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표점
  • 국역/표점
  • 표점
  • 소봉유고(小峰遺稿)

소봉유고(小峰遺稿)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서-집부-별집류
· 내용분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작성주체 편저자 : 이일(李鎰)
· 간사년 序(梁會甲 1958) (1958)
· 간사지
· 형태사항 石印本 / 책수 : 3 / 12行24字 / 한자
· 소장처 현소장처 : 국립중앙도서관 / 원소장처 : 미상
정의

1958년에 간행한 조선 말기의 학자 이일(李鎰, 1868~1927)의 문집.

해제
『소봉유고(小峯遺稿)』 해제

1. 이일(李鎰)의 생애
『소봉유고(小峰遺稿)』는 이일(李鎰, 1868~1927)의 문집이다. 자는 익여(益汝)요, 호는 소봉(小峯)이며 본관은 성주(星州)이다. 아버지는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문인인 일봉(日峰) 이교문(李敎文, 1846~1914)이며 어머니는 연일 정씨 민(閔)의 딸인 정교해(鄭敎海)보성군(寶城郡) 문덕면(文德面) 가천리(可川里)에서 고종 5년(1868)에 출생했다. 배(配)는 연일 정씨 도원(道元)의 딸인 정운종(鄭雲宗)이다.
이직(李稷, 1362~1431)의 6대손 이성(李城)이 무오사화로 보성으로 남하하였고, 후손 이국진(李國鎭, 1738~1781)은 학문과 교육에 전념하여 이조참의에 추증되어 성주 이씨 참의공파 종가를 열었다. 이국진의 아들 이유원(李有源, 1763~1835)이 망일봉(望日峰) 아래 가천(可川) 마을에 터를 잡아 종가를 이었다. 가은(可隱) 이기대(李箕大, 1792~1858)는 서책 1만 여권을 비치하여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가은당, 천상재(川上齋), 일감헌(一鑒軒) 등 세 학당을 설립하여 추사 김정희, 노사 기정진, 면암 최익현 등의 학자와 선비를 초청해 후진을 양성하였고 흉년에는 양곡을 내어 여러 사람을 구휼하고 향약을 조직해 환난을 대비하였다. 이기대의 장남 소송(小松) 이지용(李志容, 1825~1891)은 금부도사, 웅천(熊川), 흥덕(興德), 석성(石城) 현감 등을 지내며 청백한 목민관으로 알려졌다. 벼슬을 사양하는 보성의 진사로 가재를 털어 가난한 사람을 보살핀 사실이 임금에게 보고되어 조선왕조실록에 기재되었다. 노사 기정진이 그의 행적을 찬하였다. 이기대의 5녀가 서광언(徐光彦)과 혼인하여 친가에 와서 낳은 아이가 서재필(徐載弼, 1864~1951)이고 종가는 서재필이 나고 자란 생가가 된다. 이지용의 아들이자 이일의 아버지인 이교문(李敎文)은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휘하 호남 의병장을 지냈다.
이기대와 자손 4대가 각각 학문의 발자취로 문집을 남겼다.
이일(李鎰)은 어려서부터 용모가 단정하고 총명하며 준수하여 할아버지의 총애를 많이 받았고 부모의 훈도를 받다가 16세에 송사 기우만의 문하에서 수업하였다. 이일이 태어난 후 1년이 안되어 동생이 태어나자 할머니 고씨(高氏)가 걱정하고 거두어 길러주니 이일은 조모를 모친처럼 의지했다. 그는 부모와 조모상을 당하여 그 예를 정중하게 치렀고 밖으로는 나라의 혼란이 계속되어 그의 마음은 슬프고 우울했다.
양회갑(梁會甲)이 지은 행장에 의하면, 공은 몸이 크고 머리가 둥글며 얼굴이 길고 눈썹에 산택(山澤)의 기운이 있었다고 한다. 공은 약관이 되기 전에 집안 살림을 맡아 5세의 유업을 잃지 않았다. 송사 기우만의 문하를 출입하며 부사(父師)의 연원을 찾았고, 영남호남 5백 리를 왕래하며 현인들과 교류하였다.
