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표점
  • 국역/표점
  • 표점
  • 후석유고(後石遺稿)

후석유고(後石遺稿)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서-집부-별집류
· 내용분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작성주체 편저자 : 오준선(吳駿善)
· 간사년
· 간사지
· 형태사항 크기 : 31.9 X 21 / 木活字本 / 책수 : 12 / 반곽 : 16.9 X 22.4 / 有界 / 10行22字 / 한자 / 內向三葉花紋魚尾
· 소장처 현소장처 : 국립중앙도서관 / 원소장처 : 미상
정의

오준선(吳駿善, 1851~1931)의 시문집.

해제
■ 형태서지

권수제
後石遺稿
판심제
後石遺稿
간종
목활자본(木活字本)
간행년
1934年刊
권책
25권 12책
행자
10행 22자
어미
內向三葉花紋魚尾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전남대학교 도서관 등
선간집수



■ 저자

성명
오준선(吳駿善)
생년
1851(철종 2)
몰년
1931
덕행(德行)
후석(後石)
본관
나주(羅州)
특기사항
한말의 명망 높은 유학자로, 의병전(義兵傳) 등의 저술을 남김.


■ 가계도

吳相奎(증조부)



吳杰(조부)



吳恒圭(양부)
吳夏圭(친부)
順天 朴氏 基鉉의 女(양모)
錦城 羅氏(친모)



吳駿善(본인)
商山 金氏 興澤의 女(부인)



吳憲洙(아들)
金成中의 妻(딸)
金在禹의 妻(딸)
奇萬燮의 妻(딸)


■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철종
2
1851
신해
咸豊
1
1
12월 6일, 나주군 삼도면 도덕리 도림마을에서 태어나다.
철종
9
1858
무오
咸豊
8
8
족숙(族叔)인 임리재(臨履齋) 오태규(吳泰圭)에게 수학하다.
고종
5
1868
무진
同治
7
18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을 찾아 뵙고 제자가 되다.
고종
11
1874
갑술
同治
13
24
전재(全齋) 임헌회(任憲晦), 입재(立齋) 송근수(宋近洙)를 찾아가 뵙다.
고종
27
1890
경인
光緖
16
40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과 함께 매월 초하루에 논강(輪講)을 실시하다.
고종
31
1894
갑오
光緖
20
44
동지들과 향약(鄕約)을 행하다.
고종 광무
4
1900
경자
光緖
26
50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을 찾아가 뵙고 담론을 나누다. 이 여행을 담은 「서유록(西遊錄)」을 작성하다.
고종 광무
5
1901
신축
光緖
27
51
면암 최익현, 입재 송근수, 연재 송병선을 찾아가 뵙고 담론을 나누다. 이 여행을 담은 「서행록(西行錄)」을 작성하다.


1911
신해
宣統
3
61
은사금을 거절한 일로 고초를 겪다.


1917
정사


67
용진산(聳珍山)에 정사(精舍)를 완공하여, 9월에 용진정사로 옮겨 가다.


1931
신미


81
6월 21일, 졸하다.


1934
갑술


-
문집이 간행되다.


■ 생애
『후석유고(後石遺稿)』는 오준선(吳駿善; 1851~1931)의 시문집이다. 25권 12책 목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오준선의 자는 덕행(德行), 호는 후석(後石),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조선 전기의 무신이자 공신인 선조 휘 자치(自治)가 세조대에 이시애의 난을 토평한 공로로 나성군(羅城君)에 봉해지면서 본관을 나주(羅州)로 하였다. 선조 중에 조선 중기의 이름난 문신인 휘 희도(希道)가 있으며, 고조의 휘는 양원(養源), 증조의 휘는 상규(相奎), 조부의 휘는 걸(杰)이다.
아버지의 휘는 항규(恒圭), 어머니는 순천 박씨(順天 朴氏) 기현(基鉉)의 딸이다. 낳아주신 아버지의 휘는 하규(夏圭), 낳아주신 어머니는 금성 나씨(錦城 羅氏)이다. 오준선1851년 12월 6일에 나주군 삼도면 도덕리 도림마을(현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덕동 도림마을)에서 태어났으며, 백부인 금사(錦沙) 오항규(吳恒圭)에게 양자로 갔다.
8세 때인 1858년에 학문을 익히기 시작하였는데 총명하여 곧 문의(文義)를 깨우쳤다. 배우기 시작하고 8개월 만에 조고(祖考)의 상례를 당하였는데 축사(祝辭)를 읽어내 사람들이 기대를 하였다고 한다. 백부이자 양부인 금사(錦沙) 오항규(吳恒圭)오준선이 학문하는 방법을 익히자 족숙(族叔)인 임리재(臨履齋) 오태규(吳泰圭)에게 보내 공부하게 하였고, 오태규 아래에서 사서(四書), 『심경(心經)』, 『근사록(近思錄)』 등을 배웠다. 오준선오태규의 손자인 난와(難窩) 오계수(吳繼洙)와 함께 오태규 문하에서 10여년을 수학하였다.
18세 때인 1868년오준선오계수와 함께 장성 진원하사마을에서 강학하던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을 찾아뵙고 가르침을 청하였다. 기정진오준선에게 "너의 집안이 본디는 문학행의(文學行義)로 우리 남쪽에서 일컬어졌는데 근래에 적막하여 내가 심히 안타까워하였다. 세상에 어떤 일이 배움으로부터 시작되지 않겠느냐, 후진(後進)인 너희들은 더욱 노력하여 배워서 이 노인의 바라는 바를 저버리지 말아라."라고 당부하였고, 이후 오준선기정진이 세상을 떠날 때까지 10여년을 기정진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24세 때인 1874년에는 전재(全齋) 임헌회(任憲晦)를 찾아가 뵙고, 입재(立齋) 송근수(宋近洙)도 찾아가 배알하는 등 기정진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도 당대의 저명한 학자들을 찾아뵙고 학문적 영역을 넓혔다.
29세 때인 1879년에 스승인 노사 기정진이 세상을 떠나자, 만시(挽詩)를 지어 "봉산에 기운 해 처량하고 용수에 저녁바람 요동하네. 통곡함이 내 개인만이 아니니 슬픔 절실한 것 사림이 함께 하네.[山凄斜日 龍水撼夕風 痛哭非吾私 悲切士林同]"라며 처절한 슬픔을 표현하였다. 오준선기정진의 고제(高弟)로 추앙받았고, 죽을 때까지 그에 맞게 처신하였다.
40세 때인 1890년에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과 함께 매월 초하루에 논강(輪講)을 실시하여 교육하는 풍토를 만들었다. 또 송사 기우만과와 의논하기를 "건재(健齋) 김선생(金先生)은 학문과 절의로써 세상에 공이 있고, 호남은 그 은혜를 두루 입었는데 문집이 아직 간행되지 못한 것은 우리 유자들의 책임이오."라고 하고서, 그 문집 간행에 앞장섰다.
44세 때인 1894년에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오준선은 동지들과 향약(鄕約)을 행하여 지방민들이 동학에 들어가지 않게 하려고 노력하였다. 1895년에 을미사변이 일어나고 단발령이 시행되었고 이로 인해 1896년기우만장성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이때에도 오준선은 향약을 실시하여 풍속을 진작시키고자 노력하였다.
50세 때인 1900년에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을 찾아가 뵈었고,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을 찾아가 뵙고 담론을 나누었다. 이때 면암 최익현이 노사 기정진의 신도비문을 짓고 있었는데, 초고를 오준선에게 보여주며 정정(訂正)해 달라 하자 오준선이 몇 조목을 지적하였고 최익현은 즉시 개정(改定)하였다. 오준선은 이때의 여행을 담은 「서유록(西遊錄)」을 작성하였다. 51세 때인 1901년오준선은 다시 면암 최익현, 입재 송근수, 연재 송병선을 차례로 찾아뵙고 학술적 담론을 나누었다. 오준선은 이때에도 여행에서 돌아온 후 「서행록(西行錄)」을 작성하여, 여행의 과정을 남겼다.
55세 때인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오준선은 송사 기우만, 성재(省齋) 기삼연(奇參衍), 녹천(鹿川) 고광순(高光洵) 등과 함께 거의(擧義)를 모의하였다. 그러나 병든 노모의 봉양 때문에 참여하지 못하였고, 나중에 성재 기삼연, 녹천 고광순, 죽봉(竹峯) 김준(金準), 해산(海山) 전수용(全垂鏞)호남 의병장들에 대한 전(傳)을 지었다.
60세 때인 1910년에 한일합방이 되자, 오준선은 "내 장차 어디로 돌아가야 하는가? 오백 년 예의의 나라가 하루아침에 멸망하여 오랑캐의 강역이 되는가?"라고 하며 침식을 모두 폐하였다. 얼마 후 일제가 오준선에게 은사금(恩賜金)을 주려고 하자 거절하였다.
61세 때인 1911년 5월에 헌병들이 오준선을 병참(兵站)으로 끌고 가 은사금을 받으라고 강요하였다. 오준선은 "천황폐하라는 것은 나는 알지 못한다. 의리에 합당하지 않으면 한 톨 겨자씨라도 남에게서 받지 않는 것인데 하물며 불의(不義)한 돈이겠는가?"라고 하며 거절하였다. 6월에 다시 오준선장성 분대(分隊)로 끌려가서 10여 일 동안 회유와 협박을 받았으나 끝내 굴하지 않았다.
은사금 사건으로 고초를 겪은 후 오준선은 입산에 뜻을 정하고, 선조인 석문거사가 거처했던 석문(石門)으로 들어갔다. 원근의 많은 사우(士友)들이 석문으로 오준선을 따르자 오준선은 강학활동을 다시 시작하였고, 사람들이 많아지자 계를 만들고 강의회문(講義會文)의 뜻으로 '강회(講會)'라고 이름하였다. 이렇게 시작된 석문강회는 매년 3월 10일, 9월 10일에 도의(道義)로 모여서 회강(會講)을 하였다. 이 회강에서는 매번 '상읍례독규(相揖禮讀規)'를 암송하고 향약(鄕約)을 보급하고자 하였다. 석문정사에서의 강회는 1913년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오준선이 세상을 떠난 후에도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석문정사에서 지내는 동안 문생들이 많아지자, 동지 문생들은 오준선이 은거하기를 원하던 용진산(聳珍山)에 정사(精舍)를 짓는 일을 논의하였다. 1916년에 역사(役事)를 시작하여 1917년에 정사가 완성되었고, 67세인 오준선1917년 9월에 문인들을 데리고 용진정사로 옮겨갔다. 후에 세상을 떠나기 전 병으로 집에 돌아갈 때까지 오준선은 용진정사에 머물렀다. 용진정사로 옮긴 후에 제자들이 더욱 많아져 수용하기 힘들 정도였으며, 용진정사에서 해마다 시행되는 춘추설강습례(春秋設講習禮)에 항상 수백 인이 모였다고 한다.
68세 때인 1918년에 고종이 승하하자 오준선은 상복을 입고 문인들과 용진정사 앞 바위 위에서 통곡을 하였다. 다음해인 1919년 2월 고종의 인산일에는 문인들과 상경하여 궐문에 이르러 호곡(號哭)하고 돌아왔다. 후에 사람들이 오준선이 문인들과 함께 올라 곡을 하던 바위를 '읍궁(泣弓)'이라 불렀으며, 1934년에 문인 이선호(李璇鎬)가 그 바위에 크게 '읍궁암(泣弓巖)'이라고 새겼다.
오준선은 81세 때인 1931년 4월에 병을 얻어 집으로 돌아갔으며, 자신의 명정(銘旌)에 '조선유민(朝鮮遺民)'이라 써달라고 유언을 남기고, 같은 해 6월 21일에 세상을 떠났다. 부인은 상산 김씨(商山 金氏) 흥택(興澤)의 딸이다. 1남 3녀를 낳았는데, 아들은 헌수(憲洙)이고 딸들은 각각 김성중(金成中), 김재우(金成中), 기만섭(奇萬燮)과 결혼하였다.


