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표점
  • 국역/표점
  • 표점
  • 난와유고(難窩遺稿)

난와유고(難窩遺稿)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서-집부-별집류
· 내용분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작성주체 편저자 : 오계수(吳繼洙)
· 간사년
· 간사지
· 형태사항 크기 : 30.1 X 19.7 / 木活字本 / 책수 : 8 / 반곽 : 15.1 X 23.1 / 有界 / 10行21字 / 한자 / 內向三葉花紋魚尾
· 소장처 현소장처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원소장처 : 미상
정의

오계수(吳繼洙, 1843∼1915)의 시문집.

해제
■ 형태서지

권수제
難窩遺稿
판심제
難窩遺稿
간종
목활자본(木活字本)
간행년
미상, 1916년跋
권책
17권 8책
행자
10행 21자
어미
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
소장처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선간집수



■ 저자

성명
오계수(吳繼洙)
생년
1843년(헌종 9)
몰년
1915년
중함(重涵)
난와(難窩)
본관
나주(羅州)
특기사항
기우만과 함께 을미년, 을사년 의병활동을 했음.


■ 가계도

吳淑珪
進士






吳偃
中郎將






吳穎達
益山郡事






吳愼
吏參, 錦城君






吳自治
兵曹參判, 襄平公






吳世勳
府使, 左贊成






吳謜
府尹, 參議






吳彦彪
參奉






吳希一
樂正






吳以久
左承旨






吳孝錫






吳大亨
進士






吳洙源






高祖 吳正相






曾祖 吳榮昊






祖 吳德基






吳甲善






羅州鄭氏
鄭時爀의 女






吳桂秀





吳根厚


長田李氏
李奎彦의 女















鄭寅岳

















李炳軾

















林贊圭

















崔潤德
洪州宋氏
宋洛賢의 女






■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헌종
9
1843
癸卯
道光
23
1
8월 13일 나주 도림리에서 태어났다
철종
2
1851
辛亥
咸豐
1
8
臨履齋 吳泰圭에게서 수학하였다.
철종
10
1859
己未
咸豐
9
16
長田李氏 李奎彦의 딸과 혼인하였다.
고종
7
1870
庚午
同治
1
27
蘆沙 奇正鎭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고종
10
1873
癸酉
同治
12
31
어머니의 상을 당하였다.
고종
16
1879
己卯
光緖
5
37
아버지의 상을 당하였다.
고종
31
1894
甲午
光緖
20
52
招討使) 閔種烈의 동학운동에 관한 방략에 답하다.
고종
32
1895
乙未
光緖
21
53
송사 기우만과 함께 을미의병에 참가하다.
제국
9
1905
乙巳
光武
9
63
聳珍山 서쪽 기슭에서 은거를 결심하다.○송사 기우만과 함께 창의하고 항일활동에 참가하다.


1910
庚戌
宣統
2
68
경술국치를 당하여 세상에 뜻을 끊고 은거하다


1911
辛亥
宣統
3
69
5월 恩賜金 받지 않은 일로 장성 헌병대에 끌려가 십여 일간 옥고를 치르다.


1912
壬子


70
永思齋에 들어가 은거하며 후학들을 가르치다.


1915
己卯


73
3월 1일 향년 73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 ○ 도림리 帝堂山에서 장사지내다.