그는 세상과 인연을 끊고 경학에 마음을 집중하였으며 친우들과 나라를 걱정하고 시문을 지었으며 제자와 자질의 교육에 열중하였다.
1884년 가은공(可隱公)의 외손인 서재필(徐載弼)이 해외로 망명하자 당시 3족을 멸하는 국법에 의하여 외가인 공의 가족에게도 참화가 미치게 되었다. 다행히 생명은 건졌으나 가산은 탕진되고 가족은 흩어지는 참변을 겪었다. 을미사변 이후 일제의 침략이 심해지자 1902년에는 망일봉(望日峰) 산기슭의 초막동(草幕洞) 선영 아래에 전 가족이 은거하였다.
그는 집안의 살림과 일가의 우애에 많은 관심을 가졌고 향민의 구휼에도 열중했다. 그는 나라의 운명이 날로 기울어 1905년의 을사조약과 1907년의 고종퇴위에 충격을 받았는데 안중근 의사의 애국활동에 크게 기뻐했다. 그는 1910년 한일합방 후 초막을 지어 세상을 등지고 살다가 1927년 60세로 별세하였다. 1913년 5월, 공의 나이 45세에 두세 명의 일행과 함께 광산 시내를 출발하여 무등산을 유람하여 「유서석록(遊瑞石錄)」을 남겼는데, 서문에서 유람기를 짓고 총 29제 33수의 시를 남겼다. 그의 아들들이 그의 시문을 모아 1958년에 제주 양회갑의 서문을 받아 문집을 발간하였다.

2.『소봉유고(小峰遺稿)』 구성과 내용
『소봉유고(小峰遺稿)』는 6권 3책의 석인본으로 1958년 양회갑(梁會甲)의 서문을 받아 간행된 이일(李鎰, 1868~1927)의 문집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있다. 권1~권4는 「봉배차산(逢裵此山)」 등 한시 1128수가 수록되어 있으며, 권 5에는 「상송사기선생(上松沙奇先生)」, 「여이심재정회(與李心齋正會)」 등 15편의 서(書)가 있으며, 「송일매염군귀고성서(送逸梅廉君歸固城序)」 등 3편의 서문(序文), 「팔괘정중수기(八卦亭重修記)」 등 11편의 기문과, 「서민충정공혈죽도후(書閔忠正公血竹圖後)」 1편의 발문이 수록되어 있다. 권 6은 잡저(雜著)와 제문(祭文)이 있으며 부록(附錄)으로 1958년 양회갑이 지은 행장(行狀)이 수록되어 있다. 잡저에는 「왕정론(王政論)」, 「성인심법론(聖人心法論)」 등 22편이 실려 있으며, 제문에는 「제송사기선생문(祭松沙奇先生文)」 등 10편의 제문이 실려 있다.
권1에 수록된 시 중에 옥산(玉山) 이광수(李光秀)에게 준 시가 여러 편 실려 있다. 변해가는 사계절의 감상과 일상생활에서 회포를 서술한 시가 있으며, 날로 변해가는 세상을 탄식하는 시가 수록되어 있다. 사습(士習)이 크게 변함을 보고 분하여 쓴 시에는 국운이 다하자 온 나라의 백성과 선비가 한마음으로 함께 일어나 복을 입고 상을 치르며 같이 성토를 하면 당당한 예의의 나라가 더욱 천하에 소문이 날 것이요, 저들의 보고 듣는 데에 교화가 미쳐 혹시 광복에 만일이라도 도움이 될 것인데도 전일 선비라고 하는 사람들이 검은 모자를 쓰고 뻔뻔스럽게 마을을 돌아다니며 부끄러운 줄 모르고 있다고 분개하고 있다. 충기(忠妓) 산홍(山紅)이 나라 판 도적으로 을사오적(乙巳五賊)의 한사람인 이지용(李址鎔)의 죄를 나무라며 잠자리를 거절하고 자결했다는 말을 듣고 느껴 지은 시가 있다. 1913년 5월, 공의 나이 45세에 두세 명의 일행과 함께 광산 시내를 출발하여 무등산을 유람하여 「유서석록(遊瑞石錄)」을 남겼는데, 서문에서 유람 내력을 적고 총 29제 33수의 시를 남겼다. 공은 집으로 돌아온 후 어버이 병환이 더함이 없고 식구들이 탈이 없음을 다행으로 여기며, 유람하며 지난 곳의 기이한 장관을 시로 그려 보았으나 만의 하나도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다고 하였다.
