, 春日, 有感, 四靈, 老人嘆, 歎世, 詠菊, 贈別朴君潤亮, 病中苦吟, 夏日, 因 步松隱齋韻, 輓愚隱洪兄允明, 鶴山亭柱聯, 寄題月泉齋, 病中寄辛東旭, 臨終口呼

卷 2
書 : 上閔侯鍾烈, 上郭俛宇鋾書, 與奇松沙, 答崔健齋, 答吳均善, 答吳德行, 答林敦圭文玉, 答鄭枋珪, 答吳克卿二, 答鄭宗燮, 答林爀圭, 答奇東과, 答安基駿, 慰吳棘人憲洙, 答林喪人鍾炫, 答朴德哉炯得, 答李泰休, 答丁敬悅魯壽, 與吳斯文有範, 與鉢山諸彦, 慰郭澶, 答奉正範, 與金永濠答金鳳錫, 答金東侯, 與金進士秉奎, 與朴源方炳海, 答朴昌善炳禹

卷 3
序 : 滄洲集序, 向北堂遺稿序, 陽城李氏族譜序, 集成祠儒案序, 浪庵居士金公實記序, 松窩遺稿序, 百忍錄再序, 後谷遺稿序, 洪氏世稿序, 鳳岡老人安東燮 壽帖序, 瑞原聯稿序, 誠齋詩稿序, 錦圃遺稿序, 蘭窩遺稿序, 雲陽遺稿序, 剛齋遺稿序, 溪狂詩稿序, 湖隱遺稿序, 六行堂遺稿序, 礪山宋氏世稿序, 晉州金氏世稿序, 松林雅會詩軸序, 小柏詩稿序, 喬梓聯稿序, 永山金氏派譜序, 和順吳氏派譜序, 慶州李氏派譜序, 羅州鄭氏派譜序, 金海金氏家乘譜序, 密陽朴氏家乘序, 石愚亭唱酬錄序, 市隱詩稿序, 南海詩杜契帖序, 鳳岡祠慕賢序, 輔成講會錄序, 榮江院誌序, 晩香亭修稧案序, 鄭將軍討匪錄序, 東湖老人壽屛序, 天台遊山錄序, 新平宋氏外孫譜略序, 敬齋遺稿序, 讀書錄序, 羅州鄕校春秋契序, 性菴家藏序, 慕賢契序, 松堂遺稿序, 石隱老人壽帖序, 頑齋令終錄序, 星州李氏德編序, 黙菴遺稿序

卷 4
記 : 省泉講堂重建記, 道峰祠重建記, 松山精舍記, 鄭氏永慕齋重修記, 李氏聿修齋記, 羅氏如在閣記, 崇陽祠記, 永思齋記, 晩香亭記, 追繼齋記, 羊山齋記, 追遠齋記, 永言齋記, 致慤齋記, 永思齋記, 山捿齋記, 懶愚齋記, 敬惜齋記, 鳳陽齋記, 瑞鳳齋記, 孝思齋記, 野隱齋記, 月泉齋記, 敬慕齋記, 心谷齋重 建記, 追遠堂記, 晩惺齋記, 敦和齋記, 翠雲齋記, 持巖齋記, 松隱齋記, 歸 來齋記, 慕先齋記, 追遠齋記, 直方齋記, 翠菴記, 惺菴記, 克齋記, 愚山記, 後松記, 雲石記, 繼軒記, 醉隱亭記, 月溪記, 小潭記, 述窩記, 茶泉記, 錦隱記, 後洲記, 省窩記, 松坡亭記, 誠齋記, 壽山記, 愼菴記, 竹下記, 柿隱記, 江石記, 筠軒記, 睡堂記, 忍齋記, 石南記, 省菴記, 東菴記, 斗山記, 毅齋記, 足庵記, 柏山記, 斗南記, 松隱亭記, 醉石亭記, 咸平李氏閣記, 孝子進士晩樂軒李公遺墟碑閣記, 孝烈婦朴氏碑閣事實記, 烈婦朴氏旌閭記, 蘭坡亭記, 誠慕齋記