1916
丙辰



吳駿善·吳禎善·吳在洙 등 문인에 의해 문집이 간행되다.(吳在洙의 跋



■ 생애
『난와유고(難窩遺稿)』는 오계수(吳繼洙 : 1843∼1915)의 시문집이다. 17권 8책 목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오계수의 자는 중함(重涵), 호는 난와(難窩),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시조는 고려 때 진사였던 휘 숙규(淑珪)로 세조 때 적개공신(敵愾功臣)으로 병조참의(兵曹參議)를 지낸 휘 자치(自治), 선조 때 한성부서윤(漢城府庶尹)을 지낸 휘 원(謜), 병자·정묘 양란에 참전하고 충의위(忠義衛)까지 지내다 북벌이 좌절되자 귀향하여 후진양성을 했던 대명처사(大明處士)로 불렸던 생로당(生老堂) 휘 효석(孝錫) 등이 그의 선조이다. 우의정을 지낸 금양군(錦陽君) 휘 겸(謙)의 아우 휘 의 후손들이 나주로 내려와 살면서 세거하였다. 고조의 휘는 정상(正相), 증조의 휘는 영호(榮昊), 조부의 휘는 덕기(德基)이다.
아버지의 휘는 갑선(甲善)이고, 어머니는 나주정씨(羅州鄭氏)로 시혁(時爀)의 딸이다. 아버지 휘 갑선은 호가 지곡(止谷)이며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문인으로 임리재(臨履齋) 휘 태규(泰圭)의 소생이나 종숙부의 양자로 들어가 종사(宗事)를 이었다. 오계수1843년(헌종 9) 8월 13일 나주 도림리(현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동)에서 태어났다. 8세 때 공부를 시작하여 조부인 임리재(臨履齋) 휘 태규(泰圭)에게 배웠는데 매우 총명하여 "필시 이 아이는 우리 가문을 흥성하게 할 크게 될 아이다[必是兒也 昌吾門甫成童]"라고 했다. 일찍이 선조 생로당 휘 효석이 은거했던 대명동(大明洞) 소재 영사재(永思齋)에 들어가 공부하였다. 오계수는 가문을 위한 계책으로 공령(功令: 科文)공부를 계속하고 있었는데, 부친이 훈계하기를 "학자는 마땅히 실지(實地)에 마음을 써야 하거늘 과업은 겉껍질일 뿐이다. 입양현친(立揚顯親)이 절로 그 도(道)가 있으니, 모름지기 사문장덕(斯文長德)에 종사(從事)하여 나아갈 길을 헤매지 않은 후에야 성인(成人)이라 할 수 있다[學者 當用心實地 如科業乃外耳 立揚顯親 自有其道 須從事於斯文長德 不迷趨嚮 而後可以成人矣]"라고 하였다. 이에 과업을 접고 아버지의 가르침을 따라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그 때 나이가 27세였다.
노사의 훈회(訓誨)를 이어서 권권복응(眷眷服膺)하며 전심을 다해 정진하고 돌아와 서신으로 질의하니 노사가 직접 편지를 써 "공자께서 '어려운 일을 먼저하고 보답을 뒤에 얻는다'고 말하지 않았느냐. 보답을 뒤에 하여 스스로 얻은 연후라야 진실로 얻은 것이니, 주공이 어찌 우리를 속였겠는가." 이 한 구절로 책려(策勵)한다면 얻지 못할까 근심하지 않을 것이니 힘쓰고 힘쓰라.[聖人不云先難而後獲乎 後獲而自獲然後 是眞實獲 周公豈欺我哉 但以此一句策勵則不患無所得 勉之勉之]" 이에 오계수는 이 가르침을 받아 「삼난시(三難韻)」 2수를 지어 노사에게 올리고 노사 또한 답시 1수를 지어 화답하였다. 노사의 손자 송사 기우만이 "삼난"의 뜻을 미루어 "난와(難窩)라고 편액을 써주고 또 「난와기(難窩記)」를 지었다. 이때부터 세간의 사람들이 난와공(難窩公)이라고 칭하기 시작하였다. 후에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도 「난와기(難窩記)」를 지어 그를 추후(推詡)하고, 동문인 덕암(德巖) 나도규(羅燾圭) 또한 기문을 지어주었다.
30세 되던 해에 목사 김병우(金炳遇)가 향교에서 강학할 유사를 뽑는데 으뜸이 되었다. 31세 되던 해인 1873년에 어머니의 상을 당하고 37세 되던 해인 1879년에 아버지의 상을 당하였다. 1894년 갑오 동학운동이 일어났을 때 초절사(招討使) 민종렬(閔種烈)오계수에게 방략(方略)을 물었는데, 지리(地利)와 인화(人和)로 답변하였고, 평정된 뒤에는 거괴(巨魁)만 처단하고 나머지 농민들을 귀화시켜 유신(維新)케 하면 백성들이 부월(斧鉞)보다 더 위압을 당할 것이라고 조언하니 민종렬이 그의 말대로 하였다. 그 다음해인 1895년 봄에 용진산(聳珍山) 서쪽 기슭에 작은 모옥(茅屋)을 짓고 '서벽(棲碧)'이라고 편액을 걸고 기문과 시를 짓고 은거하였다. 그러나 그해 8월 20일 을미사변이 일어나고 단발령이 내려지자, 송사가 의병을 일으켜 각 읍에 창의(倡義)하고 나주에 이르니 오계수도 즉시 나주로 가서 합류하였다. 또한 고종에 상소를 올려 나라를 바로 세우기를 읍소하였으며 「호가행(浩歌行」, 「狂歌行」 2편을 지어 비분강개함을 나타내었다.
또한 1905년 을사조약 때에도 송사와 함께 창의하여 김준(金準)전수용(全垂鏞)을 도와 항일운동을 하였다. 그러나 1910년 경술국치를 맞이하여 나라가 망하자 비분하며 세상에 뜻을 끊고 은거하였다. 경술국치를 당한 이듬해인 1911년 5월에 은사금(恩賜金) 받지 않은 일로 장성 헌병대에 끌려가 십여 일간 옥에 갇히는 고초를 당하였으나 굴하지 않았다. 1912년부터는 영사재(永思齋)에 들어가 남은 생을 독서만 하며 살기로 결심하였는데 많은 학자들이 그의 뒤를 따랐다. 1915년 3월 1일 향년 73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 도림리 제당산(帝堂山)에서 장사 지내고 문인들에 의해 도림사(道林祠)에 제향되었다. 부인은 장전이씨(長田李氏)로 이규언(李奎彦)의 딸과 홍주송씨(洪州宋氏) 송낙현(宋洛賢)의 딸이다. 아들은 근후(根厚), 딸은 정인악(鄭寅岳), 이병식(李炳軾), 임찬규(林贊圭), 최윤덕(崔潤德)에게 출가하였다.