권5의 편지에는 기우만(奇宇萬)을 비롯하여 정상원(鄭尙源), 조태승(曺兌承), 염재업(廉在業), 이광수(李光秀), 이희봉(李喜鳳) 등과 주고받은 편지가 수록되어 있다. 권5의 기문에는 「팔괘정중수기(八卦亭重修記)」, 「불매재기(不魅齋記)」, 「독조대기(獨釣臺記)」, 「옥산기(玉山記)」, 「삼우기(三友記)」, 「만우기(晩愚記)」, 「송고기(松皐記)」, 「둔암기(遯菴記)」, 「용암기(龍巖記)」, 「양죽기(養竹記)」, 「양어기(養魚記)」 등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중 「팔괘정중수기(八卦亭重修記)」는 우암(尤菴) 선생이 도(道)를 논하고 의(義)를 강했던 황산(黃山) 꼭대기에 있는 팔괘정(八卦亭)의 중수에 관한 내용이다. 「독조대기(獨釣臺記)」는 제갈무후의 후손으로 노사 기정진의 제자인 제갈담녕(諸葛澹寧)이 세도가 무너지자 설산(雪山)의 남쪽 와룡대에 숨어살면서 담담하게 뜻을 밝히고 원대한 포부를 갖고 홀로 그 몸을 편안히 하고 그 절개를 숭상하여 지낸 독조대(獨釣臺)에 관한 내용이다.
권6의 잡저에는 「왕정론(王政論)」, 「성인심법론(聖人心法論)」, 「대우치수론(大禹治水論)」, 「논해소동파무왕론(論解蘇東坡武王論)」, 「한무제론(漢武帝論)」, 「한광무중흥론(漢光武中興論)」, 「낙의론(樂毅論)」, 「유후론(留侯論)」, 「범증론(范增論)」, 「도광론(禱光論)」, 「양웅론(揚雄論)」, 「조조론(曹操論)」, 「논척이단문(論斥異端文)」, 「금고당인론(禁錮黨人論)」 등으로, 변해가는 시대 상황에 저자의 사상을 담고 있는 글이 수록되어 있다. 「낙의론(樂毅論)」에서 소왕(昭王)은 그 대의를 잃고 오직 이익만을 찾았기 때문에 나라가 어지러워져 망하였고, 낙의는 충후(忠厚)하여 인신(人臣)의 의리에 밝았기 때문에 그 자손을 보전하였으니, 이는 만고에 바뀌지 않는 이치라고 논하고 있다. 제문은 기우만(奇宇萬), 임사문(任思文), 정시원(鄭時源), 송상원(松尙源) 등의 제문이 실려 있다.
부록(附錄)에는 1958년 양회갑이 지은 행장(行狀)이 수록되어 있다.