卷 5
記 : 永慕齋記, 思誠齋記, 永思齋重建記, 月淵齋記, 悠南齋記, 喜懼堂記, 南莎亭記, 何求亭記, 晩悔亭記, 石下齋記, 思敬齋記, 愛竹堂記, 南石齋記, 蒙養齋記, 石隱亭記, 白隱堂記, 棣華亭記, 獨醉亭記, 鄭氏祭閣重建記, 錦史亭記, 俗隱堂記, 錦愚堂記, 紫荊亭記, 獨醉亭記, 雲湖亭記, 翠柏堂記, 映湖亭記, 錦沙亭記, 花樹亭記, 石松堂記, 風樹亭記, 丁氏褒忠閭移建記, 孝子贈童蒙敎官松齋成公旌閭記, 晩翠堂記, 錦坡亭記, 龍岡精舍記, 松蘭齋記, 鶴山亭記, 聽琴齋記, 孝子李公碑閣記, 沈氏晩翠亭記, 松塢記, 月湖亭記, 溪隱亭記, 省掃臺記, 百忍堂記, 羅氏孝烈閣記, 聾窩小記, 晩翠軒記, 三先生壇享記, 白癡軒記, 友竹軒記, 習齋記, 止齋記, 靑田記, 惺齋記, 溪隱記, 晩啞記, 新齋記, 健齋記, 孝亭記, 浪庵記, 竹史記, 竹坡記, 錦圃記, 湖隱記, 月潭記, 竹溪記, 愚軒記, 訥溪記, 南岡記, 晦亭記, 石愚亭記, 松圃記, 晩靑記, 松坡亭記, 錦湖堂記, 晩巖記, 後柏記, 瑞隱記, 錦沙記, 東溪記, 錦軒記

卷 6
上樑文 : 咸平鄕校重建上樑文, 景烈祠上樑文, 錦湖祠重建上樑文, 錦湖祠講堂重 建上樑文, 陟西亭上樑文, 錦溪祠講堂重建上樑文, 駕洛三王廟上樑文, 羅州武烈祠重建上樑文, 松齋祠宇重建上樑文, 羅州鄭氏祠宇上樑文, 鄭氏祭閣重建上樑文, 瑞興金氏旌閭上樑文, 錦城祠上樑文, 李氏聿修齋上樑文, 林氏祭閣上樑文, 尹氏墓閣上樑文, 蘿碧山人祠堂上樑文, 高氏祭閣上樑文, 晩□亭重建上樑文, 台隱堂重建上樑文, 月湖亭上樑文, 駕鶴亭重建上樑文, 朴氏三綱門上樑文, 金氏墓閣上樑文, 龜山精舍上樑文, 棣華亭上樑文, 玉山精舍上樑文, 鄭氏瞻慕齋上樑文, 丁氏永慕齋上樑文, 全州李氏三綱碑閣 上樑文

卷 7
上樑文 : 守貞齋重建上樑文, 魯氏存敬閣上樑文, 全氏追遠齋上樑文, 韓氏牛山精舍上樑文, 悠南亭上樑文, 石下亭上樑文, 林泉精舍重建上樑文, 叙悅齋上樑文, 東江釣臺上樑文, 東湖亭上樑文, 翠柏堂上樑文, 南愚亭上樑文, 淵圃堂上樑文, 習靜堂上樑文, 錦隱齋上樑文, 五峰祠上樑文, 永慕齋上樑文, 月坡亭上樑文
祝文 : 祭錦城山神文, 集成祠孔夫子眞奉安祝文, 失夫子眞奉安祝文, 安文成公眞奉安祝文, 壇享祝文, 錦湖祠常享祝文, 除蝗蟲祝文
祭文 : 文, 祭奇松沙宇萬文, 祭奇雲陽國賓文, 祭郭俛文, 祭鄭參奉海鎰文, 祭吳後石德行文, 祭李靑田文, 祭姜鳳村夏永文, 祭李 竹溪文, 祭辛學山文
奉安文 : 武烈祠重建奉安文, 達城君常享文, 淸靖公常享文, 直提學常享文, 松澗公常享文
祈雨文 : 杜稷壇祈雨文, 錦城山祈雨文, 南海堂祈雨文, 歌謠山祈雨文, 城隍祈雨文, 聳珍山祈雨文
碑 : 宣敎朗李公墓碑陰記, 嘉善大夫行河東都護府使李公墓碑陰記, 瑞興金氏世葬碑, 四固堂朴公壇享事實碑, 松巖祠遺墟碑實記, 贈判書金公遺墟壇享碑, 愼菴金文敬公壇享碑, 贈兵曹判黃公墓碑, 贈嘉善金公墓碑,嘉善大夫春亭鄭公施惠碑, 通政大夫竹潭金公墓碑, 羅參奉琪漢施惠不念碑, 敬軒李公孝行碑, 士人羅鍾萬紀念碑, 訓鍊奉司咸平李公誠窩忠 義碑, 茂松縣望哭壇碑, 葛洞十老會社事實碑, 姜公墓碑, 處士李公墓碑, 淸溪金公墓碑, 湖隱處士姜公行義紀念碑, 敬窩處士申公墓碑, 貞夫人金氏碑, 淑夫人李氏墓碑, 烈婦曺氏事實碑, 孝烈婦鄭氏事實碑, 晉州鄭氏三世烈婦碑, 孝烈婦金海金氏事實碑, 淑人陽城李氏壇碑, 節婦羅氏表彰碑, 孝烈婦張氏實蹟碑, 孝烈婦孫氏事實碑, 烈孝婦金氏事實碑, 孺人孫氏墓碑, 孝烈婦朴氏墓碑, 令人崔氏墓碑, 貞夫人李氏墓碑, 黨正金氏善政碑, 夢心軒金公墓碑

