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표점
  • 국역/표점
  • 국역
  • 서행록(西行錄)
  • 1828년(무자)
  • 9월(九月)
  • 24일(二十四日)

서행록(西行錄) / 1828년(무자) / 9월(九月)

자료ID HIKS_OB_F9008-01-202010.0013.0003.TXT.0014
24일
영윤과 같이 자면서 실로 뜻이 맞아, 절구 한 수를 다음과 같이 읊어서 주었다.

우연히 서로 만난 것이 기약해서 만난 것보다 나으니(偶與相逢勝有期)
산은 온통 붉은 단풍 들판은 황금빛으로 물든 시절이라(山多紅葉野黃時)
하룻밤 나란히 누워 자니 오히려 서글픈 마음만 남기에(一宵聯枕猶餘悵)
은근한 마음으로 이별을 아쉬워하는 시를 지어서 주네(贈以慇懃惜別詩)

영윤이 차운하여 다음과 같이 읊었다.

벗이 먼 곳으로부터 와서 기약도 없이 만났으니(朋自遠方會不期)
단풍 물들고 노란 국화 피는 마침 좋은 계절이라(丹楓黃菊正佳時)
가슴에 쌓인 회포 다하지 못했건만 도로 이별하니(襟懷未盡還爲別)
은근한 마음에 같이 술을 마시며 다시 시를 논하네(慇懃同酌更論詩)

율지가 차운하여 다음과 같이 읊었다.