3. 세부목차
序(梁會甲 1958)

卷 1
詩 : 逢裵此山二首, 上山淸匪所, 月夜思親, 往山淸數日定省旋又離違有感而作, 登山淸換鵝亭, 別廉逸梅(永中), 歎世, 無題, 與梁月坡(瑀)同酬, 秋風裁衣送山淸匪所, 再從祖百愚堂回甲韻, 重堂回甲韻, 翫山, 陪趙月皐奇松沙李晩舟諸丈遊松廣寺, 暮春與任桂峰(彩鉉)登山, 登長田聞一亭, 贈李玉山(光秀), 贈玉山四言五首, 贈登科人, 屈原, 荊軻, 張子房, 諸葛武侯, 旱餘偶成, 山陰客館別舍第, 登南原廣寒樓, 悼亡第, 過雲峰黃山有感而作, 與梁月坡同酬, 在湖西夜話, 上山淸匪所五言古詩, 有所思, 可隱堂閒居, 思親, 夜話用前韻, 對月歌(三五七言), 述家業, 偶吟, 次放翁覽鏡韻, 山居幽興, 次放翁示兒子韻, 山樓戱題, 逢安靑松(基仙)三首, 歎時事, 戱作, 川上夜話二首, 歎世事日變, 與友人酬唱, 思親, 步下書樓, 居家自述, 漫詠, 野行與友人入書樓, 夏日作, 送人後作, 與友人相呼, 聞時擾更起思親, 寓懷二首, 逢乞糧僧, 憎蠅, 除夕二首, 有懷獨吟, 人日風雪大作因吟, 醉裡漫題, 立春二首, 聞京信感憤而作, 聞北軍渡海, 謹次再從祖歎衰韻, 立春後三日, 聞日軍入城不勝感憤而作, 石室早起, 上元夜, 望月, 逢任桂峰論懷 三首, 歎時事, 夜枕無眼, 用前韻與友復唱, 述懷, 早春, 逢安進士牛川吟, 逢安靑松, 次光州竹谷里全氏廣業齋韻, 宿八影山西佛菴, 暮過白雲洞, 入白雲洞林處士家, 與林處士問答二首, 過龍城拜關王廟, 古園春恨, 賞春, 江頭送客, 貝城送客, 有所歎, 山人幽居, 雨後, 庭前古木, 懷人, 山居樂志, 悲慨四言, 登樓感懷, 澹菴任公輓二首, 三月晦日會山樓二首, 寄玉山雅弟, 聞行倭法着倭服有感而作二首, 山樓會坐, 晩夏閑鷺二首, 自述, 次和平會韻二首, 寄玉山雅弟二首, 相思曲寄玉山四首, 復用前韻, 題呈聞一亭諸士友, 寄玉山雅弟, 首尾吟贈玉山, 讀書有感, 逢安上舍論懷, 吟情, 聞京信, 見新凉, 閒詠, 謹次尤菴先生和美村次重峰上栗谷韻, 勉弟輩, 與震弟吟, 自題, 卽景, 言志, 自述, 讀蘆沙集有感, 逢鄭斯文二首, 逢廉斯文, 小峯自稿, 酬安斯文(圭悳), 自警, 逢尹友, 暮春遊桐江, 山居自吟, 渡洛水, 過廣川, 歎世, 與梁玉皐同題, 曉起, 靑春曲五絶, 東風雨雪歎, 梧桐霽月, 楊柳光風, 曉坐聞秋山落木, 生朝吟二首, 雨中說懷, 丙申夏會詠可隱堂十五首, 偶吟六首, 會題, 夜逢玉皐相酬, 漫吟二首, 淸溪濯纓, 逢桂峰茴懷三首, 崔雲齋遠訪夜話, 聽泉, 題陝川源泉亭, 謹次孤隱先生望月亭寧越韻, 謹次安孝子戴, 思錄原韻

卷 2