卷 8
墓碣銘 : 正憲大夫兵曹判書鄭公墓碣銘先祖判尹公墓碣銘, 月浦公墓碣銘, 滄州鄭公墓碣銘, 海隱鄭公墓碣銘, 處士別有堂鄭公墓碣銘, 通訓大夫訓鍊 判官梁公墓碣銘, 王子師傅五楓李公墓碣銘, 贈嘉善大夫兵曹參判吳公墓碣銘, 嘉善大夫李公墓碣銘, 柳川韓公墓碣銘, 參奉鄭公墓碣銘, 朏堂朴公墓碣銘, 菊圃朴公墓碣銘, 主簿鄭公墓碣銘, 監察蘭坡金公墓碣銘,錦溪鄭公墓碣銘, 述齋許公墓碣銘, 同中樞鄭公墓碣銘, 剛齋朴公墓碣 銘, 贈參判金公墓碣銘, 黙和堂吳公墓碣銘, 大護軍李公墓碣銘, 處士朴公墓碣銘, 珍島郡忠孝學行聯名碑墓銘, 主簿郭公墓碣銘, 萬戶郭公墓碣銘, 遞菴羅公墓碣銘, 正憲大夫行慶州府尹柳公墓碣銘, 三悔齋李公 墓碣銘, 守淸齋文公墓碣銘, 先祖愛日堂公墓碣銘, 養心齋李公墓碣銘, 思軒宋公墓碣銘, 台谷李公墓碣銘

卷 9
墓碣銘 : 月坡金公墓碣銘, 遠慕堂康公墓碣銘, 聽流齋成公墓碣銘, 錦嶠鄭公墓碣銘, 繕工監役李公墓碣銘, 龍岡車公墓碣銘, 學巖裵公墓碣銘, 申公墓碣銘, 春坡梁公墓碣銘, 知中樞府柳公墓碣銘, 贈司僕寺正宋公墓碣銘, 習靜齋鄭公墓碣銘, 嘉善李公墓碣銘, 中樞吳公墓碣銘, 松堂金公墓碣銘,錦川鄭公墓碣銘, 贈兵曹判書諡忠肅蘭坡鄭公墓碣銘, 通訓大夫工曹佐郞贈承旨蓮窩梁公墓碣銘, 慕齋李公碣銘, 瑛翠軒李公墓碣銘, 陜齋李 公墓碣銘, 養村李公墓碣銘, 勿軒朴公墓碣銘, 贈司憲府執義南隱康公墓碣銘, 孝子翠竹軒朴公墓碣銘, 學生鄭公墓碣銘, 蓮竹堂李公墓碣銘, 成均進士梁公墓碣銘, 柏堂金公墓碣銘, 南霞處士金公墓碣銘, 佳隱李 公墓碣銘, 嘉善柳公墓碣銘, 錦狂林公墓碣銘, 孝子康公墓碣銘, 秋潭金公墓碣銘