■ 구성과 내용

『후석유고(後石遺稿)』는 1934년에 후손들과 문인들에 의해 간행되었으며, 서문과 발문은 없다.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전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는 부(賦) 1편, 시(詩) 127편, 권2에 시(詩) 197편, 권3에 서(書) 72편, 권4에 서(書) 82편, 권5에 서(書) 96편, 권6에 서(書) 51편, 권7에 잡저(雜著) 26편, 권8에 서(序) 36편, 권9에 서(序) 33편, 권10에 기(記) 58편, 권11에 기(記) 41편, 권12에 기(記) 57편, 권13에 발(跋) 42편, 권14에 명(銘) 3편, 잠(箴) 2편, 찬(贊) 2편, 사(辭) 5편, 혼서(婚書) 1편, 상량문(上梁文) 28편, 권15에 축문(祝文) 20편, 제문(祭文) 15편, 권16에 비(碑) 30편, 권17에 묘갈명(墓碣銘) 39편, 권18에 묘갈명(墓碣銘) 40편, 권19에 묘갈명(墓碣銘) 25편, 권20에 묘표(墓表) 37편, 권21에 묘표(墓表) 19편, 묘지명(墓誌銘) 8편, 권22에 행장(行狀) 23편, 권23에 행장(行狀) 26편, 권24에 행장(行狀) 20편, 유사(遺事) 1편, 전(傳) 5편, 권25에 부록(가장, 행장, 묘갈명, 묘지명, 묘표, 유사, 일기)이 수록되어 있다.
권1~2에는 부(賦) 1편과 시(詩) 324편이 수록되어 있다. 부는 「원유부정기송사우만겸기기식재재기보산우승(遠遊賦呈奇松沙宇萬兼寄奇植齋宰奇普山宇承)」 1편만이 있으며, 권1의 맨 첫 부분에 실려 있다. 시의 권별 수량은 권1 127편, 권2 197편이며, 교유한 사람들과의 차운시, 만시(輓詩)가 많다. 스승인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을 비롯하여, 오준선이 찾아가 뵈었던 송근수(宋近洙), 임헌회(任憲懷), 최익현(崔益鉉), 송병선(宋秉璿) 등 당대 저명한 유학자들, 오계수(吳繼洙), 기양연(奇陽衍), 나도규(羅燾圭), 이최선(李最善), 기우만(奇宇萬), 정재건(鄭在健), 김현옥(金顯玉), 이병수(李炳壽), 김영한(金寧漢), 기재(奇宰), 조의곤(趙毅坤), 양회갑(梁會甲), 박노술(朴魯述), 기동준(奇東準), 황철원(黃澈源)호남의 많은 인물들에 대한 시가 있다. 그 외에 "남은 생애 상심하지 않는 곳이 없는데 어찌하나 산하도 옛날과 지금이 달라졌네. 서슬 퍼런 검을 십 년 동안 아직 시험해보지 못하고 요금 삼첩은 누가 음률을 알아줄 건가.[殘生無處不傷心 可奈山河異昔今 霜劍十年猶未試 瑤琴三疊孰知音]"라고 읊은 「산거무료여제우서회(山居無聊與諸友書懷)」와 같은 술회시(述懷詩)도 있고, 경물에 대해 읊은 시도 있다.
권3~6에는 서간문 301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별 수량은 각각 72편, 82편, 96편, 51편이다. 「상노사기선생(上蘆沙奇先生)」, 「상최면암(上崔勉菴)」, 「상송연재(上宋淵齋)」 등 노사 기정진, 면암 최익현, 연재 송병선에게 올린 편지가 가장 먼저 수록되어 있다. 이외 동학농민운동과 관련하여 민종렬(閔鍾烈), 이도재(李道宰) 등에게 답한 편지, 오계수(吳繼洙), 기우만(奇宇萬), 정의림(鄭義林), 기재(奇宰), 기동준(奇東準)기정진의 문인 및 주위의 사람들과 주고받은 다양한 편지를 볼 수가 있다.
권7에는 잡저(雜著) 26편이 수록되어 있다. 잡저에는 1868년1871년기정진을 찾아 뵌 일을 기록한 「사상지알록(沙上摯謁錄)」, 1900년 9월 12일부터 35일 동안 최익현(崔益鉉), 송근수(宋近洙), 송병선(宋秉璿)송병순(宋秉珣) 형제 등을 뵙고 돌아온 일을 기록한 「서유록(西遊錄)」, 1901년 10월 10일부터 11월 4일까지 최익현(崔益鉉), 송근수(宋近洙), 송병선(宋秉璿)을 찾아가 뵙고 학술적 문답을 나눈 일을 기록한 「서행록(西行錄)」, 사서(四書)의 여러 구절을 풀이한 「경의문해(經義問解)」, 오준선이 은사금을 거절하다 고초를 겪은 일의 전말을 볼 수 있는 세 편의 글 「저본군수(抵本郡守)」, 「저삼거리헌병소(抵三巨里憲兵所)」, 「각금전말(却金顚末)」 등이 있다.
권8~9에는 서(序) 69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별 수량은 각각 36편, 33편이다. 조선 전기 김종서(金宗瑞) 장군에 대한 실기의 서문인 「절재실기서(節齋實記序)」, 향교의 춘추 향사를 위해 조직된 춘추계에 대해 기록한 「춘추계서(春秋契序)」, 나주 오씨의 족보 관련 서문인 「나주오씨파보서(羅州吳氏派譜序)」,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중시한 『존주록(尊周錄)』에 대한 서문인 「존주록서(尊周錄序)」 등 다양한 서문을 확인할 수 있다.
권10~12에는 기(記) 156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별 수량은 각각 58편, 41편, 57편이다.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가 은거하며 후학을 양성하던 곳인 순창 낙덕암에 대한 기문인 「낙덕암기(樂德巖記)」, 양팽손(梁彭孫)의 별업(別業)인 담양(潭陽) 소쇄원(瀟灑園)에 있는 광풍각에 대한 기문인 「광풍각기(光風閣記)」, 고경명(高敬命)을 모신 포충사 중수에 대한 기문인 「포충사중수기(褒忠祠重修記)」, 나주향교에서 1895년1896년에 강학한 것에 대해 쓴 기문인 「나주향교흥학기(羅州鄕校興學記)」 등이 있다. 금강산을 유람한 일을 기록한 「유금강산기(遊金剛山記)」, 1922년 7월 16일에 황룡강에서 배를 타고 노닌 일을 기록한 「임술추황룡강선유기(壬戌秋黃龍江船游記)」는 기행문학 작품이기도 하다.
권13에는 발(跋) 42편이 수록되어 있다. 오준선의 선조인 조선 중기의 문신 오희도(吳希道)의 시문을 모은 문집 『명곡집(明谷集)』에 대한 발문, 조선 후기의 문신인 박치도(朴致道)의 시문을 모은 문집 『검암집(黔巖集)』에 대한 발문과 같은 문집에 대한 발문, 「나주오씨족보발(羅州吳氏族譜跋)」과 같은 족보에 대한 발문을 확인할 수 있다.
권14에는 「후재명(後齋銘)」을 비롯한 명(銘) 3편, 「눌재잠(訥齋箴)」을 비롯한 잠(箴) 2편, 「송사기징사화상찬(松沙奇徵士畵像贊)」을 비롯한 찬(贊) 2편, 「과옥계사(過玉溪辭)」를 비롯한 사(辭) 5편, 혼서(婚書) 「손아근호혼서(孫兒根浩婚書)」 1편, 「계성사중수상량문(啓聖祠重修上樑文)」, 「경장각상량문(敬章閣上樑文)」을 비롯한 상량문(上梁文) 28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15에는 축문(祝文) 20편과 제문(祭文) 15편이 수록되어 있다. 축문에는 「사랑산기우제축문(獅狼山祈雨祭祝文)」과 같은 기우제 축문이 먼저 실려 있고, 「양평공영정이안고유문(襄平公影幀移安告由文)」과 같이 중대한 일을 치른 뒤에 그 내용을 적어서 사당이나 신명에게 알리는 글인 고유문이 많다. 제문은 15편으로 「제노사선생문(祭蘆沙先生文)」, 「제최면암선생문(祭崔勉菴先生文)」, 「제송연재선생문(祭宋淵齋先生文)」이 첫 머리에 실려 스승인 노사 기정진, 면암 최익현, 연재 송병선 등에 대한 제문을 먼저 확인할 수 있다.
권16에는 비(碑) 30편, 권17~19에는 묘갈명(墓碣銘) 104편, 권20~21에는 묘표(墓表) 56편, 권21 후반부에는 묘지명(墓誌銘) 8편이 수록되어 있다. 묘갈명의 권별 수량은 각각 39편, 40편, 25편이며, 묘표의 권별 수량은 각각 37편, 19편이다. 비문에는 「절부유인김씨실행비(節婦孺人金氏實行碑)」, 「효열부최씨비(孝烈婦崔氏碑)」와 같은 효열의 행적을 볼 수 있는 비문이 많다.
권22~24에는 행장(行狀) 69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별 수량은 각각 23편, 26편, 20편이다. 권24의 후반에는 자신을 낳아주신 친아버지 오하규(吳夏圭)에 대해 기록한 유사(遺事) 「본생고부군유사(本生考府君遺事)」 1편과 전(傳) 5편이 수록되어 있다. 행장 중 「병사증병조판서선공행장(兵使贈兵曹判書宣公行狀)」, 「병조참판문촌이공행장(兵曹參判文村李公行狀)」, 「순천부사묵재김공행장(順天府使黙齋金公行狀)」은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운 선거이(宣居怡), 이광선(李光先), 김언공(金彦恭)에 대한 것이며, 「난와오공계수행장(難窩吳公繼洙行狀)」, 「조선일민식재기공재행장(朝鮮逸民植齋奇公宰行狀)」, 「난파정공석진행장(蘭坡鄭公錫珍行狀)」은 한말의 유학자이자 의병인 오계수(吳繼洙), 기재(奇宰), 정석진(鄭錫珍)에 대한 것이다. 전 중에서 「김운강채숙전(金雲江采淑傳)」, 「정부인홍씨전(貞夫人洪氏傳)」은 효성이 지극한 인물과 열녀에 대한 것이고, 「의병장기삼연전(義兵將奇參衍傳)」, 「의병장고녹천광순전(義兵將高鹿泉光洵傳)」, 「의사김준전수용합전(義士金準全垂鏞合傳)」은 한말의 의병에 대한 것이다. 한말 호남의 대표적인 의병인 성재(省齋) 기삼연(奇參衍), 녹천(鹿川) 고광순(高光洵), 죽봉(竹峯) 김준(金準), 해산(海山) 전수용(全垂鏞)의 행적을 볼 수가 있다.
권25는 부록으로, 가장, 행장, 묘갈명, 묘지명, 묘표, 유사, 일기가 수록되어 있다. 가장(家狀)은 1931년에 조카 오동수(吳東洙)가 지은 것이고, 행장(行狀)은 1933년에 동문 고광선(高光善)이 지은 것이다. 묘갈명(墓碣銘)은 1934년김영한(金寧漢)이, 묘지명(墓誌銘)은 1934년기로선(奇老善)이 지은 것이다. 묘표(墓表)는 1934년정기(鄭琦)가 지은 것이며, 유사(遺事)는 문인인 양효묵(梁孝黙), 최윤로(崔潤魯)가 지은 것이다. 마지막에 수록된 「신미일기(辛未日記)」는 문인 양상하(梁相賀)가 지은 것으로, 1931년 6월 20일부터 7월 16일까지 오준선의 임종부터 삼우제(三虞祭)까지의 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세부목차