詩 : 謹次大谷趙丈(秉翼)回甲韻, 艾山鄭丈(載圭)歷訪拈和三首, 丙申秋居曾王考可隱公遺堂漁樵耕牧之暇乃取感乎, 心發乎情者構詩題歎云, 自述, 中夜無寐起題可隱堂壁上, 慨世吟, 逢玉坪任友, 曉月, 恨此世無與歸, 夜拈, 山樓夜坐, 又題可隱堂, 冒雨過錦山義塚二絶, 憶重峰趙先生, 霽峯高先生, 登紫霞峰遊仙亭, 登珍山玉溪亭, 與崔友暮過龍城, 見我國人着洋服有歎, 早朝渡錦江, 過故都傷心(幷小序), 讀宋子大全有感, 景慕尤庵先生, 敬誦尤庵先生上淸陰金先生詩有感, 讀三學士傳賦長律, 南平政堂望鳳凰山與翠栢徐使君載雨以詩相酬, 謹次翠栢重陽韻, 南衙因兵擾向光州洽坪高戚從家, 逢林玉田論懷三首, 謹次翠栢戚叔在金陵遊鷺詩歎韻二十二首, 五言, 題呈梁玉皐, 題送李玉山戚第七首, 冬至夜夢拜蘆沙老先生, 題呈梁玉皐旅軒, 可隱堂與諸益唱酬三首, 與任桂峰論懷三首, 訪山人不遇, 敬次林白湖銅雀臺畵韻, 再與任桂峰論懷十四首, 苦雨, 可隱堂與諸第會吟三十一首, 山水樂志吟三首, 時景二首, 謹次蘆下朴丈韻二首, 月夜入光陽飛村黃監役家, 到晉陽吟, 登矗石樓次板上韻, 登鎭南樓望風景入山城拜忠烈祠, 義巖, 題論介廟壁, 入竹島(在固城南門外), 題贈徐君, 風雲堂瞻謁, 太祖大王御眞, 到鐵城歎, 夜月懷鄕, 入玉泉寺, 飮玉泉, 鐵城旅舍與崔小石唱和二首, 自鐵城下馬浦, 過鎭海思歸賦楊柳詞, 朝雨中過雨冒山店, 昌原旅舍與徐友將發吟, 回鄕吟, 迎蘆老爲師喜兒輩勤業, 老人歎, 書生歎, 敬次尤庵先生韻二首, 敬次尤庵先生耽羅舟中詩二首, 人笑何笑我笑何笑以山水吟自笑五首, 見二毛悔歎二首, 獨坐述懷三首, 伏羲氏始畵八卦作書契, 制嫁娶, 風姓, 造琴瑟, 神農氏初藝五穀嘗百草製醫藥, 再次蘆下朴丈詩歎韻八首, 可隱堂與諸益論懷二十一首, 自述, 自笑, 自歎, 謹次李心齋除夜韻, 春雪夜與三川族叔(敎川)唱和, 三川族叔以先祖參判公墓閣重建事自谷城歸訪我示, 所與朋友唱和詩四律絶韻各一首感而和之, 夜坐憶舍弟注山, 謹次廉蘆月龜山精舍原韻二首, 龜山八景, 謹次尤庵先生次諸賢韻二首(幷小引), 歎五十無聞, 敬次尤庵鷺松韻, 聞家婦生七世宗子識喜二首, 獨坐遣懷, 歎道學不明戒子弟輩犯染時華, 廉蘆月壽宴韻, 讀書, 國憂, 自慨, 到沙湖陪松泌先生感吟, 沙湖月夜與諸同志吟, 春日向詩川, 心齋席上與海史曺丈桐隱趙友論懷, 林郞錫周再邀時能賦詩喜甚次韻, 丁巳除夜憶二第二首, 戊午上元夜步月, 孝峙再從祖回甲韻, 任桂峰書答後夜坐, 謹次梁翁月坡回甲韻, 春山月夜聽杜鵑, 松梅亭主人安後松(鍾珉)輓, 謹次靑皐李戚丈壽宴韻二首, 心齋老兄六十壽席韻, 草堂風雨夜憶三弟(幷小序), 見季第書歎吟, 聞大行皇帝昇遐望哭二首(幷小序), 戊午除夜獨坐感懷三首, 除夜獨坐下眼憶三第二首, 與任桂峰論懷, 謹次心齋翁因山哀章五絶, 己未立春二首, 題呈海史心齋五首, 題呈三川四絶, 聞有人斥尤翁尊華大義憤歎有吟, 自述四首, 追憶海史心齋兩丈三絶(幷小序), 見士習大變憤發而題三絶(幷序), 又題三絶, 獨坐觀心二絶, 春雪, 季第搬移湖西率春發程吟成九絶以寓去留遠離之情, 己未元宵用尤翁丁卯元日韻志感二首, 