■ 구성과 내용
『난와유고(難窩遺稿)』는 1916년 그의 문인들인 오준선(吳駿善)·오정선(吳禎善)·오재수(吳在洙)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17권 8책 목활자본이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오재수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전남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 되어있다. 권1부터 권4에는 시 473수가 실려 있고, 권5는 소(疏) 2편, 서(書) 23편 권 6에는 서(書) 51편, 권7에는 기(記) 79편, 권8에는 서(序) 59편, 권9에는 발(跋) 22편, 권10에는 행장(行狀) 18편, 권11에는 행장(行狀) 16편, 전(傳) 7편, 권12에는 묘갈명(墓碣銘) 18편, 권13에는 묘갈명(墓碣銘) 4편, 묘표(墓表) 27편, 권14에는 비명(碑銘) 19편이 실려 있고, 권15에는 잡저(雜著)로 논(論) 2편, 설(說) 7편, 잠(箴) 2편, 명(銘) 1편, 혼서(婚書) 2편, 표전(表箋) 2편, 제문(祭文) 9편, 축문(祝文) 7편, 권16은 상량문(上樑文) 27편이 실려 있으며, 권17은 부록으로 「난와기(難窩記)」 3편, 행장, 묘갈명, 제문, 각금실기(却金實記)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1~4는 시집인데 권1에는 375수, 권2에는 96수, 권3에는 80수, 권4에는 160수가 실려 있다. 대체로 「기선악(幾善惡)」, 「태극(太極)」, 송사에게 보낸 「삼난시(三難韻)」등과 같은 유가의 도학에 관한 시나, 「정송심석(呈宋心石)」, 「증최광규이계림(贈崔光奎李啓林)」 같은 동문이나 스승 등과 같은 교유인에게 보내거나 화답하는 시들이 많으며, 이들의 거처에 들러 쓴 누정 및 기행시들도 많다. 이외에도 수연시나 만시 종류도 많이 보인다. 특히 주목할 것은 난세에 비분하는 우국충정을 노래한 시들인데, 을사조약 때 자결한 민영환정몽주(鄭夢周)에 비유하여 쓴 「문민계정영환충혈화죽감제(聞閔桂庭泳煥忠血化竹感題)」 2수나, 을미사변, 을사조약, 경술국치 등을 거치면서 비분강개함을 나타냈던 「호가행(浩歌行)」과 「광가행(狂歌行)」, 을사조약 이후 의거하여 순국한 고광순(高光淳), 기삼연(奇參衍), 김준(金準)을 추모한 시인 「만고록천(挽高鹿川)」, 「만기성재(挽奇省齋)」, 「애김준(哀金準)」, 경술국치 후 음독자결한 황현(黃玹)의 「절필시(絶筆詩)」에 차운한 「차황매천현절필시(次黃梅泉鉉絶筆詩)」, 그리고 1911년 5월 은사금을 받지 않은 이유로 장성 헌병대에 끌려가 10여 일 동안 옥사를 했던 때 심경과 절개를 밝힌「상부음(孀婦吟)」 등이 그것이다.
권5에는 소(疏) 2편과 서(書) 23편, 권6에는 서(書) 51편이 실려 있는데, 소는 선조인 명곡(明谷) 오희도(吳希道)의 인조반정 모의와 문과급제를 사유로 시호를 청하는 소인 「명곡공청시소(明谷公請諡疏)」와 1905년 을사늑약을 당하여 권신을 내쫓고 중신을 임명하여 조정의 위신을 높이고 폐단을 바로잡고 병폐를 제거하며 금광을 봉쇄하여 어질고 의로운 정사를 청하는 소인 「의소(擬疏)」가 있으며, 서(書)는 기정진(奇正鎭), 최익현(崔益鉉), 송근수(宋近洙), 송병선(宋秉璿), 김병우(金炳愚), 조병택(趙炳宅), 윤태원(尹泰元), 민종렬(閔種烈), 이병문(이병문), 박사과(朴司果), 이봉조(李鳳朝), 이최선(李最善), 이규형(李奎亨), 나도규(羅燾圭), 정재규(鄭載圭), 송철헌(宋哲憲), 최영조(崔永祚) 등에게 보낸 편지인데, 대체로 스승인 기우만에게는 도학이나 경학에 대한 질의가 많고, 최익현, 송근수, 송병선 등에게는 묘문이나, 서문을 부탁한 것이 많다. 민종렬에게는 향약의 시행에 대한 것이나 동학과 관련한 치사의 내용이 담겨있는 편지가 있다. 또한 장성 헌병분대장과 삼거리 헌병대장에게 은사금을 받을 수 없다는 내용의 편지도 있다.
권7에는 기(記) 79편이 있는데, 대체로 「대은재기(大隱齋記)」, 「강로재기(講魯齋記)」, 「돈학재기(敦學齋記)」, 「만취정기(晩翠亭記)」와 같은 동문이나 유생들의 서실이나 누정 등을 방문한 기문들이 다수이며, 「처사김공실기(處士金公實記)」, 「유생김씨효열기(孺人金氏孝烈記)」와 같은 인물에 대한 기문도 있다. 특히 첫 번째 기문은 노사선생을 배알한 뒤의 그 가르침을 적은 「알노사선생후추기(謁蘆沙先生後追記)」이다. 권8에는 서(序) 59편으로 대체로 파보, 족보, 가첩, 유고, 실록 등에 쓴 서문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9에는 역시 유집, 유고, 행적 등에 쓴 발문 22편이 수록되어있다. 권10과 권 11에는 행장이 각각 18편과 16편이 실려 있고 권 11에는 전(傳) 7편, 권12에는 묘갈명(墓碣銘) 18편, 권13에는 묘갈명(墓碣銘) 4편, 묘표(墓表) 27편, 권14에는 비명(碑銘) 19편이 있는데, 대체로 부친, 조부 등 집안사람이나, 교유하던 인물들의 부탁으로 쓴 것들이 다수이다.
권 15에는 잡저로 논(論) 2편, 설(說) 7편, 잠(箴) 2편, 명(銘) 1편, 혼서(婚書) 2편, 표전(表箋) 2편, 제문(祭文) 9편, 축문(祝文) 7편 수록되어있다. 특히 논과 설에는 오계수의 사상이 잘 드러나 있는데, 「정명분립기강론(正名分立紀綱論)」은 나라를 다스리는 것에는 명분을 바로하고 기강을 세우는 것이 근본이니, 임금이 이 근본 세움을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기심성설(理氣心性說)」,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 「심체답심서해설(心體答心字解說)」 등에서는 이기설에 대한 저술로 이와 기가 선후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이는 본성이고 기는 기형(器形)이므로 둘은 겉과 안처럼 한 몸에 같이 존재하는 '불리부잡(不離不雜)'한 것이라는 일물론(一物論)을 주장했던 오계서의 사상이 드러나 있다. 이외에도 자신의 호를 설명하는 「난와명(難窩銘)」, 아들이나 딸 등 집안의 혼인 시 썼던 혼서 및 표전, 교유했던 인물들을 기리는 제문 등이 실려 있다. 권16에는 상량문(上樑文) 27편이 실려 있는데, 집안뿐 아니라 다른 문중의 사당, 및 효자, 효열, 유현 등의 사당 및 사우에 썼던 상량문들이 다수이다. 권17은 최익현, 나도규, 기우만이 쓴 「난와기(難窩記」 3편을 비롯하여, 오준선이 쓴 행장, 기우만이 쓴 묘갈명, 아들 오근후가 쓴 「각금실기(却金實記)」 등이 있다. 발문은 1916년 족제 오재수가 썼는데 오계수가 타계한 이듬해 문인 오정선 등이 유집을 만들고 발문을 요청해 와서 썼다고 되어있으며, 시와 문이 평담온아(平淡溫雅)하여 세속에 휩쓸리지 않고 옛것에 빠지지도 않았다[所著詩若文 率皆平淡溫雅 不靡於俗 不泥於古]"고 평가하였다.