卷 10
碑銘 : 遯齋奇公墓碣銘, 梧齋李公墓碣銘, 贈通政許公墓碣銘, 贈參判許公墓碣銘, 錦溪處士羅公墓碣銘, 錦岡李公墓碣銘, 湖隱金公墓碣銘, 處士李君墓碣銘, 縣監鄭公墓碣銘, 謙齋安公墓碣銘, 成均進士李公墓碣銘, 先祖愛日堂公墓碣銘, 參奉朴公墓碣銘, 芝圃李公墓碣銘, 修省齋鄭公墓碣銘, 嘉義大夫同知中樞府事金公墓碣銘, 斗峰金公墓碣銘, 竹逸鄭公墓 碣銘, 鄭公墓碣銘, 隱山鄭公墓碣銘, 松西處士安公墓碣銘, 松石李公墓碣銘, 梧軒洪公墓碣銘, 竹溪洪公墓碣銘, 恒守齋朴公墓碣銘, 遞菴羅公墓碣銘, 遯菴姜公墓碣銘, 隱谷處士羅公墓碣銘, 都事柳公墓碣銘, 望齋柳谷墓碣銘, 石門姜公墓碣銘, 守玄堂金公墓碣銘, 崇政大夫知中樞府 事金公墓碣銘, 間齋金公墓碣銘, 嘉善大夫同中樞金公墓碣銘, 愼黙軒洪公墓碣銘, 贈通政大夫秘書院丞草心堂李公墓碣銘, 湖隱金公墓碣銘,巖亭韓公墓碣銘, 後巖韓公墓碣銘, 孝子金公墓碣銘, 處士止湖金公墓碣銘, 錦圃李公墓碣銘, 習靜堂金公墓碣銘, 野鶴金公墓碣銘, 剛齋朴公壇享碣銘, 學生朴公墓碣銘, 兵馬僉節制使鄭公墓碣銘, 東谷處士墓碣銘, 通政申公墓碣銘, 石湖金公墓碣銘, 孝子李公墓碣銘, 樂圃劉公墓碣銘, 養心齋李公墓碣銘, 通政康公墓碣銘

卷 11
墓碣銘 : 參奉金公墓碣銘, 南溪處士柳公墓碣銘, 判官敬菴丁公墓碣銘, 監察朴公墓碣銘, 永慕齋鄭公墓碣銘, 資憲大夫雙淸李公墓碣銘, 成均進士晩悔辛公墓碣銘, 松齋文公墓碣銘, 靜齋尹公墓碣銘, 晩悔尹公墓碣銘,三遷齋朴公墓碣銘, 東園羅公墓碣銘, 成均進士崔公墓碣銘, 忍齋張公墓碣銘, 通政大夫池公墓碣銘, 通政申公墓碣銘, 監察申公墓碣銘, 陽坡申公墓碣銘, 松琴堂柳公墓碣銘, 參奉柳公墓碣銘, 直長柳公墓碣銘,誠齋柳公墓碣銘, 松灘朴公墓碣銘, 僉樞金公墓碣銘, 孝子贈童蒙敎官淸溪朴公墓碣銘, 孝子贈通政大夫長溪朴公墓誌銘, 淨齋朴公墓碣銘, 蘭沙李公墓碣銘, 渭原郡守金公墓碣銘, 孝友堂趙公墓碣銘, 縣監瀨隱金公墓碣銘, 承文院正字姜公墓碣銘, 三樂軒朴公墓碣銘, 縣監李公墓碣銘, 蓮坡朴公墓碣銘, 石洲吳公墓碣銘, 壙誌自銘

卷 12
墓表 : 通德郞柳公墓表, 謙窩徐公墓表, 進士姜公墓表, 齋菴崔公墓表, 處士吳公墓表, 孝子朴公墓表, 古菴處士朴公墓表, 朴公墓表, 成均進士李公墓表, 參奉姜公墓表, 贈嘉善金公墓表, 贈禮曹參議池公墓表, 進士丁公墓表, 贈參議淸齋吳公墓表, 贈戶曹參判李公墓表, 魯齋金公墓表, 嘉善金公墓表, 通訓大夫金公墓表, 湖隱李公墓表, 錦圃曺公墓表, 北巖兪公墓表, 芝圃兪公墓表, 贈通政鄭公墓表, 望月齋許公墓表, 司僕正金公墓表,東齋吳公墓表, 進士鄭公墓表, 副護軍張公墓表, 監察愼齋鄭公墓表, 都事張公墓表, 同樞張公墓表, 同樞張公墓表, 通政李公墓表, 通政金公墓表, 竹圃梁公墓表, 處士鄭公墓表, 學生鄭公墓表, 贈通政大夫張公墓表,松菴鄭公墓表, 柏軒金公墓表, 晩軒鄭公墓表, 葵日堂康公墓表, 贈通政大夫松坡金公墓表, 贈司僕寺正松川金公墓表, 松圃張公墓表, 松坡南公墓表, 孝子朝奉大夫朴公墓表, 晩竹金氏墓表, 醒庵李公墓表, 學生申公墓表, 中樞院議官申公墓表, 孝子敬齋朴公墓表, 朗菴處士李公墓表,隱峯金孝子墓表, 松圃金公墓表, 贈參判雪江李公墓表, 贈參議李公墓 表, 嘉善大夫朴公墓表, 楊川金公墓表, 學生金公墓表, 坎隱牟公墓表,松雪朴公墓表, 船湖金公墓表, 主簿朴公墓表, 贈通政梁公墓表, 慕堂李公墓表, 晩隱文公墓表, 贈通訓大夫司僕寺正金公墓表, 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兼五衛將李公墓表, 從仕郞李君墓表, 贈貞夫人張氏墓表, 贈令人李氏墓表, 贈通政大夫刑曹參議徐公墓表, 嘉義大夫徐公墓表, 貞夫人白氏墓表