세 늙은이 옷깃 나란히 하여 기약이 있는 듯하니(三老聯襟若有期)
마침 북쪽 기러기가 남쪽으로 가는 계절이로구나(正當北雁向南時)
새벽 창가에 새벽달 희미해질 때 서로 헤어지니(曉窓殘月相分手)
아쉬운 작별의 회한이 남아 시를 지어서 드리네(惜別餘懷贈以詩)
그길로 헤어져 출발하였다. 여산(礪山)주 85) 읍 앞 객점에 이르러 밥을 먹기로 하고 황산(黃山)주 86)부여(扶餘)로 가는 노정(路程)을 물었다. 그곳에 들리는 것은 황산의 죽림서원(竹林書院)주 87)에 참배하고, 그길로 부여로 가서 생원 김호일(金浩一)을 찾아가는 일 때문이었다. 황산에 못미처서 중도에 길을 잃은 것이 수차례여서 간신히 찾아가 황산의 서원 밑에 이르렀다. 먼저 장암(場岩)에서 이 마을로 이거한 송문언(宋文彦)을 찾아갔다. 안부 인사를 나누고 나서 서원을 참배하려는 뜻을 말하고, 이에 모두 원우(院宇)로 갔다. 수복(首僕)을 불러 분부하니, 수복이 재복(齋服, 재계할 때 입는 옷) 2벌을 가지고 왔다. 그러므로 재복을 입고 서원 마당에서 참배하고 신실(神室)로 들어가 봉심(奉審, 사당을 살핌)하니, 정암(靜庵), 퇴계(退溪), 율곡(栗谷), 우계(牛溪), 사계(沙溪), 우암(尤菴) 여섯 분의 선생이 배향되어 있었다. 신실(神室)의 처마 사이에는 '죽림서원'이라고 걸려 있었다, 강당 앞에는 작은 석비가 세워져 있었는데, 앞면에 팔분체(八分體)로 '황산서원비(黃山書院碑)'라고 적혀있었다. 서원 터와 원우(院宇)가 아주 넓고 훤했다.
참배하고 나서 《심원록(審院錄)》에 이름을 적고, 송문언을 따라 황산 봉우리에 오르니 송림이 깊고 그윽한 곳에 정자 하나가 있었다. 처마에 '팔괘정(八卦亭)'주 88)이라는 편액이 있었다. 방안 사방 벽에는 팔괘가 그려져 있었는데 바로 노 선생(송시열)이 그 당시 독서를 하던 당이었다. 지금도 독서하는 두서너 관동(冠童)이 있었다. 당 뒤의 수풀 사이 석벽에는 "청초안(靑草岸), 몽괘벽(夢掛壁), 일감당(一鑑塘), 삼계리(三桂里), 평주도(平疇島)"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었는데 모두 노 선생의 필적이었다. 앞에는 큰 바다(금강(錦江)을 말함)가 있고 뒤에는 강경(江鏡)이 있어 매우 아름다운 곳이었으나, 갈 길이 바쁜 관계로 상세히 보지는 못하고 그길로 내려와 술을 사서 서로 마시고 작별하였다. 송문언영윤이 알려준 사람이었다. 날이 이미 저물어 급히 강경 마을 앞 나루를 건너 5리를 갔다. 또 굴암(屈岩) 나루를 건너 출발하였다. 석성(石城)주 89)마치(麻峙) 객점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60리를 갔다. 강경은 여염집이 즐비하고, 선박이 왕래하여 원산(元山)보다 못하지 않았다.
주석 85)여산(礪山)
전라북도 익산의 옛 지명이다.
주석 86)황산(黃山)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황산리이다.
주석 87)죽림서원(竹林書院)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황산리에 있는 서원으로 1626년(인조 4)에 세워졌다. 1663년(현종 4)에 중건하였으며, 2년 뒤 1665년 사액되었다. 본래 창건 때에는 지명을 따서 '황산 서원(黃山書院)'이라 하였다. 서원에 제향된 조광조, 이황, 이이, 성혼, 김장생, 송시열의 6인이 모두 문묘(文廟)에 배향된 유현(儒賢)이라 하여 '육현 서원(六賢書院)'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주석 88)팔괘정(八卦亭)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에 있는 누정으로, 1663년(현종 4)에 송시열이 건립하였다.
주석 89)석성(石城)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이다.
二十四日
○與令倫同聯枕, 實是意同, 吟一絶以贈。 "偶與相逢勝有期, 山多紅葉野黃時。 一宵聯枕猶餘悵, 贈以慇懃惜別詩。" 令倫次曰: "朋自遠方會不期, 丹楓黃菊正佳時。 襟懷未盡還爲別, 慇懃同酌更論詩。" 聿之次曰: "三老聯襟若有期, 正當北雁向南時。 曉窓殘月相分手, 惜別餘懷贈以詩。" 仍爲分袂而登程。 抵礪山邑前店期飯, 問黃山扶餘路程。 仍入者, 欲爲審拜於黃山竹林書院, 仍向扶餘, 訪金生浩一故也。 未及黃山, 中路失路者數次, 艱尋抵黃山院底。 先訪自場岩移寓於此村宋文彦。 敍寒暄後, 因言瞻拜書院之意, 則仍爲偕往院宇。 招首僕分付, 則首僕持來齋服二領。 故着齋服, 瞻拜院庭, 入神室奉審, 則靜菴、退溪、栗谷、牛溪、沙溪、尤菴六先生配享。 而神室楣間, 揭以"竹林書院"。 講堂前立小石碑, 前面以八分書"黃山書院碑"。 基址與院宇甚宏闊。
瞻拜後, 書名《審院錄》, 隨宋文彦黃山山峯, 則松林深邃之地, 有一間亭閣。 楣間扁以"八卦亭"。 房內四壁畵八卦, 卽老先生當日讀書之堂也。 而至今有數三冠童讀書矣。 堂後林間石壁, 刻"靑草岸、夢掛주 2)壁、一鑑塘、三桂里、平주 3)疇島" 皆是老先生筆。 前有大洋, 後有江鏡, 甚佳麗之地, 以行忙之致, 不能詳玩, 仍爲下來, 沽酒相飮而爲作別。 令倫指示之人也。 日已夕矣, 急渡江鏡村前津, 行五里。 又渡屈岩津發。 抵石城麻峙店留宿。 行六十里。 江鏡閭閻之櫛比, 船隻之往來, 不下於元山矣。
주석 2)
저본의 '桂'는 송병선(宋秉璿)의 《연재집(淵齋集)》 〈유황산급제명승기(遊黃山及諸名勝記)〉에 의거하여 '掛'로 수정하였다.
주석 3)
저본에는 없는 글자인데 송병선(宋秉璿)의 《연재집(淵齋集)》 〈유황산급제명승기(遊黃山及諸名勝記)〉에 의거하여 추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