세부목차

卷1
詩 : 太極, 窮達, 耕讀, 感物偶成, 客至, 處世, 春日書懷, 夏日卽事, 秋齋獨坐, 偶吟, 戒兒讀書, 寫字, 存心, 主敬, 誠敬, 言戒, 酒戒, 色戒, 祭先, 睦宗, 養親, 事君, 交朋, 閒居偶題, 傷時, 三難韻, 附蘆沙先生次韻, 附勉菴先生次韻, 幾善惡, 上蘆沙先生, 畏省堂次韻, 上勉菴先生, 次宋相國保晩齋韻, 上淵齋先生, 呈宋心石, 呈奇松沙, 附次松沙, 次晦翁韻呈松沙, 附次松沙, 次李菊圃寄惠, 謝呈松沙, 次宋海士韻, 贈柳道有, 次後石韻贈尹秋塘, 四時吟, 四友吟, 端陽日永思齋感題, 翌日拈歸字, 夢見後石族叔, 雨中懷竹史族弟, 憶次孫顯烈, 感題, 偶成, 謝竹史送酒, 待族孫振烈殷烈, 書懷, 贈崔光奎李啓林, 晩菊, 見玉秫成實憶龍甲, 永思齋雅會, 月岳路中, 淸夜懷故人, 客室書懷, 無題, 贈別雲齋畏軒, 次鄭在弼薇齋韻, 澹對軒講會夕感題, 次後石韻呈松沙, 呈梁栢下, 四梅堂次寒水齋韻, 謹次金侯寄接儒韻, 聖廟重修後賀雨田, 謹次雨田最高亭韻, 謝雨田送節扇, 奉別雨田歸楊州, 謹次梁校理回甲韻, 次金 監役象外亭韻, 山齋書懷, 次藏溪鳴玉軒雜詠, 冬夜書懷, 詠晩菊, 冬至夜, 棲碧庵自怡四絶, 附次尹晦山泰元, 次三山九曲, 次三山嘉卉十絶, 三山唱酬, 附次松沙, 聯句三十韻, 玉潭呼韻, 又步潭字贈雲齋, 壇享後追賦呈松沙, 謹次晩圃韻呈進士, 尹侯晦山莅任本州, 晦山生朝奉賀, 奉別晦山歸鰲山, 謹呈閔侯芝潭種烈, 長篇十五韻呈芝潭, 削平東匪後賀芝潭, 次芝翁西域志喜韻, 和芝潭夢得褒題韻, 又次芝翁詠松菊, 奉 別芝潭歸潭州, 過襄平公舊址有感, 龍馬巖, 觀魚臺, 歸路拈鄕字, 呈石田李上舍最善, 呈李石井允善, 贈李菊圃, 次箕山倅鄭雲齋韻, 次奇校理栢石堂韻, 次朴承旨蘭石堂韻, 謹次蘭石贈別韻, 附原韻蘭石, 謹呈蘭石, 族祖夏圭回甲韻, 觀圃隱集敬題一絶, 謹呈竹圃朴司諫, 謹次竹圃山亭卽事, 次永嘉亭韻, 次遊山亭韻, 謹次廳一齋韻, 伏次家嚴止谷韻, 伏讀御製贈崔參判, 謹次宋一賢湖隱韻, 次鄭國豊習靜齋韻, 贈別錦樵族兄光洙, 謹次志於齋原韻, 次朴珍東草蘆韻, 次石泉贈職時感題, 次八烈婦望祭韻, 次廳一齋回婚禮韻, 林相輔回甲, 次林西湖壽宴韻, 和栢下晬席韻