卷 1
賦 : 遠遊賦呈奇松沙宇萬兼寄奇植齋宰奇普山宇承
詩 : 謹次族祖上舍公(燧)古杏歌(幷小序), 歐鳥雀行, 愛蓮歌(幷小序), 魚山高仰呈柏下梁丈(相衛, 幷小序), 過從容堂, 遠別離詞憶奇南步(周鉉, 幷小序), 奉別關西金進士(龍鉉)楊斯文(基承), 到靑川謁楠谷宋相公(近洙), 拜楙菴宋先生墓, 淸州米原店夢拜先君, 拜呈鼓山任先生(憲晦), 謹次族叔(元圭)傳春齋韻三首(幷小序), 謹次奇校理(陽衍)農巢韻, 次族姪難窩(繼洙)三難韻三首(幷小序), 病中無聊敬次河西先生詩十韻呈難窩, 憶家弟允行(裕善), 挽族兄止谷公(甲善), 敬次朴承旨(昌壽)蘭石堂韻, 蘆沙奇先生挽, 謹次羅德巖(燾圭)送惠韻, 敬次梁校理(相器)係宴韻, 壽家君生朝, 挽李槐陰(奎永)五首, 次羅丈德巖韻, 下時海, 次吳氏永慕齋韻, 次朴道兼(廷奎)野隱韻, 感懷呈奇松沙三首, 和難窩見寄韻三首, 辛巳十二月二十九日卽先師終祥而爲雨水所阻未能躬趨聊吟一律以寓傷感之懷, 挽李上舍(最善)五首, 癸未除夜次李白紫極宮韻述懷, 除夕述志(幷小序), 挽同樞金公(錫粲)二首, 潭州歸路與柏下難窩松沙登松江亭次板上韻, 次眠字韻奉呈柏下追憶林西湖(基洪)三首, 記夢(幷小序), 述懷呈柏下丈二首, 挽德巖羅公四首, 金省菴(相琦)亭宋石雲(佐憲)聯枝遠枉數日晤語喜可知也此席不可無詩, 次雙溪樓板上韻, 挽金允和, 謹次先師湖上詞十二首寄梁柏下奇松沙, 寫懷, 奇松沙三山新築用武夷九曲韻侖余足之, 奉次三山樂府嘉卉十詠, 次李聖述(鐸兼)南坡亭韻, 次柳氏蓮塘韻, 次羅小柏(英集)錦陽齋韻, 挽蘭石朴承旨二首, 謹次晦翁臥龍菴韻寄題三山臥龍巖, 謹步晦翁卜居韻題三山龜巖, 盧致雲(鍾龍)以其尊大人聾巖所扁願豊亭詩要余索和忘拙題寄, 謹次鄭氏海上望祭韻(幷小序), 和柳春伯(寅奭)睡軒韻, 丁酉除夜述懷, 與外兄崔聖器(潤瑚)會話, 冬至夜石門會話, 次鄭氏湖山亭韻(幷小序), 次金氏醉歌亭韻, 追次西城志喜韻(幷小序), 過卞先生(成溫)壺巖草堂, 寄宿雙壺亭, 過冬柏亭, 挽柳普鄕(쫤根), 謹次族叔(升圭)聽一齋韻, 挽鄭貫一(道源)三首, 挽族叔松窩(禎圭), 上崔勉菴(益鉉), 上宋淵齋(秉璿, 庚子), 挽奇梧隱(琮鉉), 謹次羅進士(元錫)松石軒韻(幷小序), 金斯文(禹植)得奉於遠溪一面如舊相識回路倂陂到完山臨別口呼三首, 金溝途中, 拈松川集中韻, 敬次鳴玉軒雜詠十二絶, 龜洞與崔雲齋(永祚)共賦, 次金上舍(榮喆)晩睡堂韻, 挽羅士賓, 挽鄭江沙(在健), 次金應一(源中)迎狂亭韻, 聞山齋趙領府(秉世)處義感吟二首, 次金鳳于(永岐)哀桂庭閔上書(泳煥)韻二首, 章山齋小會, 與柳敬彬(與淵)共吟, 挽李監役(鳳朝), 謹次柏下見贈(幷小序), 不換亭憶林致瑞(漢圭, 幷小序), 挽金君(東燮), 挽奇雲陽(東觀), 和族弟如日(昇善)菊花吟, 壬寅九月觀察李公設鄕飮酒禮于光校屢以書邀余不敢終沙遂賦近體一律仰呈, 敬次益齋李先生眞幀自贊詩, 題鄭蘭坡(錫珍)碑各二首, 峴月之初與柏下會于不換亭拈韻未成而罷歸後柏下賦三首詩以寄余依次仰呈, 和林錦愚(相熙)明字韻, 記夢(幷小序), 次朴參奉(楨基)金剛韻, 贈別族孫君則(準根)歸昇平三絶(幷小序), 冬至夜無寐以冬至陽生春又來分韻得七絶詩呈立鳳于梧免兼簡竹坡, 志於齋與梁汝慶(相賀)唱和, 次尹公三(恒植)秋塘韻, 襄平公影幀移奉後感吟, 次金氏感古齋韻, 病中和難窩見贈, 次下天齋韻(幷小序), 歸洞與金豊五(顯玉)族弟瑞正(頑善)述懷, 上淵齋二首(辛丑), 自珍山到高山投宿村店, 次金春甫(在華)淸陰亭韻, 又次淸陰亭十詠, 懷吳參書(翔學), 永思齋除夜與族姪竹史(在洙)李石田(炳壽)共吟, 不換亭重陽會, 呈奇松沙六十一歲壽席, 次鄭氏龍塢亭板上韻, 謹次石泉金公 贈職後志感韻, 敬次志於齋韻, 次宋景琳(恩植)望華亭韻, 次柳國賓(永觀)回甲韻, 次韻寄題吳中一(文泳), 竹裏亭金君穉叔(堯明)崔生永文(潤魯)見顧共賦一絶, 次羅君(鍾燮)靜隱堂韻, 次文居士(圭政)日省齋韻(幷小序), 與林文玉(敦圭)唱和, 次李啓皓月坡韻, 白鴻善設其王大人重牢宴一律替賀

卷 2