逢安晩愚梁小山論懷四首, 老悔, 時憂, 自題, 屑第錫從率春登程强筆和淚而題, 謹次原韻題招賢堂(幷序), 謹次安隱峰五倫歌八首, 敬次夢漢閣板上韻(幷小序), 鄭晩松輓, 病中逢松坡高戚從賀得雙孫適此季第自湖西寓所冒, 雪入門淚眼相對各論所懷, 敬次尤庵先生八卦亭重修韻, 雪夜聞隣兒讀書, 歎與世相違二首, 入昇方洞樂川讀書房賦一韻, 李芝橋(秉洛)係宴韻, 與心齋老兄次陶隱遁村兩先生相酬韻六絶, 謹次心齋老兄十韻(幷序), 用康節先生首尾吟穿題呈海史文丈十一首, 己未除夕三首

卷 3
詩 : 大原僧舍次可亭李丈韻, 謹次心齋老兄除夜韻, 上元夜登前橋翫月感懷, 八日次心齋老兄人字韻, 湧珍精舍拜後石吳文丈次原韻二首, 章山齋修己席與梁友乃心及諸益同話, 贈章山齋讀書諸益, 暮春有感, 謹構排律詩二十韻題呈沈參奉(宗澤)壽軒, 次許南圭(炤)金剛山韻三首, 歎志士虛老, 雪中吟, 幽興, 庚申九月生朝三從弟正汝把菊花以晩節勉我故喜題, 一絶, 雪月夜招漁釣伴, 感懷用前韻一絶, 三五七言, 幽居二首, 偶吟, 自題三首, 山中自歎二首, 與友人說文, 富貴人, 人道, 交友歎, 空山雪夜, 山水吟, 自歎, 自題二首, 賀第二妹李氏婦晩得英兒二首(幷序), 庚申除夜二首, 君子人, 感老, 感物吟, 江柳早春, 春日戱題, 賞春, 遊山二首, 牛山書室與安晩愚安三湖同酬, 莘田書室與薇山族姪安三湖宋雪舟同酬, 鳳亭里遊趙氏宗會閣二首, 雨後春景, 暮春感懷, 餞春, 寄隱士二首, 靜夜無寐, 小峯自題, 題呈安三湖, 棠碧亭次金河西趙重峰兩先生韻二首, 次月谷梁氏三芝齋韻, 次柑洞金氏石磎齋韻, 逢梁月坡李石湖同酬三首, 隱居消憂二首, 閒居雜鷺二首, 見萬物生養歎天道至公, 與諸兒茴懷, 田家老翁歎, 種梅菊爲友, 雨夜懷古, 夏日與遯菴從唱酬二首, 勸堂中諸兒, 可隱堂閒鷺二首, 入書室, 感古, 苦雨, 題贈遯菴從, 贈孝茁鍾出兩從及禮姪二首, 閒中客到, 淸夜吟, 雜鷺, 炎熱中茴懷, 漁翁二首, 逢李石湖戱題, 與遯菴從閒話, 安晩愚輓, 次許友南圭峨峨洋洋五曲詩(幷序), 次許南圭我泉韻, 讀近思錄有吟, 書室會話, 聞譏我自責爲詩, 自慨, 晨窓獨坐, 學圃遺堂與肖孫東溪(會洛)同酬, 次鐵川徐氏甲年侍墓韻, 次梧山亭韻, 詩山夜話, 老懷, 晨窓起題, 山頂石泉, 自警吟, 別故友, 憶弟吟, 夜感, 泉聲, 天道, 自述, 草幕洞十二景, 幽居自娛十一首, 述懷, 自述, 與廉謹菴(在洙)同酬, 與三川同話, 和季弟耳汝慰余詩歎不遇之作二首, 文酒會喜小長咸集, 題壁上二首, 自題, 贈松巖鄭君(原伯), 幽興, 風月夜追憶濂溪康節二先生, 觀物有感, 閒中對友, 聞時騷感憤有吟, 逢鄭友堂同酬, 閒中自歎四首, 別蓮圃裵君歸故庄, 謹次題雲初金丈(永範)詩歎茴其慷慨不平之意四首, 歎世吟, 閒中吟, 首尾吟自歎, 高臥山房與友同酬四首, 題送川上齋諸益, 登後麓望舊居, 己業不進歎, 山居歎, 感時, 題呈雲初堂, 