卷2
詩 : 家嚴回甲生朝志喜, 叔父回甲晬席, 敬次叔父晩谷原韻, 次柳魯岡晬宴韻, 次奇進士大人回甲, 次白進士慈闈生朝, 梅湖羅英漢回甲, 族祖士圭壽席, 族叔致善回甲, 奇琮鉉壽席, 六十一晬日志感, 附松沙次韻, 賀呈松沙回甲壽席, 和金進士回甲韻, 次錦樵族兄壽宴韻, 和杏隱族侄壽宴韻, 寄李小山回甲晬席, 羅德巖搬移後, 謹呈林西湖, 謹次李敦亨櫟窩韻, 次鄭敏采田荷韻, 次李鐸憲南坡亭韻, 和金國衡鼎溪韻, 三山與松沙同賦, 用寄松沙韻呈石叔, 題羅氏新洞齋, 次羅進士松石軒韻, 和愚堂李敦晟寄惠, 敬次勉菴唱和詩, 敬次淵齋楚山講會, 吟呈栢下, 行年四十吟, 自笑, 春日偶成, 修譜後宗會拈韻, 次金龍洙勉强齋韻, 和金琮鉉放浪子韻, 襄平公忌祀病未參, 謹次安氏四賢閣韻, 次五柳精舍韻, 不換亭醉題, 謹次勉庵贈父琴軒, 秋夜山齋次晦翁韻, 蘆沙先生挽, 淵齋先生挽, 勉庵先生挽, 溪樓逢一二知己, 次矗石樓原韻, 閔桂庭忠血化竹, 淵齋從容就義感題, 錦山從容堂, 浩歌行, 狂歌行, 和栢下歎世 吟, 次朴純汝韻, 次勉庵集刊所韻, 挽松坡林公邁鎭, 挽西湖林公近鎭, 挽長田李公鵬善, 挽石田李公, 朴侯奎東挽, 挽德巖羅公, 挽校理梁公, 挽蘭石朴公, 挽槐陰李都事奎亨, 挽竹圃朴公, 挽族祖泰基, 挽羅都正相守, 挽錦沙族祖, 輓李樂圃集誠, 挽丹谷柳斗鉉, 輓族祖夏圭, 挽溪亭羅有煥, 輓梁蕙坡相鉉, 輓黑石奇琮鉉, 輓朴草廬珍東, 挽李承喆, 輓李菊圃, 挽族祖士圭, 輓李石井, 挽柳紹巖寅元, 輓族祖信圭, 挽族祖相英, 挽朴農窩鼎鉉, 挽鄭伯仁碩朝, 輓梁子重, 挽春齋族祖, 輓族祖鉉圭, 挽族叔貞善, 輓李龍石後九, 梁栢下, 輓奇白水, 挽林小草魯源, 挽崔竹坡羽鉉, 梁聖則哀辭, 挽鄭海南錫珍

卷3
詩 : 次李晩睡送惠韻, 次金士洋橘隱韻, 呈石叔, 追和石叔韻, 輓羅士集, 輓族叔尙善, 次臥龍巖韻呈松沙, 次龜巖韻, 輓族叔裕善, 輓族祖蠊, 輓金君五, 六言, 書贈族侄亨根, 冬夜偶成, 立春日次晦翁韻, 三五七言, 棲碧庵有懷卽題, 讀白湖集, 送友, 久雨, 流頭日同友人登樓, 謹次傳春齋韻, 三山齋二絶, 送梁重吾歸長里, 聞蟬聲懷松沙, 次尹敬庵韻, 次顧菴韻, 次鄭洙賢師竹軒韻, 次尹恒植秋塘韻, 月岳書室拈寒字, 又步前韻贈鄭昌裕, 次松沙韻贈鄭錫珍, 除夕書懷, 老病吟, 示學徒, 次栢下韻呈李石井, 淸湖路中, 過息營亭, 和枕泉齋韻 和栢下箕山記行, 敬次勉庵河南講會, 四月十七日, 復用前韻, 次愚翁寄惠, 栢下以相思一夜, 次東塢四十歲韻, 三三與友人步月, 看書有感, 聞鶯蟬戱題, 蕩詞, 夢見孺人宋氏, 檜軒公墓碑改竪時, 元堂與栢下拈韻, 明谷共西湖同賦, 次文孝子蓮愚堂韻, 次鄭海朝回甲韻, 攬古感懷, 次三恨堂韻, 次李珪憲滄洲亭韻, 次樂山齋韻, 次宋海士止齋韻, 次李國瑞雙石軒韻, 次夙夜齋韻, 次崔羽鉉竹坡韻, 次梁逸永梧軒韻, 次李上舍農谷韻, 次李恒榮釣隱韻, 次金永澤回甲, 次柳東根回甲韻, 次奇周鉉回甲, 次羅英集回甲韻, 志於齋開硯, 參奉公墓碑重竪時, 從弟士涵回甲韻, 次筠陰慈闈生朝, 次林昌瑞回甲韻, 次白蓮書室韻, 和黙和堂原韻, 次鄭海南蘭坡韻, 和具有述小梅韻, 山齋書懷, 梧山歌贈別梁老人, 次雙石堂韻, 次朴應瑞歲寒亭, 次柳春伯睡堂韻, 贈別鄭貫一, 次願豊亭韻, 次竹翠亭韻, 次朴處仁松塢韻, 和奇應三云庵韻, 和林溪窩晬宴韻, 追和黙軒原韻, 次洪聖奎筠軒韻, 挽林敎官炳澤, 朴琳相大人回甲, 次栢下述懷, 次蘭石韻, 月岳書齋, 次栢下中字韻, 蘭石堂雅會, 聯句, 再聯, 登永慕亭, 登伏巖寺, 贈李石田炳壽, 和栢下立春吟, 謹呈德巖, 吟呈德巖, 筠陰第二胤, 趙錦史留多寶寺, 齋居偶吟, 庸心字韻呈石叔, 夏和心字呈春齋, 謹次先集韻呈栢下, 和呈進士族丈, 松沙贈馬檟木, 族叔準善回甲韻, 和李注書心鮮韻, 和李注書所東韻, 次鄭道源東谷韻