詩 : 敬次寒圃齋李先生羅老島謫居韻, 金東江(寗漢)遙寄傳心梅韻侖余和之, 次陶靖節間居韻, 次鄭敬國(寅相)月潭韻, 奉呈松沙, 悅雲亭與奇植齋姜仲民(天秀)共賦, 朴寬述(勝徹)羅季述(漢明)以古意相尋呼韻共賦, 山居雜詠十一首, 與林錦愚相酬二首, 雪中梅, 寄柳道裕(厚烈)二首, 和難窩歎世作, 雪竹, 永思齋雅會, 和石田冬至吟, 朴君寬述經歲相對喜可知也紂然告別率爾書贈二絶, 挽梁柏下二首, 挽梁子仲(相冕), 挽崔勉菴二首, 挽宋淵齋二首, 挽奇白水(宇蒙)二首, 挽族叔(鉉圭), 挽鄭旭裕(海敦), 癸丑九月到石門壹賦八絶, 次李記注(鶴相)心鮮韻, 李松石(圭彩)林錦愚惠枉山門, 菊花, 山中送別(幷小序), 續賦七絶四首贈諸友, 次沈仲振(違杓)晩翠亭韻, 石門與諸生共賦三首, 次金陵文氏上谷祠壇享韻, 次金仲志(榮春)聽天堂韻, 與植齋石田會大明洞竹史庄, 贈別族孫義養(直敎, 幷小序), 贈魯悠南(愉鐸), 贈別白正叔(南重)二首, 次沈君(鍾大)壽親韻, 餞春日和諸生韻, 志於齋與李享仲(鍾宅)小話, 呈碧華山人(金成煥)行崑, 呈高弦窩(光善), 挽高尼石(濟喬), 挽高友石(恒柱)二首, 挽梁梧軒(逸永), 次金得壽(海容)湖隱亭韻, 送別宋海士(漢宗)三首, 次林公弼(魯圭)鼠爽樓韻, 次金校理(東洙)無如齋韻, 次李雲五(龍憲)梧山亭韻, 次金學士(鎭祐)錦樵韻, 次金議官(永鍾)南愚堂韻, 謁崔勉菴遺像, 次鄭參奉(榮源)大父老圃堂韻, 挽奇松沙, 丙辰至月往赴松沙哮禮沈君(鍾大)偕行歸賦所懷以寄因和其韻, 次崔正彦(圭鉉)夙夜齋韻, 次金氏映荷亭, 和贈成君(夏龍), 寄題金君(永采)翔于亭, 次金葦南(棕冀)送惠韻, 哭柳道裕三首, 次金泰一(容希)晩翠亭韻, 山居無聊與諸友書懷, 湧珍精舍原韻二首, 次金京華(珉煥)錦西韻, 次韻賀閔主事(泳珏)壽席, 和贈金景儒(珍鉉), 挽難窩翁四首, 挽朴道兼, 次陟西亭韻寄鄭參奉(海鎰), 趙氏湛樂齋韻, 千竿脩竹, 達德祠感吟(幷小序), 和金汝堂(燐基), 次松沙韻贈金君(栗寬哲寬)兄弟, 贈別沈南擧(翰求), 和鄭斯文(鍾玉)祝聖錄韻三首, 次梁汝禎(在慶)寒後亭韻, 高生(在鳳)讀中庸于德山幽菴作詩見志和韻理贈, 次曺公(敦坤)東塢亭韻, 次鄭成齋(遇享)侍中洞韻, 次枕相冕大人回甲韻, 奉贈梁元淑(會甲)二首(幷小序), 枕林石陰(魯述)三首, 次李參判(載亮)南綱亭韻, 贈別宋虞鏞始鏞從昆季, 贈鄭生美伯(懿衍)二首, 呈吳掌令(光洙), 次李明淑(啓琮)三山齋韻, 悼奇美中(世休)三首, 挽奇春潭(東準), 贈金生(容班), 次安君(紋村), 次鄭氏述先齋韻, 贈安善奎(哲魯), 悼宋虞鏞, 贈池君(쫤煥), 和贈金子善(堯元), 和贈魯璿杓王壽杓二首, 贈別鄭昌賢(雲灝, 幷小序), 次廉氏永思齋韻, 悼羅生聖均, 贈別金熙鍊柳鳳煥二君, 悼族孫直敎(幷小序), 次朱氏遠慕齋韻, 次鄭成老(遇享)成齋韻, 次柳氏雲湖亭韻, 贈別金陵金秀才(權永泰煥孔壽)二首, 贈宣生(楨奎), 贈金生(棕坤), 次晦翁晩步韻贈金生(龍鉉, 幷小序), 贈梁生明述(在道), 奇公吉(老善)示我以二絶詩把玩可喜走次以贈, 斷髮嶺望金剛, 靈源寺, 摩訶衍, 到高城, 自溫井向元山, 通川叢石亭, 到平壤, 松京懷古, 善竹校, 今年夏余自金剛而還洗生(翰永)守精舍不去其意可尙有詩慰我可無和, 次徐參奉(源玉)何人亭韻, 次鄭君(達會)三近堂韻(幷小序), 贈別林生(萬洙), 次金氏世孝閣韻, 次述事齋韻(幷小序), 和李伯心(啓性)寄來韻, 次愼君(濬晟)大明梅韻, 次文正晦(昌善)留贈韻, 贈別金鶴老(奭赫, 幷小序), 贈別安生永大(基成), 悼金文郁(堯周), 次李晦而(弘榮), 送別鄭子文(炳憲), 次勉菴文集刊所韻, 次鄭參奉(榮源)台湖亭韻, 次贈李君(敎昇), 次贈金復三(圭), 挽崔雲齋二首, 鄭生炳憲炳彦從昆季從余于聳珍山中相守數月講論之樂甚相得也二君以久離親側不禁魃岵之思促裝告別紂然書贈, 挽金省菴(幷小序), 贈申(性均)姜(敎)兩君, 次崔氏羊巖亭韻, 次曺京伯(殷煥)小山亭韻, 敬次二履齋韻, 挽李公(邦新), 次碧壺亭韻寄金蓮史(潭柱), 敬次葉成祠韻, 次李松石(憲秀)撫月亭韻, 挽金梅史(伯潭)三首, 挽吳掌令, 贈朴氷緖, 挽吳君(永大), 喜權君五(載奎)李致先(敎宇)遠訪, 族姪喆洙以東岡先祖遺稿繕寫之役來留쫤月將歸贈我以近體一律信筆以和, 送李生(鍾錫), 贈金童子(堯根), 挽尹潁陽(相權), 次金恒齋(純黙)滄浪臺韻, 贈李敬求(重權), 次黃景涵(派源)雲谷書舍韻, 贈別卞生(榮濩), 次林監役(在煥)春谷亭韻, 贈廉平叔(在均), 次丁學魯寒梅韻, 雨中山齋與白遂堂(樂奎)敍話, 次河東秀大人回甲韻, 酬宋君(宅會), 次高翊柱大人(濟紳)係辰韻, 次李氏樵隱亭韻, 贈奇生(舜敍), 謹次萬谷祠壇亭韻, 次李氏永春亭韻, 贈別朴二君(燦濟粲錫), 月下啼鵑, 慶興宗人(在英)跋涉三千餘里展謁先墓次及於, 余數夕對討花樹之情殆未쫤喩也歸賦所懷以寄鯖和仰呈, 述懷三首, 安生善奎(哲曾)設其大人壽席請余和韻, 次崔正三(禹鉉)回甲韻, 次徐參奉(台煥)撫松亭韻, 寄題金君翼(鳳煥)不日臺, 挽梁蕙坡(相鉉), 挽柳石松(昌秀), 次文氏蓮愚堂韻, 奉次愼敬儀(宗鳳)戰兢齋韻(幷小序), 次五鳳精舍寄林君(顯周), 贈金生季享(寧鎬), 次魯善之(炳岳)野隱韻(幷小序), 次梁天黙大夫人回甲韻, 次金顯局大人箕隱韻, 次車仁洙後溪韻, 次愼君(容晟)韻, 次鄭君(成燁)鶴亭韻