感懷二首, 敬題仲父月峯堂, 春夜對月待二故友, 梅菊歎, 題呈雲初金文丈, 心戒, 閒中遣懷, 謹次雲初丈韻, 別三川族叔二首, 題上晦山再從祖書床前, 題上月峰仲父文免前, 題呈雲初堂, 題呈月坡堂, 題上支石鄭翁丈壽軒(幷小序), 山齋遣懷, 山齋月夜, 與雲初文丈三川族叔論志氣慷慨五首, 與三川論懷三首, 閒中自勉, 誦武夷詩有感, 餞春, 敬次雲初文丈韻三首, 謹次麗澤契講會韻, 溪南齋, 聞時譁歎吾道不明二首, 雨夜與鄭君論詩憶老親及舍弟, 逢朴訥菴, 與三川族叔勸志論懷二首, 閒中寓懷, 次納凉軒韻, 與三川暢懷二首, 望明齋述懷三絶, 戒龍鳳兩兒, 草洞夜懷, 讀書, 與三川論志, 幽懷, 勉諸兒二首, 與三川同酬二首, 與張德潤共酬, 詠窮, 春懷三絶, 山水吟五絶, 時人歎三絶, 風雨撲窓開闔病臥感吟二絶, 朝陽吟, 山高吟, 與友登山歸路口呼二首, 山屋遣懷, 自勉, 山齋卽事, 元曉菴止宿, 次板上韻二首, 登瑞石, 蠶頭, 最上峰, 泉邊作, 廣石臺, 風穴臺, 圭峰菴, 訪石室僧, 地藏菴, 晩峙, 閒中讀書二首, 三川送後作, 自勉工夫, 遣愁, 山居六絶, 勉志, 自述, 終夜未眼晩睡至朝, 與三川吟, 山齋雨後吟, 隱居勉志, 碧山古意, 閒中偶吟三絶, 題呈桂峯山人首尾吟八首(幷小引), 望明齋自題, 歎世吟

卷 4
詩 : 避俗臺閒詠三首, 夜坐遣懷二首, 奉讀勉菴崔先生唱義檄文, 自慨, 早朝下可川舊居與諸益會吟, 山居述懷, 隱居自題, 題閔忠正公(泳煥)血竹圖, 和季弟歎世詩五首, 草洞隱居二首, 避俗臺原韻, 閒中述志二首, 勉菴崔先生輓二首, 別鄭友堂(時源), 別友堂獨坐, 題呈友堂, 時像, 聞日人毁各處城郭, 夢見徐友廷模, 山窓曉起歎與世相違, 勸學, 感時吟二首, 朝來見鏡裏髮白歎事業無成, 止止吟, 歎學問難成, 讀宋子大全, 續貂, 悼三從弟汝珍, 賦梅花, 述懷二首, 夜坐述懷二首, 聞忠妓山紅數賦臣忘君負國之罪不許身而死感成二, 首挽, 山居感懷, 有所歎, 閒中茴志二首, 川齋留連, 夜坐, 吾道不明歎, 湖上與諸益戱題三首, 雨中逢西湖故人, 偶吟, 江景浦夜題, 蘇山安公輓, 與宋梧岡(季述)唱酬四首, 復用前韻連題七首, 庚戌合邦後聞節士甚多感吟, 暮歸, 與客吟二首, 送梧岡歸家二首, 聞時像遺恨, 次華人贈兒輩韻, 贈華人, 逢湖西醫師裵雲農(東潤)贈二首, 又贈五言一絶, 寄堂中諸子勸學二首, 次姜龜巖原韻, 謹次鄭山人幽居韻, 謹次龍巖堂原韻, 海史堂, 謹次從叔松皐堂原韻, 謹次松皐從叔夢中作, 題呈晩愚堂, 小峯自題, 自憫, 幽居遣興, 對漁樵翁, 吟風, 詠新月, 感時, 偶吟, 漁家, 登樓, 與晩愚論懷二首, 山園自題, 夏日偶成, 歎時學異古, 對隱士, 題呈晩愚三首, 月夜從晩愚遊川上歸吟, 川上講會, 送晩愚續吟四首, 待, 別, 憶, 曉起遣懷, 懷古, 園竹, 有所歎, 憶晩愚, 謹次海史韻, 講誦後携酒暢吟二絶, 