卷4.
詩 : 五聖, 三賢, 張良, 望洛城, 贈金炳淑, 贈別趙聖勳, 過凰山敬題, 夢拜勉菴先生, 從嫂李氏回甲韻, 奉別松沙悵然追題, 大雨, 雨後聞楸齋消息, 見邱木稀疎悵題, 觀漲, 次黃梅泉絶筆詩, 效東岳先生朝暮吟, 訪草湖朴汶容, 贈金昌文, 次不換亭原韻, 雨後見月, 落齒, 釣翁, 四街滯中偶成, 又次梅竹先生韻, 鰲山滯中偶成, 過卵山亭, 次奇植齋寄惠韻, 和奇進士東準, 和金炳淑, 壬子冬至夜偶吟, 除夕, 元日, 人日客至, 穀日, 閒居書懷示諸益, 春夜偶吟, 淸和登珍岳, 索居窮巷, 石門唱酬, 移題高巖永補齋, 自章山到永思齋, 次栢下年字韻, 又步前韻贈林錦愚, 不換亭詩會, 章山丙舍雅會, 石門滯雨, 族弟德三家敍懷, 次栢下元日韻, 林錦愚家雅會, 林龜瑞示余求和, 與春齋作綿城行, 臨別呼韻, 留淸湖拈秋字, 石門詩會, 梁花隱家雅會, 臨別呼韻, 完營歸路, 四街途中, 與柏下海岡同賦, 永思齋雅集, 與小栢拈韻, 別小栢無聯獨吟, 挽族祖埉, 贈金剛上人三雨, 次錦陽齋韻, 族弟竹史家雅會, 次里仁亭原韻, 奇國賓家雅會, 菊秋作堂村行, 謹次永慕堂韻, 宋進士金省庵同賦, 又用前韻別二友, 次族弟利顯回甲韻, 臘月十九日夜, 雙溪樓次圃隱韻, 茅廬獨坐, 志於齋除夜, 元日又次唐律, 歎老, 上元夕志於齋會話, 和秋山主人, 次李松石回甲韻, 次靜梧回甲韻, 和隱居自樂韻, 不換亭雅會, 次族叔致遠回甲韻, 次箕山諸賢, 次松窩回甲韻, 次金氏醉歌亭韻, 次李重權敦學齋韻, 吳博士惠枉共賦, 次范光國時隱堂韻, 次麓室韻, 次栢下述懷韻, 次三和齋唱酬, 和永思齋酬唱, 次李後明回甲韻, 和石叔寄惠遲字, 孀婦吟, 次李學淳五生字, 難字與錦愚, 敬次靜庵集藏板閣, 次奉彩圭醉亭韻, 次金永彩斗南韻, 次歸樂齋韻, 和晩晦堂韻, 次上谷祠壇享韻, 敬題金氏感古齋, 次梅松堂原韻, 謹次勿欺齋重修韻, 次月潭幽居韻, 次永思亭原韻, 次後溪韻, 次李國瑞回甲, 鄭致裕惠枉拈韻, 次族弟亮洙回甲, 襄平公影幀移奉時, 奉賀後石回甲韻, 謹次老圃堂原韻, 次沙軒金公寶硯韻, 次箕隱韻, 追和歸瀕齋, 次宋處安龍庵韻, 和石叔除夕, 次沈仲振晩翠亭韻 和金景儒書示, 別尹雅哲成泰丞, 次忠烈祠雪筍, 和止可堂韻, 多寶寺贈智峯僧, 登山口號, 逢秋感懷, 傷時, 悼亡兒龍甲, 次梅庵原韻, 次族弟權洙石峯韻, 次鄭承八釣隱韻, 次閔侯重修校宮, 次金剛亭韻, 和挹爽亭韻, 次十景, 次金得壽湖隱亭, 贈李生啓林, 題羅氏磻溪亭, 自笑, 贈鄭生寅岳, 追和洪錦川回甲, 臨履齋示諸生, 贈別友人, 贈李春坡, 挽族祖馥圭, 次朴廷奎野隱韻, 謹次永慕齋原韻, 和鄭斗鉉回甲韻, 送族弟榮洙, 次百花亭韻, 挽高鹿川, 挽奇省齋, 哀金準, 寄全垂鏞

卷5
疏 : 明谷公請謚疏, 擬疏
書 : 上蘆沙先生(五), 附答書(二), 別紙, 上勉庵崔先生(五), 附答書(三), 上立齋宋相國(三), 附答書(二), 上淵齋宋先生(五), 附答書(二), 謝金侯雨田炳愚(二), 上趙侯秉老, 謝尹侯晦山泰元(三), 與箕山倅鄭雲齋, 上閔侯芝潭種烈(五), 附答書, 別紙, 上觀察使李公秉文, 謝觀察使金公世基, 謝竹圃朴司諫淇種(三), 與李監役鳳朝, 候莘湖金監役祿休, 候石田李上舍(二), 候槐陰李都事奎亨