卷 3
書 : 上蘆沙奇先生, 上崔勉菴, 上宋淵齋(秉璿), 與尹晦山(泰元), 答閔招討(鍾烈), 答梁柏下(相衡), 答羅德巖(燾圭), 答李判書(道宰), 答安承旨(鍾和), 與吳重涵(繼洙), 答吳掌令(光洙), 與奇松沙(宇萬), 與鄭季方(義林), 與吳德初(門善), 與金允和(堯憲), 答外兄崔聖器(潤瑚, 與崔贊瑞(基龍), 答盧都正(在奎), 答吳伯度(甲쫤), 答梁永五(逸永), 與羅明淑(英巢), 與李聖述(鐸憲), 答崔正彦(翌鉉), 答盧進士(近壽), 答奇德三(周鉉), 答鄭聖魯(遇享), 答金平集(潭柱), 與奇性初(宇쫤), 答奇立夫(宰), 答高元汝(光善), 與高參奉(升花), 與崔進士(永卨), 答愼敬儀(宗鳳), 與李國瑞(熙容), 答朴仲和(采柱), 與李福一(炳壽), 答柳啓翼(昌秀), 答李章伯(憲秀), 答李熙鄕(敦植), 與奇國賓(東觀), 答曺而敬(錫休), 答柳德吾(碩永), 答鄭處仁(鏞訥), 答吳景遠(永奎), 答高養汝(弼柱), 答具德允(翼謀), 答民參奉(泳杓), 答李君和(錫宇), 答鄭參奉(海鎰), 答吳而敬(榮洙), 答金載華(在夏), 與柳國賓(行源), 與金定元(用中), 答崔汝正(相廷), 答宋進士(佐憲), 與奇松友(柏度), 答閔德賢(重植), 與魯明孝(愉鐸), 答姜仲民(天秀), 與崔錫胤(永祚), 答奇平仲(東準), 答梁汝禎(在慶), 答李景賢(彩圭), 答金炳叔(永彩), 與尹而見(相龍), 答閔侯(泳采), 答金性淑(堯薰), 答金士成(晩植), 答李校里(鍾文)

卷 4
書 : 答趙成汝(幸度), 答盧致雲(鍾龍), 答吳聖述(熙善), 答崔順明(榮台), 答白國明(由寅), 答金德文(純黙), 答吳潤德(昌洙), 答金鶴老(碩赫), 答李聖道(一相), 答林仁善(炳郁), 答金良汝(永采), 與金明克(烈), 答趙贊明(淇煥), 答崔正三(禹鉉), 與羅性彬(性洙), 答柳觀之(春淵), 答康和允(基泰), 答鄭仲賢(一燮), 答林文玉(敦圭), 答李享仲(鍾宅), 答金章叔(錫煥), 答孔道鄕(學源), 答鄭李善(成根), 與高道一(光洙), 答梁永斗(會石), 答林聖述(魯駿), 答李敬求(重權), 答鄭益三(大鉉), 答徐結城(載克), 答朴仲三(魯錫), 答卞晦叔(鍾燉), 答安敬一(京煥), 與奇國老(東奭), 答金學鄕(志學), 答奉衡中(洛淳), 答羅致九(相一), 答金君翼(鳳煥), 答鄭聖河(潾黙), 答金汝堂(燦基), 答李敬淑(莊勳), 答吳載華(在英), 答廉敬安(宅洙), 答李敬純(承穆), 答奇美仲(世休), 答金侯(性基), 答吳參書(翔學), 答申議官(瑢熙), 答朴京采(淇紋), 答梁俊賢(成黙), 答朴孺玉(琳相), 答金君明(堯協), 答白子行(景寅), 答朴景立(準基), 答金京華(珉煥), 答鄭成五(鍾玉), 答朴子彦(俊東), 答羅希文(度淳), 與金贊文(燉), 答朴德吾(道東), 答金景淑(禹鎭), 答金聲表(敏浩), 答宣燦明(性奎), 答崔永文(潤魯), 答李慶仲(慶儀), 答朴禹相(均夏), 答梁元常(在享), 答魯士遠(泳駿)