卷 13
行狀 : 諫議大夫李公行狀, 族叔龍石先生行狀, 癡翁鄭公行狀, 遯愚羅公行狀, 錦嶠鄭公行狀, 成均生員荷村羅公行狀, 習靜鄭先生行狀, 贈刑曹參議 止齋裵公行狀, 通德郞枕隱林公行狀, 五槐堂李公行狀, 忍和堂鄭公行狀誠菴鄭公行狀, 錦浦鄭公兄弟行狀, 錦溪林公行狀, 處士成公行狀, 聾隱梁公行狀, 副司果慕齋李公行狀, 暎翠軒李公行狀, 率性齋柳公行狀,贈贊政黃公行狀, 樂軒姜公行狀, 龍洲李公行狀, 學梅李公行狀, 晩圃李公行狀, 錦岡李公行狀, 龍塘處士鄭公行狀, 誠齋李公行狀, 蘿碧山人李公行狀, 錦窩羅公行狀, 翠隱鄭公行狀, 竹軒鄭公行狀, 錦坡羅公行狀, 處士鄭公行狀

卷 14
行狀 : 靑田李公行狀, 錦圃裵公行狀, 斗南金公行狀, 醉石羅公行狀, 通政大夫敦寧府都正吳公行狀, 郡守柳公行狀, 進士松菴崔公行狀, 通仕郞墓堂 崔公行狀, 松塢林公行狀, 守愚齋鄭公行狀, 錦陽林公行狀, 靜齋朴公行狀, 注書吳公行狀, 牧使尹公行狀, 錦菴羅公行狀, 蘿山處士羅公行狀, 守愚齋金公行狀, 白雲處士羅公行狀, 竹溪李公行狀, 敦齋金公行狀, 農隱羅公行狀, 菊坡丁公行狀, 犂隱韓公行狀, 松坡徐公行狀, 成均進士溪隱潘公行狀, 參奉吳公行狀, 同中樞羅公行狀, 都正金公行狀, 竹圃李公行狀, 湖隱金公行狀, 蓮菴金公行狀, 獨巷處士鄭公行狀

卷 15
行錄 : 錦崖公行錄, 李孝子行錄, 竹圃李公行錄, 錦隱鄭公行錄, 月潭金公行錄,淵谷處士文公行錄, 松汀張公行錄, 姜氏雙孝行錄, 慕菴柳孝子行錄, 松谿鄭公行錄, 參議李公行錄, 錦庵李公行錄, 松圃金公行錄, 吳氏三綱行錄, 韓孝子行錄, 月泉齋鄭公行錄, 嘉善同中樞崔公行錄, 頑齋韓公行錄, 聾窩處士李君行錄, 好尤齋吳公行錄, 槐軒魯公行錄, 監察老石金公行錄, 孺人白氏行錄, 孝婦李氏行錄, 孝烈婦金氏行錄, 貞婦吳氏行錄, 孝烈婦金氏行錄, 烈婦鄭氏行錄, 烈婦梁氏行錄, 孺人李氏烈行錄