卷6
書 : 候心石宋公秉珣(二), 答羅德巖燾圭(三), 與梁栢下相衡(三), 與李石井允善
(二), 與李菊圃承爀, 澹對軒護喪所慰狀, 與奇松沙宇萬(與十二答三), 與宋約齋炳華, 與閔進士在天, 與奇白水宇蒙, 與鄭艾山載圭, 與新安刊所僉賢, 答盧進士近壽, 慰尹判書容植別紙, 答雲史族丈鎭龍, 答錦樵族兄光洙, 與金進士永喆, 答鄭斯文海翊, 與崔雲齋永祚, 慰崔雲齋別紙, 慰宋進士哲憲別紙, 慰崔上舍永窩別紙, 與趙錦史景熙, 與凰山碑役所僉賢, 與朴魯源, 答鄭生寅岳, 與崔順明(二), 答林國珍, 答羅正彬(二), 與朴生春求, 答鄭經源, 答沈鍾大, 答家兒根厚, 與竹史族弟在洙, 與筠陰族叔禎善, 答林伯元, 答金炳淑, 與崔生光奎(與一答一), 答朴舜相, 與崔生潤德, 答朴琳相, 答范善中, 答朴秉相, 答趙澈鏞, 答朴秉夏, 答范瑗植, 與族叔文善, 答朴淇禹, 答本郡守朴潤東, 示長城憲兵分隊長, 示三巨里憲兵所長

卷7
記 : 謁蘆沙先生後追記, 棲碧庵記, 恭友齋記, 栢下記, 竹圃記, 蓮塘記, 孝子崔公旌閭記, 烈婦金氏旌閭追記, 崇禎通寶記, 聽一齋記, 紹巖記, 竹史記, 筠陰記, 西湖記, 小草記, 晦窩記, 止齋記, 玉蓮亭記, 石峯記, 八賢亭移建記, 睡堂記, 守愚堂記, 筠軒記, 素安齋記, 石峯記, 斗南記, 永慕齋記, 永補齋記, 晩晦堂記, 暎荷亭記, 詠四亭記, 孺人文氏孝烈記, 洗心堂記, 咏花亭記, 愚堂記, 澹齋記, 甘泉記, 秋塘記, 大隱齋記, 效菴記, 性庵記, 醉石後記, 琴隱記, 晦山記, 一心齋記, 慕軒金公實記, 講魯齋記, 守齋後記, 思厚齋記, 晩翠亭記, 敦學齋記, 夢心軒記, 後溪記, 歸樂軒記, 野隱記, 永貽堂記, 存齋記, 白蓮書室記, 後松記, 息巖記, 錦西記, 師竹軒記, 孝子徐公實記, 永慕齋記, 蘭會軒記, 孝烈婦金氏實記, 竹林堂記, 遠巖記, 學孔齋記, 令人李氏烈行實記, 孝婦金氏事實記, 酉谷醉軒後記, 白峯記, 溪山齋記, 處士金公實記, 養性堂記, 學生公設享時實記, 蓮庵記, 孺人金氏孝烈記

卷8
序 : 送尹侯晦山序, 上閔侯芝潭序, 送芝潭序, 三九會序, 鄕約序, 錦里詩會序, 觀善禊序, 陽山金公遺事序, 鼎溪序, 送李錦西歸鬱島序, 羅州吳氏派譜序, 商山金氏派譜序, 金海金氏族譜序, 順興安氏派譜序, 羅州吳氏家牒序, 金海金氏派譜序, 花雪堂三世遺蹟序, 碧梧亭酬唱遺蹟序, 五宜齋洪公遺稿序, 勿軒序, 從弟士涵晬席小序, 豊山洪氏節義錄序, 金沙軒寶硯詩集序, 思軒處士遺稿序, 老坡尹公實記序, 海史李公詩集序, 恥恥庵遺稿序, 贈鄭海南序, 巖隱集序, 金海金氏派譜序, 隱愚序, 存誠齋遺稿序, 習靜齋鄭公遺稿序, 慕述齋忘笑錄序, 南坡朴公遺稿序, 奉賀後石壽筵序, 贈鄭敬賓序, 贈梅史金瑀澤小序, 贈族弟子春序, 贈安君允行序, 贈族弟子正序, 贈崔生光奎序, 送朴斐卿序, 春秋契序, 贈金樂三小序, 贈鄭道源東谷小序, 贈金昌文序, 金海金氏派譜序, 贈二安生序, 贈朴二秀士序, 玄風郭氏實蹟序, 送羅友起甫序, 贈金志學序, 海逸李公詩稿序, 釣隱序, 月溪序, 密城朴氏派譜序, 里仁契序, 敎信契序

卷9
跋 : 書菊齋先生遺集後, 謹書先王考遺稿後, 謹書先考遺稿後, 竹陰先生遺集後, 盤桓洪先生遺集後, 書蓮江公遺稿後, 書羅氏家藏簡帖後, 謹書都事公遺稿後, 石泉金公遺事跋, 遞庵羅公行蹟跋, 謹書晩松行錄後, 謹書杏亭世稿後, 餘力齋遺集跋, 守庵李公遺稿後, 莎隱李公遺稿跋, 孺人鄭氏實記後, 野隱遺稿跋, 羅州吳氏世譜跋, 書文孝子傳後, 書金孝子行狀後, 跋農隱朴公誌狀, 利川徐氏新譜後

卷10
行狀 : 侶魚亭府君家狀, 祖考臨履齋公家狀, 先考止谷府君家狀, 進士七松吳公行狀, 司諫竹圃朴公行狀, 孝子吳公行狀, 養性齋吳公行狀, 恭人朴氏行狀, 菊軒吳公行狀, 羞下堂金公行狀, 慕庵鄭公行狀, 成均生員柳公行狀, 通德郞鄭公行狀, 孝子柳公行狀, 訓導鄭公行錄, 遯庵金公行狀, 松雲吳公行狀, 忍齋安公行狀