卷 5
書 : 答宋原孝(曾憲), 答鄭性之(燾洪), 答羅性行(炳觀), 答文正晦(昌善), 答沈正五(鍾大), 答許晦彦(燮), 答金奉賢(容勳), 答奇光國(世觀), 答金伯應(在鍾), 答白浩鄕(南發), 答奇子術(觀燮), 答李直夫(時衡), 答許恂明(炳), 答金景儒(珍鉉), 答梁行源(孝黙), 與金仲善(在禹), 答梁士衡(會寅), 答梁元淑(會甲), 答李仁彦(乙鎬), 答柳精天(星烈), 答文致仲(丞浩), 答辛源汝(東旭), 答曺德瑞(昌燁), 答李光述(承燁), 答柳貫一(庠烈), 答林奏彦(炳一), 答李(桓鎔), 答安仲述(鍾基), 答吳(秉南), 答李宇現(相皓), 答金學元(昌洙), 答郭德用(基永), 答南(鵬), 答愼準璿(容晟), 答朴峻華(魯烈), 答張處中(釋均), 答金淸一(喆洙), 答閔子直(泳燮), 答李炳淑(義升), 答金泰享(永烋), 答梁重涵(會澈), 答閔泰享(泳仁), 答宋榮浩, 答李(鍾煥), 答卞(鍾來), 答金周彦(錫棟), 答鄭允甫(允源), 答崔近術(仁宇), 答高(光純), 答李春哉(鶴宰), 答任良才(公淳), 答安文哉(圭福), 答宋(殷錫), 答鄭天翼(海鵬), 答姜性太(大基), 答金行韻(東璨), 答吳(海壽), 答金仁善(容涉), 容金執中(喆煥), 答朴(鎔相), 答金彦鄕(浚植), 答吳雲汝(龍根), 答曺(東湜),答丁君瑞(鳳泰), 答柳秉斗(在洙), 答文元之(貞鎬), 答羅性哉(聖均), 答朴寬述(勝徹), 答奇欽夫(老柏), 答尹化玉(璟赫), 答林(爀圭), 答李衡甫(璟鎬), 登吳箕範(洪根), 答金而習(時鎬), 答吳慶龍(武烈), 答朴升如(日圭), 答李斗永, 答李祺永, 答李尙薰, 答金吉中(鎔璇), 答文汝章(冕植), 答朱(寬植), 答馬英玉(相德), 答李聖尹(敎勳), 答鄭德鄕(休淙), 答安善奎(哲魯), 答徐基鉉(甲炫), 答崔(粹黙), 答丁(萬烈), 答金樓三(甲洙), 答朴鉉從(鍾瀚), 答金勝坤, 答金主事(箕粹), 答鄭休暢(別紙), 答金洪擧(在勖), 答柳鳳煥(在鳳)

卷 6
書 : 答奇公吉(老善), 答吳柱原(榮均), 答奇允明(堯錫), 答朴會周(英柱), 答白聖岡(鳳圭), 答崔允實(光奎), 答吳義養(直敎), 答朴聖居(榮洙), 答奇(元燮), 答安永大(基成), 答沈南擧(翰求), 答梁伯慶(時模), 與金(宇根), 答劉子敬(貞熙), 答高恭三(光寅), 答金文郁(堯周), 答曺武兼(文煥), 答李伯心(啓性), 答朴從賢(燦錫, 二), 答金季享(寧鎬), 答吳舜淑(孔烈), 答丁重車(炳斗), 答白(澯善), 答道東院儒, 答南康院儒, 答長淵祠儒生, 寄于憲洙, 答東洙姪, 答南洙姪, 寄兌洙姪, 答根浩孫

卷 7
雜著 : 沙上贄謁錄, 西遊錄, 西行錄, 經義問解, 狂山說, 保晩說贈李載春, 養晦說贈柳晦根(寅協), 持志說贈崔永文, 書贈高光寅, 贈別鄭美伯, 書贈沈南擧, 書贈林龍基, 李景晦字說, 書贈金永鈺, 書贈李善夫, 書贈吳炳鎰, 柳根重字敍, 三近說贈金正會, 贈郭基永, 農隱說, 書贈金堯元, 書贈白鴻善, 抵本郡守, 抵三巨里憲兵所, 却金顚末, 醉山說

卷 8
序 : 節齋實記序, 春秋契序, 逸軒遺稿序, 巾川集重刊序, 送尹晦山序, 十老祠實蹟序, 百花亭序, 松溪適菴二公實蹟序, 續修契序, 贈鄭統將(錫沙)序, 羅州吳氏派譜序, 許氏五賢實記序, 光山李氏族譜序, 鼠淸軒遺集序, 黙窩遺稿序, 錦陽遺稿序, 崔氏世孝實錄序, 完在亭詩軸序, 河南程氏族譜序, 贈高正齋(弼柱)序, 梧軒遺稿書, 呂氏家乘序, 贈吳厚鄕序, 思漢帖序, 贈鄭元卿(鉉馨)書, 善山柳氏族譜序, 贈奇公呂(老鼎)序, 心學源流序, 竹菊軒遺稿序, 贈梁君汝慶序, 閔友(泳珏)壽序, 河東鄭氏派譜序, 溪史詩稿序, 原從功臣曺公實記書, 扶陽帖序, 希菴遺稿序

卷 9
序 : 尊周錄序, 蘭石堂序, 送閔招討使序, 全州李氏派譜序, 莪谷遺稿序, 東谷遺稿序, 送李希璟歸鬱陵島序, 耽津崔氏世蹟序, 日奉遺稿序, 道尊契序, 贈奇允明序, 靑隱遺稿序, 驪陽陳氏派譜序, 簡禮纂要序, 管山遺稿序, 武陽院誌序, 觀善帖序, 贈梁致玉(琯黙)序, 贈朴二君(쫤采燦錫)序, 族弟彩善孝行事蹟序, 白巖堂遺稿序, 節婦金氏實錄序, 杏園序, 金伯剛(熙鍊)字序, 樵隱遺稿序, 直齋遺稿序, 杞溪兪氏家乘序, 贈白君聖岡序, 慶州金氏族譜序, 贈徐生(昌炫)序, 興學錄序, 濟州梁氏族譜重刊序, 贈崔生(老奎)序

卷 10
記 : 樂德巖記, 光風閣記, 邀月亭重修記, 褒忠祠重修記, 羅州鄕校興學記, 石串亭重建記, 永思齋重建記, 花巖祠重建記, 萬谷祠壇享記, 咸平鄕校重修記, 間亭重建記, 曺氏永慕齋記, 華山三先生壇享記, 樂安文廟重奉事實記, 柏山齋記, 追遠齋重修記, 慕忠齋記, 鄭氏忠孝閣記, 鳳山齋記, 朱氏遠慕齋記, 襄平公影幀移安事實記, 集成祠事實記, 貞敬夫人金氏築壇事實記, 二虛亭宋文節公封墓竪碑事實記, 永追齋記, 訓練院奉事高公事實記, 翠薇亭重建記, 孝子草堂鄭公旌閭重修記, 永式齋記, 李氏永春亭記, 節孝婦金氏實蹟記, 金孝子旌閭記, 慕賢出義帖記, 翠柏堂記, 孝烈婦趙氏旌閭記, 晩睡堂後記, 遊金剛山記, 壬戌秋黃龍江船游記, 大匏亭後記, 觀海堂記, 醉隱亭後記, 晩翠亭後記, 孝節婦鄭氏實行記, 景濂堂記, 東湖亭記, 觀稼亭記, 石泉堂記, 臨履亭記, 農隱亭記, 永昭齋記, 靜隱堂記, 寒淸堂記, 湖隱記, 潔豊齋記, 魯齋記, 勿老齋後記, 遲松記, 明菴小記

卷 11
記 : 竹圃記, 柏下記, 錦樵記, 西湖記, 覽輝齋記, 守愚記, 錦陽齋記, 小草記, 錦愚記, 松下記, 三山記, 農汕精舍記, 金孝子旌閭記, 晩愧堂記, 梅湖記, 溫泉精舍記, 悠南齋記, 後西記, 晩翠堂記, 竹軒記, 平菴記, 恒齋記, 樵隱記, 松塢亭記, 復齋記, 琴隱記, 醒菴記, 晦山記, 北涯亭重建記, 步西亭記, 永慕齋記, 烈婦金氏旌閭記, 紫荊亭記, 後海記, 野隱記, 愼菴記, 必守齋記, 秋桂記, 瑞隱齋記, 屛隱記, 月溪小記

卷 12
記 : 晩遂齋記, 光山金氏四世五旌移建記, 感古齋記, 金海金氏三綱實蹟記, 永慕齋記, 百忍亭記, 松隱堂後記, 秋塘記, 述先齋記, 慕齋記, 歸厚齋記, 柏菴記, 蘭坡精舍記, 醉石記, 拙窩小記, 澹圃記, 靖山齋後記, 素安齋記, 頑石小記, 長春齋記, 健菴記, 南石記, 樵隱記, 石溪亭記, 省菴記, 說樂齋記, 宜春軒記, 白菴記, 南齋記, 誠齋記, 篤志軒記, 晦雲記, 岐隱亭記, 雙碧亭記, 黙菴記, 孝子 贈敎官黃公 旌閭記, 月坡小記, 永言齋記, 警齋記, 竹坡記, 六行門記, 鶴皐記, 聽流亭記, 不日臺記, 景陽齋記, 杜齋記, 筠山亭記, 漁樵菴記, 敬愼齋記, 箕隱記, 雙翠亭重修記, 蕉軒後記, 台湖亭記, 金在客孝行實蹟記, 松皐記, 孝亭記, 檀坡亭記