卷 16
跋 : 眉泉院誌跋, 壯巖羅忠烈公遺集跋, 慕孝齋鄭公遺集跋, 己丑錄跋, 碧梧亭唱酬遺蹟跋, 慶州金氏世稿跋, 書晉州鄭氏兩世烈孝狀後, 書月溪文孝子傳後, 書愛橘軒鄭孝子行錄後, 孔子通紀續刊後叙, 尊好錄後叙, 錦湖遺事重刊後叙, 辛學山却金後叙, 晦軒遺稿後叙, 諫議泗陽崔公狀後叙, 孝子鄭公行錄後叙, 龍塢遺稿續編後叙, 敬愼齋遺稿後叙, 金君金剛山行日記後, 孝子藍石吳公狀後叙, 金君亨洙孝行錄後叙, 柏菴金公遺稿叙, 羅公倡義日記後叙進士元錫, 河東鄭氏三孝錄後叙, 光山盧氏兩世寺帖後叙, 崔新齋先生遺事後叙, 車孝子行錄後叙, 虛菴李公行錄後叙, 北征日記後叙, 成鳳巖實記叙, 櫂溪金公狀後叙, 松巖曺公遺事後叙, 光山李氏竹靑派系辨後叙, 松溪適菴實記後叙, 丙午倡義錄後叙, 曺司課實記後叙, 保履齋李公狀後叙, 孝子洪承俊孤感錄後叙, 書菊圃遺稿後叙, 郭孝子行錄後叙, 烈婦辛氏傳後叙, 貞婦朱氏行錄後叙, 節婦李氏傳後叙, 烈婦文氏行錄後叙, 烈婦宋氏行錄後叙, 孺人李氏家狀後叙, 孝烈碑銘後叙, 孝婦晉州鄭氏後叙
傳 : 孺人白氏傳, 孺人徐氏傳, 節婦驪州李氏傳, 孝烈婦吳氏傳, 孺人鄭氏傳,孺人林氏傳, 孝婦孺人柳氏傳, 節婦林氏傳, 烈婦贈貞夫人金氏傳, 孝婦李氏烈婦具氏合傳, 孺氏金氏傳, 烈婦令人沈氏傳, 孺人金氏傳, 孝烈婦鄭氏薦狀

卷 17
雜著 : 答陶山書院通文, 答鹿洞書院文, 眉泉影堂修稧所通文, 陟西鄭參奉讚, 謙山說, 東陽說, 準成子說, 心史說, 藥圃說, 南石說, 心山說, 小松說,景烈祠事實, 經義問對, 浩浩歌, 毆島雀行, 眞戒, 當觀奇植齋遺集有吳後石撰狀其曰潢池之弄時不利兮云云胡乃未之思歟余悼植齋之不遇因作此詩, 與湖南學會會館書, 湖南義擧卒於無功辨, 嶠南日記

卷 18
雜著 : 馬授戒兄子論, 伯夷不負文王所養論, 孟子不言易論, 雲長義釋曹操論, 自比管樂論, 許由讓天下論, 百里奚不諫虞公論, 孔鮒爲陳涉博士, 戒子姪文, 日食論, 白雉論, 文廟釋尊時祭宮西入東出, 文廟士大廳木大廳, 文廟板門細爖, 贈羅藥隱序, 送林生東觀序, 贈羅生季述序, 贈奇生希文序, 贈安生恒錫序, 藥喩贈李生彦敎, 與學者鄭遇論文, 贈李生鍾奭序, 贈吳生振烈序, 哀李生贊均文, 人心道心說, 八十七歲昏耄時作以下雜 著松窓謾話云, 論酒, 碁說, 胸次灑落如風欞月牖韻致淸曠如雪山氷壑 詩安孝子實記

卷 19
錦城正義錄甲編

卷 20
錦城正義錄乙編 : 招討使報軍功別紙(己未正月), 本州人士賀軍功狀, 討平後寄贈鄭將軍書, 討平碑銘, 次韻, 次韻
附錄 : 密詔, 謙山先生臨終日記(門人 鄭遇錫), 謙山先生遺稿發刊叙事(李敏璿 1946), 謙山先生遺稿刊所任員錄

참고문헌
김대현·기태완·박완식·이월영, 『20세기 호남 주요 한문 문집 해제』, 전남대학교출판부, 2007.
나천수, 「역주 ≪겸산유고≫-詩·書·日記類」,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신호열, 『雨田先生逸稿』, 문자향, 2003.
한영규, 「한말일제하 羅州儒林의 현실인식과 글쓰기-謙山 李炳壽(1855~1941)의 사례」, 『반교어문연구』22, 반교어문학회, 2007.
호남기록문화유산(http://www.memoryhonam.co.kr/) 검색일 : 2020. 9. 23.
기사목록
目錄
卷之一
卷之二
卷之三
卷之四
卷之五
卷之六
卷之七
卷之八
卷之九
卷之十
卷之十一
卷之十二
卷之十三
卷之十四
卷之十五
卷之十六
卷之十七
卷之十八
卷之十九
卷之二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