卷11
行狀 : 敬齋柳公行狀, 小栢羅公行狀, 菊圃柳公行狀, 醉亭奉公行狀, 孝子羅公行狀, 蓮谷李公行狀, 迎月堂羅公行狀, 效庵安君狀錄, 野隱柳公行狀, 菊坡尹公行狀, 贈參判朴公行狀, 華南金公行狀, 湖隱金公行狀, 贈童敎金公行狀, 崔公行錄, 北隱吳公行狀
傳 : 湖山鄭公忠孝傳, 孺人曺氏傳, 孝烈婦朴氏傳, 孝烈婦金氏傳, 孺人鄭氏傳, 孝烈婦吳氏傳, 烈婦李氏傳

卷12
墓碣銘 : 郡守朴公墓碣銘, 逸軒鄭先生墓碣, 磻溪李公墓碣銘, 最樂金公墓碣, 心齋牟公墓碣銘, 別侍衛文公墓碣, 學軒奇公墓碣銘, 吳上舍墓碣, 海南郡守鄭公墓碣, 草堂鄭公墓碣, 省堂高公墓碣銘, 羅公墓碣, 鷗亭金公墓碣銘, 參奉吳公墓碣, 孝軒兪公墓碣銘, 藏閒亭金公墓碣, 崔參奉墓碣銘, 梅竹堂朴公墓銘

卷13
墓誌銘 : 監察朴公墓誌, 學生李公墓誌, 湖隱宋公墓誌, 朴孝子墓誌
墓表 : 察訪朴公墓表, 北靑府使吳公墓表, 長連縣監吳公墓表, 質實齋金公墓表, 濟州牧使金公墓表, 芝峯吳公墓表, 老隱金公墓表, 錦溪李公墓表, 梅竹堂金公墓表, 愼黙齋崔公墓表, 拙軒金公墓表, 隱庵金公墓表, 曺司果墓表, 孺人鄭氏墓表, 海沙尹公墓表, 晩悟趙公墓表, 善養齋沈公墓表, 慕義齋尹公墓表, 竹潭金公墓表, 蒙窩金公墓表, 朴監察墓表, 孝子鄭公墓表, 農山柳公墓表, 李公敦律墓表, 金梅隱墓表, 贈監察金公墓表, 副護軍陳公墓表

卷14
碑銘 : 鰲峯金公墓碑銘, 金海金氏三綱碑銘, 孺人柳氏墓碑銘, 竹齋羅公墓碑銘, 學生權公墓碑銘, 金松石墓碑銘, 判官金公墓碑, 迂軒朴公壇享碑, 望軒金公遺墟碑, 贈參判朴公墓碑, 烈婦林氏實蹟碑, 咸平牟氏世葬碑, 孺人李氏實蹟碑, 坡平尹氏世葬碑, 慕軒金公墓碑, 車孝子墓碑, 竹圃姜公墓碑

卷15
論 : 正名分立紀綱論, 躋民於仁壽之域論
說 : 先難說, 理氣心性說, 人心道心說, 心體答心字解說, 行年四十說, 簡靜審重說, 立志說贈崔潤魯
箴 : 操心箴, 存性箴
銘 : 難窩銘
婚書 : 家兒婚書, 從侄東根婚書, 孫兒婚書
表箋 : 周雖舊邦其命維新 正朝賀箋
祭文 : 祭蘆沙先生文, 祭勉菴崔先生文, 祭淵齋宋先生文, 祭叔父晩谷公文, 祭石井李公文, 祭亡室孺人李氏文, 祭亡室孺人宋氏文, 悼亡兒根春文, 挽栢下梁公文
祝文 : 王考贈職時焚黃文, 襄平公影閣開土祝, 祠堂開基祝文, 寶山祠設壇告由文, 烈婦吳氏望祭祝文, 祈雨祭文, 廣山坪堤堰祝文

卷16
上樑文 : 中郞公祭閣上樑文, 錦城君祭閣上樑文, 參議公祭閣上樑文, 襄平公影閣上樑文, 永思齋重修上樑文, 體舍重建上樑文, 遠慕齋上樑文, 李氏祭閣上樑文, 惕然齋上樑文, 三山齋上樑文, 四賢閣上樑文, 忠義堂上樑文, 棲碧庵上樑文, 奇仁伯正寢上樑文, 族孫殷烈體舍上樑文, 蓮庵上樑文, 伏巖 上樑文, 紫荊亭上樑文, 金海金氏祭閣上樑文, 申孝子祭閣上樑文, 尹孝子旌閭上樑文, 願豊亭上樑文, 永思亭上樑文
儷文 : 聖廟重修後奉賀文, 修譜後宗會文, 奉賀奇松沙回甲文

卷17
附錄 : 難窩記(德岩 羅燾圭, 松沙 奇宇萬 等 撰), 行狀(族從 吳駿善 撰), 墓碣銘, 祭文, 却金實記(子 吳根厚 撰), 跋(族弟 吳在洙 撰, 1976년)



기사목록
目錄
卷之一
卷之二
卷之三
卷之四
卷之五
卷之六
卷之七
卷之八
卷之九
卷之十
卷之十一
卷之十二
卷之十三
卷之十四
卷之十五
卷之十六
卷之十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