卷 13
跋 : 明谷集跋, 黔巖集跋, 書尊好錄後, 梅軒世稿跋, 書陽山金先生實錄後, 題蓮江遺稿後, 碧梧亭遺稿跋, 跋秋潭遺稿, 石門集跋, 書金石泉 贈職時志感韻後, 淵泉世稿跋, 息蔭堂遺稿跋, 書宋忠襄公遺事後, 隋城崔氏族譜跋, 書平潭林氏三綱遺墟碑後, 書湖洛尺牘後, 二禮輯要跋, 題達德祠會講錄, 性菴家藏跋, 錦坡遺稿跋, 題梁孝黙大夫人河東鄭氏孝烈傳後, 蓮泉遺稿跋, 書崔基正孝行實蹟後, 羅州吳氏族譜跋, 書節婦梁氏實蹟後, 書洪承俊廬墓事實後, 林氏家史跋, 書曺司果事蹟後, 書金君基三孝行實績, 裵炳儀孝行事蹟後, 書烈婦朴氏傳後, 書孝子李公狀軸後, 竹軒集跋, 書松石軒金公行蹟後, 光山鄭氏世稿跋, 書淑人張氏烈孝實蹟後, 書姜樂軒孝行實記後, 書孝烈婦淑人張氏實蹟後, 題梁公篤狀後, 書淑夫人開城玉氏孝烈行實後, 書朴孝子實蹟後

卷 14
銘 : 後齋銘, 梁成黙聾啞齋銘, 月松齋銘
箴 : 訥齋箴, 蒙齋箴
贊 : 松沙奇徵士書像贊, 戰兢齋書像贊
辭 : 過玉溪辭, 鄭公五字辭, 奇欽夫祝辭, 勉學辭贈朴正術(勝彦), 梁君聖則(周黙)哀辭
婚書 : 孫兒根浩婚書
上梁文 : 啓聖祠重修上梁文, 敬章閣上梁文, 集成祠上梁文, 高山祠上梁文, 忠賢閣上梁文, 晩稼亭上梁文, 李氏柏山齋上梁文, 家姪新居上梁文, 晩睡堂上梁文, 三湖亭上梁文, 敬慕齋上梁文, 德陽書院上梁文, 博山講堂上梁文, 尹氏三賢堂上梁文, 寶山精舍上梁文, 晩翠亭上梁文, 追遠齋上梁文, 錦沙亭上梁文, 野隱堂上梁文, 道南齋上梁文, 永言齋上梁文, 景烈祠講堂上梁文, 朴氏竹軒亭上梁文, 海隱亭上梁文, 七頭亭上梁文, 向陽齋上梁文, 孝烈碑閣上梁文, 歲漢齋上梁文

卷 15
祝文 : 獅狼山祈雨祭祝文, 襄平公影幀移安告由文, 十二代祖騙貞敬夫人金氏設壇祝文, 月井院墟設壇告由文, 德陽院寒圃齋李先生奉安告由文, 華山壇享祝文, 松村祠奉安剛齋宋先生文, 忠賢壇西山柳先生壇享告由文, 忠賢壇丁享祝文, 德陽書院配享都事吳公文, 松村祠奉安餘力齋張公文, 綾州三忠壇開基祝文, 景烈祠奉安告由文, 高山祠華湖金公配享告由文, 高山祠松沙奇公配享告由文, 祭從孫灑根文
碑 : 高麗寶文閣直提學諫議大夫 贈崇祿大夫議政府左贊成門下侍中文節公雲巖車先生(原쫤)神道碑銘, 勉菴崔先生(益鉉)謫廬遺墟碑, 退菴趙公遺墟碑, 徵士漁隱金先生(善貞)遺墟碑, 贈通政大夫兵曹參議行禦侮將軍訓鍊院正宋公(大立)殉節遺墟碑, 斗洞書院遺墟碑, 智島縣三綱碑, 同福吳氏三忠實蹟碑, 商山金氏世葬碑, 金海金氏三忠碑, 全州李氏三綱碑, 晉州鄭氏世孝碑, 芝菴吳公(仁赫)實蹟碑, 光山金公(箕仁)孝行碑

卷 16
碑 : 坡平尹氏南下世居碑, 孝子思慕齋裴公(奎漢)事實碑, 朴孝子(知獻)實蹟碑, 通政大夫丁公(致煌)追慕碑, 茂松海里坊頌惠碑, 節婦孺人金氏實行碑, 孝烈婦崔氏碑, 孺人徐氏孝烈碑, 金海金氏孝烈實蹟碑, 小松居士金公(聖洙)實行碑, 孺人姜氏烈行碑, 咸平李氏世葬碑, 金海金氏三綱實蹟碑銘, 池孝子(國原)遺墟碑, 孝子朱公(光竺)孝婦金氏實蹟碑銘, 烈婦 贈淑夫人脚氏殉節碑

卷 17
墓碣銘 : 遯菴先生梁公(山海)墓碣銘, 退隱姜公(渙)墓碣銘, 石壕先生羅公(海龜)墓碣銘, 成均生員不貧亭洪公(閤)墓碣銘, 副司勇柳公(夢壁)墓碣銘, 西山金公(銀戴)墓碣銘, 高麗兵部尙書瑞隱全公(新民)墓碣銘, 參判丁公(儀孫)墓碣銘, 司諫院正言李公(伯源)墓碣銘, 成均生員靖節齋丁公(有倫)墓碣銘, 判凌事金公(屢)墓碣銘, 縣監宋公(仲儒)墓碣銘, 慕軒徐公(有齡)墓碣銘, 月隱朴公(英建)墓碣銘, 主薄瑞菴李公(完根)墓碣銘, 贈參議柳公(濂)墓碣銘, 僉正徐公(弘渡)墓碣銘, 宣略將軍訓練院僉正宋公(弘賢)墓碣銘, 遠慕姜公(翰周)墓碣銘, 樵隱處士朴公(萬奇)墓碣銘, 白巖裴公(瑀)墓碣銘, 龍岡縣令金公(漢老)墓碣銘, 滄浪處士廉公墓碣銘, 東山處士尹公(斗敏)墓碣銘, 嘉善大夫兵曹參判李公(國昌)墓碣銘, 訓練院奉事朴公(泰彬)墓碣銘, 梅隱尹公(勝敏)墓碣銘, 明菴盧公(益海)墓碣銘, 同樞鄭公(繕)墓碣銘, 芝谷鄭公(大鳴)墓碣銘, 贈 戶曹參判李公(廷七)墓碣銘, 贈持平孔公(奇禹)墓碣銘, 崇禎逸士文公(大南)墓碣銘, 主薄朴公(慶祿)墓碣銘, 孝子 贈敎官趙公(銀柱)墓碣銘, 謗湖處士李公(文龍)墓碣銘, 長水縣監金公(德精)墓碣銘, 麥圃朴公(亨坤)墓碣銘, 贈吏曹參判柳公(寅鎭)墓碣銘

卷 18
墓碣銘 : 成均館典籍愛日菴李公(彦烈)墓碣銘, 司憲府掌令牟公墓碣銘, 龍溪李公(時挺)墓碣銘, 岑鼎子尹公(濟民)墓碣銘, 通政大夫僉和中樞府事裴公(尙珉)墓碣銘, 自隱沈公(台圭)墓碣銘, 三達吳公(泰吉)墓碣銘, 雲溪徐公(震明)墓碣銘, 菊史朴公(慶源)墓碣銘, 敏齋張公(鳳翼)墓碣銘, 平菴處士卞公(東彬)墓碣銘, 學生吳公(相文)墓碣銘, 海隱丁公(汝錫)墓碣銘, 贈通政大夫池公(永奎)墓碣銘, 醉隱李公(集升)墓碣銘, 晩懷處士金公(鳴漢)墓碣銘, 志晦齋金公(濟華)墓碣銘, 贈左承旨金公(基周)墓碣銘, 同樞金公(在平)墓碣銘, 晩隱鄭公(鍾燮)墓碣銘, 贈通訓大夫掌樂院正安公(福旭)墓碣銘, 松憲金公墓碣銘, 學生丁公(鉉德)墓碣銘, 懶圃許公(棨國)墓碣銘, 荷齋朴公(源仁)墓碣銘, 贈承旨李公(斗憲)墓碣銘, 贈參判池公(敬生)墓碣銘, 白巖孫公(永烈)墓碣銘, 守軒李公(以潗)墓碣銘, 贈監察朴公(値運)墓碣銘, 贈嘉善大夫戶曹參判金公(昌權)墓碣銘, 省孝處士金公(麟斗)墓碣銘, 蓮堂金公(龍龜)墓碣銘, 瑞軒居士安君(圭容)墓碣銘, 令人金氏墓碣銘, 茅菴白公(永文)墓碣銘, 感察李公(容泰)墓碣銘, 溪隱處士白公(雲熙)墓碣銘, 贈參判梁公(長湖)墓碣銘, 醉石羅公(星瑞)墓碣銘

