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표점
  • 국역/표점
  • 국역
  • 충렬공삼도통어영록(忠烈公三道統禦營錄)
  • 1637년 12월 11일 계본(啓本)(崇德二年十二月十一日 啓本)

충렬공삼도통어영록(忠烈公三道統禦營錄)

자료ID HIKS_OB_F1047-01-220201.TXT.0035
1637년 12월 11일 계본(啓本)
035 경기수군절도사 겸 삼도통어사 나덕헌이 인조에게 보낸 계본(啓本)
: 교동부(喬桐府)의 수군(水軍)과 육군(陸軍) 군병을 영솔하는 파총(把摠)과 초관(哨官) 등에 대한 올해 추동등포폄(秋冬等褒貶)의 등제(等第).

경기수군절도사 겸 삼도통어사 신(臣) 나덕헌이 포폄(褒貶) 결과를 보고하는 일 때문에 삼가 올립니다.
"본영(本營)에 소속된 교동부(喬桐府)의 수군(水軍)과 육군(陸軍) 군병을 영솔하는 파총(把摠)과 초관(哨官) 등에 대해 올해 추동등포폄(秋冬等褒貶)을 등제(等第)하고 삼가 격식을 갖추어 보고합니다."
수군 파총(水軍把摠) 전(前) 주부(主簿) 노의남(盧義男) : 상(上).
우초관(右哨官) 전 권관(權管) 이지남(李枝男) : 상(上).
후초관(後哨官) 전 훈련봉사(訓鍊奉事) 최응룡(崔應龍) : 상(上).
육군 파총(陸軍把摠) 전 사과(司果) 송인갑(宋仁甲) : 상(上).
전초관(前哨官) 전 훈련봉사 한응남(韓應男) : 상(上).
좌초관(左哨官) 전 훈련봉사 김광백(金光伯) : 하(下).
별국초관(別局哨官) 전 훈련봉사 전상눌(全尙訥) : 하(下).
숭덕(崇德) 2년(16327, 인조 15) 12월 11일, 수군절도사 겸 통어사 신 나덕헌.

▶ 어휘 해설 ◀
❶ 등제(等第) : 관원의 근무 실적을 평가하여 상고(上考), 중고(中考), 하고(下考)로 나누어 등급을 매기는 것 또는 그 등급을 가리킨다. 각 관사와 영문이 소속 관원의 근무 실적을 각각 4자씩 1구나 2구로 평가한 글을 제목(題目)이라고 하였다. 제목은 포목(褒目)과 폄목(貶目)으로 나뉘었는데, 포목은 관원의 실적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글을 가리키고 폄목은 부정적으로 평가한 글을 가리킨다. 등제는 이 제목의 내용에 따라 정해졌는데, 2구의 제목이 모두 포목일 경우에는 상위 등급인 상고로, 2구의 제목 중 1구는 포목이고 1구는 폄목일 경우에는 중간 성적인 중고로, 2구의 제목이 모두 폄목일 경우에는 하위의 등급인 하고로 등급을 매겼다.
崇德二年十二月十一日 啓本
京畿水軍節度使兼三道統禦使臣羅謹啓爲褒貶事.
"本營屬喬桐府水陸軍兵所領把摠、哨官等今秋冬等褒貶等第, 謹具啓聞."
水軍把摠前主簿盧義男 : 上.
右哨官前權管李枝男 : 上.
後哨官前訓鍊奉事崔應龍 : 上.
陸軍把摠前司果宋仁甲 : 上.
前哨官前訓鍊奉事韓應男 : 上.
左哨官前訓鍊奉事金光伯 : 下.
別局哨官前訓鍊奉事全尙訥 : 下.
崇德二年十二月十一日, 水軍節度使兼統禦使臣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