次諸子農雨韻, 獨坐, 夜坐, 自嘲, 親濟, 川上講會二首, 魚鳥吟, 短律十二首題呈晩愚高眼, 登泰仁朴氏隱巖亭次原韻, 俗累四首, 國家三首, 遊瑞石錄(幷序), 午過福川江見漁船戱題, 冒雨越耳嶺, 過穴巖里, 入鼎谷鄭公裕家, 登瑞石北麓入文處士家, 過瑞鳳寺遺墟, 入首陽洞二首, 登神仙臺, 登鵲峰, 月禮巖, 烏南啼峰, 香爐峰, 權薛菴(壬辰倭亂權薛兩人避亂處故名), 入元曉菴, 元曉菴止宿, 登瑞石, 蠶頭, 最上峰, 泉邊作, 廣石臺, 風穴臺, 圭峰菴, 訪石室僧, 地藏菴, 晩峙, 暮入澄心寺, 宿澄心寺次板上韻, 自瑞石還次晩愚思余韻四首, 次安上舍得男韻二首(幷小序), 月峰仲父回甲韻二首, 次呈海史韻七首, 自慰, 戱題, 見星月相戰歎時事可知, 慰不魅齋客懷, 懷古, 贈別不魅齋韻九首(幷序), 次悔亭韻二首(幷序), 謹次脂窩原韻, 次望美臺韻, 尹喜璇濤宴韻, 扶義堂風雪夜與諸葛澹寧(夏帛)唱酬, 次惺惺齋韻, 次書齋學童詩, 閒中遣懷, 謹次松石李翁六十壽席韻二首, 謹次松石堂韻十首(幷序), 武侯祠, 扶義堂次板上韻, 獨釣臺, 覽鏡歎, 可亭李翁回甲韻(幷序), 丙辰九月海史曺丈六十壽席謹次原韻, 松沙奇先生挽章二首, 題呈心齋堂解憂, 湖上別海史心齋兩丈, 夜起憶海心兩丈, 蔡三友抱歲寒之志植松竹梅爲庭實仍以三友自號謹, 次其原韻, 楊波亭, 徠笑亭, 淸夜吟, 蘭坡李翁(日會)壽宴韻, 與曺海史李心齋遊大谷趙氏山房, 海史丈見所謂, 李朝五百年史不勝憤氣賦詩高唱故, 涕淚而和之, 丙辰除夜(幷序), 次李明老永錫窩韻

卷 5
書 : 上松沙奇先生, 與李心齋(正會), 與李心齋, 與鄭晩松尙源, 與曺海史兌承, 答廉蘆月(在業), 與廉蘆月, 與安晩愚(寔煥), 答廉敬安(宅洙), 答李美中(光秀), 與奇仁伯(春度), 與許南圭(炤), 答李喜鳳, 寄徐廷夫, 與昇方洞讀書諸友
序 : 送逸梅廉君歸固城序, 贈別李美中玉山序, 見新凉入郊勸諸第讀書序
記 : 八卦亭重修記, 不魅齋記, 獨釣臺記, 玉山記, 三友記, 晩愚記, 松皐記, 遯菴記, 龍巖記, 養竹記, 養魚記
跋 : 書閔忠正公血竹圖後

卷 6
雜著 : 王政論, 聖人心法論, 大禹治水論, 論解蘇東坡武王論, 漢武帝論, 漢光武中興論, 樂毅論, 留侯論, 范增論, 禱光論, 揚雄論, 曹操論, 論斥異端文, 禁錮黨人論, 題扶義堂壁, 讀三學士傳, 三還敎子說, 安寔煥字士誠說, 答李美中夢覺說, 君子友德說, 愛菊說, 農說
祭文 : 祭松沙奇先生文, 祭澹菴任公(思文)文, 祭友堂鄭公(時源)文, 祭晩松鄭公(尙源)文, 祭外舅鄭先生文, 祭告曾王考持平公文, 再祭文, 祭告祖考騙文, 祭季父小梅府君文, 祭從叔松皐公文
附錄 : 行狀(梁會甲)
기사목록
卷之一
卷之二
卷之三
卷之四
卷之五
卷之六
附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