卷 19
墓碣銘 : 義禁府都事槐陰先生李公(奎永)墓碣銘, 晩悔齋梁公(錫輔)墓碣銘, 石心林公(基豊)墓碣銘, 白水軒奇公(宇蒙)墓碣銘, 謗山居士李公(升煥)墓碣銘, 懶齋柳公(秉璉)墓碣銘, 晩齋梁公(璿黙)墓碣銘, 錦陽林公(瀅相)墓碣銘, 春坡魏公(瓘植)墓碣銘, 方壺居士卞公(淑圭)墓碣銘, 司憲府監察鄭公(洙賢)墓碣銘, 老圃朴公(瑾容)墓碣銘, 嶺松堂朴公(守一)墓碣銘, 贈監察朴公(東龜)墓碣銘, 學生松公(鎭必)墓碣銘, 觀湖裴公(有度)墓碣銘, 嘉善大夫金公(玉澈)墓碣銘, 同知敦寧府事金公(有洙)墓碣銘, 竹溪朴公(時震)墓碣銘, 右部將宋公墓碣銘, 晩求窩宋公(東岳)墓碣銘, 贈司僕寺正全公(光遠)墓碣銘, 令人沈氏墓碣銘, 孺人咸陽吳氏墓碣銘, 菊軒朴公墓碣銘

卷 20
墓表 : 司宰令金公(法生)墓表, 英陵參奉崔公(瀛)壹睛, 戶曹參議金公(世禎)墓表, 明陵參奉丁公(宗輔)墓表, 英陵參奉柳公(漢徵)墓表, 羞卞堂金公(廷望)墓表, 參奉徐公(義孫)墓表, 慮運處士金公(應筌)墓表, 進士墅松亭吳公(處大)墓表, 監察鄭公(穫)墓表, 永言堂姜公(師周)墓表, 心圃柳公(挺洌)墓表, 率性齋柳公墓表, 同知中樞李公(命仁)墓表, 孝敬堂裴公(潤璜)墓表, 龜龍齋松公(廷賢)墓表, 五宜齋洪公(在淵)墓表, 德隱朴公(慶春)墓表, 石溪姜公(瀅煥)墓表, 柏隱李公(鎭榮)墓表, 贈通政大夫左承旨盧公(萬龍)墓表, 農隱金公(信學)墓表, 樵菴金公(弘彦)墓表, 同知中樞府事申(命東)墓表, 老谷丁公(秀人)墓表, 通德郞梁公(贊永)墓表, 贈參判柳公(興喆)墓表, 贈通政大夫池公(崙澤)墓表, 嘉善大夫工曹參判徐公(震元)墓表, 孺人竹山安氏墓表, 贈兵曹判書廉公(槽)墓表, 宣敎郞金公(承趙)碑陰記, 贈左承旨朴公墓表, 贈左通禮柳汀金公(重炳)墓表, 贈嘉善大夫禮曹參判柳公(基連)墓表, 通德郞全公(東慕)墓表, 贈淑人金氏墓表

卷 21
墓表 ; 雲陽奇(東觀)墓表, 贈參判崔公(承翰)墓表, 內村居士宋公(鎭英)墓表, 通政大夫龍塗衛副護軍吳公(廷驥)墓表, 夙夜齋崔公(圭鉉)墓表, 月潭林公(基春)墓表, 月圃亭徐公(洧晟)墓表, 二弟(泳善)墓表, 孝子吳公(震儀)墓表, 孝子幽菴金公(昌煥)墓表, 學生羅君(炳斗)墓表, 愚石林君晦璟甫(魯龜)墓表, 參奉金君(璟燮)墓表, 思軒金公(淡愚)墓表, 孺人柳氏墓表, 嘉善大夫鄭公(桔)墓表, 東德齋鄭公(占)墓表, 贈參議池公(應漢)墓表, 爐峯李公(奎成)墓表
墓誌銘 : 道菴鄭公(仁洪)墓誌銘, 孝子通政大夫僉和中樞府事羅公(慶佑)墓誌銘, 懶齋鄭公(潭明)墓誌銘, 謙窩梁公(瀚觀)墓誌銘, 贈嘉善大夫防守軒金公(在祿)墓誌銘, 聾菴吳公(禧相)墓誌銘, 通政大夫延日縣監奇公(夏雲)墓誌銘, 寢郞晩守亭金公(永泰)墓誌銘

卷 22
行狀 : 兵使 贈兵曹判書宣公(居怡)行狀, 兵曹參判文村李公(光先)行狀, 新峯先生李公(馥達)行狀, 順天府使黙齋公行狀, 七迂李公(潤聖)行狀), 晩悔朴公(徹鎭)行狀, 兵曹參議吳公(相昱)行狀, 碧梧亭李公(宗善)行狀, 海隱金公(鎖孫)行狀, 松齋吳公(克禮)行狀, 錦西柳公(希榮)行狀, 龍塗衛副護軍公吳(以健)行狀, 居居齋吳公(大勳)行狀, 逍遙齋鄭公(仁光)行狀, 老癡李公(養馥)行狀, 學生吳公(相一)行狀, 雲菴馬公(應井)行狀, 晩圃李公(馨福)行狀, 戰兢齋愼公(宗淚)行狀, 謙齋成公(敎쫤)行狀, 山亞文處士(圭性)行狀, 性菴文公(濟權)行狀, 梅沙愼君(濬成)行狀

卷 23
行狀 : 六世祖守拙軒府君行錄, 龍湖處士羅公(斗甲)行狀, 竹軒吳公(時鼎)行狀, 司憲府掌令立齋先生文公(쫤淵)行狀, 海隱吳公(昌煥)行狀, 臨履堂金公(興龍)行狀, 成均進士晩懷辛公(有章)行狀, 拙齋盧公(淳聖)行狀, 蘆隱處士朴公(聖濤)行狀, 孝子吳公(達周)行狀, 拙窩金公(錫粲)行狀, 虛菴李公(文榮)行錄, 黙軒李公(圭生)行狀, 參奉徐公(慶潤)行狀, 蘭岡處士羅公(鏶)行狀, 李友宋公(來奎)行狀, 學生朴公(駿秀)行狀, 先府君行錄, 野菴辛公行狀, 贈敦寧都正金公(濟明)行狀, 學生李公(敦鶴)行狀, 溪菴吳公(鼎善)行狀, 愚居安公(學淳)行狀, 節婦孺人梁氏行錄, 沙湖朴公(源鄕)行狀, 希菴梁公(在慶)行狀

卷 24
行狀 : 柏下先生梁公(相衡)行狀, 難窩吳公(繼洙)行狀, 守愚崔公(潤瑚)行狀, 朝鮮逸民植齋奇公(宰)行狀, 石松處士柳公(昌秀)行狀, 梅史李公(馝善)行狀, 蘭坡鄭公(錫珍)行狀, 浪菴金公(有一)行狀, 石初居士金君(永琦)行狀, 龜隱趙公(秉文)行狀, 山谷居士崔君行錄, 東廬處士金君(九鉉)行狀, 華亭朴君(宗鉉)行狀, 孺人李氏行錄, 贈敎官趙公(有昌)行狀, 學生金公(達洙)行狀, 黙隱鄭公(錫河)行狀, 碧窩金公(箕爀)行狀, 贈吏曹參判李公(敏謙)行狀, 左副承旨晩成亭卞公(炯圭)行狀
遺事 : 本生考府君遺事
傳 : 金雲江(采淑)傳, 貞夫人洪氏傳, 義兵將奇參衍傳, 義兵將高鹿泉(光洵)傳, 義士金準金垂鏞合傳

卷 25
附錄 : 家狀(姪子 東洙 撰), 行狀(高光善 撰), 墓碣銘, 墓誌銘, 墓表, 遺事, 日記

참고문헌
김대현·기태완·박완식·이월영, 『20세기 호남 주요 한문 문집 해제』, 전남대학교출판부, 2007.
장선희, 「근대전환기 유학자 後石 吳駿善의 활동양상에 대한 고찰」, 『한국시가문화연구』31, 한국시가문화학회, 2013.
호남기록문화유산(http://www.memoryhonam.co.kr/) 검색일 : 2020. 10. 11.
기사목록
目錄
卷之一
卷之二
卷之三
卷之四
卷之五
卷之六
卷之七
卷之八
卷之九
卷之十
卷之十一
卷之十二
卷之十三
卷之十四
卷之十五
卷之十六
卷之十七
卷之十八
卷之十九
卷之二十
卷之二十一
卷之二十二
卷之二十三
卷之二十四
卷之二十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