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표점
  • 국역/표점
  • 표점
  • 효당문집(曉堂文集)

효당문집(曉堂文集)

기본정보
· 유형분류 고서-집부-별집류
· 내용분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작성주체 편저자 : 김문옥(金文鈺)
· 간사년
· 간사지
· 형태사항 木活字本 / 책수 : 9 / 有界 / 10行24字 / 한자
· 소장처 현소장처 : (재)한국학호남진흥원 / 원소장처 : 미상
정의

김문옥(金文鈺, 1901~1960)의 시문집.

해제
1. 생애

『효당집(曉堂集)』은 김문옥(金文鈺; 1901~1960)의 시문집이다. 16권 9책 목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김문옥의 자는 성옥(聖玉), 호는 효당(曉堂),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고조의 휘는 양언(養彦), 증조의 휘는 응권(應權), 조부의 휘는 두혁(斗爀)이다. 아버지의 휘는 기추(琪錘), 호는 서천(瑞川)으로, 광주(光州)에서 합천으로 이사하여 가업을 이루었다. 어머니는 현풍곽씨(玄風郭氏)이다.
김문옥1901년 9월 9일 경남 합천군 용주면 이사리(伊沙里)에서 출생했다. 8세 때 형 태옥(泰玉)과 함께 방으로 날아든 새를 가지고 놀았는데, 외출에서 돌아온 아버지가 공부에 소홀한 형제에게 시를 짓든지 회초리를 맞든지 하라고 하였다. 형 태옥은 "네가 살아서 실을 벗어나 날아갔지만 뜨락 나무에 걸려 날지 못하였네.[能生脫繩去 庭樹繁不飛]"라 하였고, 김문옥은 "어느 때 발의 실을 떨치고 훌훌 날아 꽃 사이 나비를 쫓을 수 있을까?[何時解繁繩 飛逐花間蝶]"라고 하였다.
14세 때인 1914년에 형 태옥과 함께 합천보통학교에 편입하여 공부하다가, 그해 가을에 그만두었다. 그리고 형 태옥과 함께 무산정사(武山精舍)에서 강학하는 율계(栗溪) 정기(鄭奇)를 찾아가 수학하였다. 형 태옥은 1년 후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정기는 학문의 길을 가르치면서 『대학』을 읽도록 권하고 날마다 의심되는 부분을 기록하여 문답하게 하였는데, 이 내용이 「대학척의(大學摭義)」에 담겨 있다. 형을 잃고 집에서는 어버이를 위로하고 밖에서는 스승의 가르침에 따라 학문에 열중하던 김문옥은 목에 멍울이 생겨 통증으로 고생을 하기도 하였다.
27세 때인 1927년 10월에 스승 정기를 따라 구례 토지면 오미리(五美里)로 이주하였다. 이때 함께 이거한 사람은 5호(戶) 6가(家)로 김문옥의 스승이자 정하종(鄭河鍾)의 아버지인 정기(鄭奇), 김문옥의 아버지인 김기추(金琪錘), 주우석(周禹錫)의 아버지인 주기인(周基仁), 정현복(鄭鉉福)정민규(鄭敏奎)의 아버지인 정태규(鄭泰圭), 김규태(金奎泰)의 아버지인 김봉운(金琫雲)이다. 다음해인 1928년에 두 정자인 오원재(五爰齋)와 덕천정(德川亭)이 완성되었고, 이곳에서 벗들과 강학을 하였다. 정기는 사람들에게 응대하는 문자가 많아, 항상 김문옥과 문자에 대해 의논을 하였다. 1929년에는 오미동에 여섯 채의 집을 지어 '영남촌(嶺南村)'이라 하였다.
30세 때인 1930년 모친상을 당하였고, 32세 때인 1932년 부친상을 당하였다. 33세 때인 1933년 5월에는 일제에 저항한 사람들을 만났던 것 등을 이유로 일제에 의해 임실 구치소에 수감되었고, 9월에 순창 구치소로 이감되었다. 이후 6개월 수감 생활 후 1934년 1월 5일에 출감하였다. 수감 중에 순창경찰서의 부경(副警)이 가위를 들고 김문옥의 두발을 깎으려고 하자, "우리나라 오백년의 정신이 이 두발에 있는데, 네가 한국 사람으로서 왜경이 되어 우리나라의 정신을 없애려고 하니 내 두발을 보존하는 귀신이 될지언정 두발 없는 사람이 되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하고 주위 기물을 던지려 하자 그가 황급히 나가버렸다는 일화가 있다.
김문옥이 수감되었던 때 집안의 어른인 성천(誠泉) 김전(金銓)이 찾아와 출감 후 살림살이를 회복할 계책을 도모해 주었고, 김문옥은 출감 후 성천 김전을 따라 복천(福川, 화순 동복)절동(節洞)으로 이주하였다. 절동은 광산 김씨 집성촌이기도 한 곳으로, 여기에서 김문옥김영재(金永栽), 윤정복(尹丁鍑), 나갑주(羅鉀柱), 위계도(魏啓道) 등 제자들에게 학문을 강론하였고, 화순지역의 유림들을 비롯하여 전남의 여러 사람들과 교유하였다.
48세 때인 1948년 3월에 화순군 이양면 오류리(五柳里)로 이거하였으며, 오류리의 담락정(湛樂亭)에서 강학을 하였다. 또 삼계(三溪) 김병좌(金炳佐)의 요청으로 문생들과 함께 장흥군 부산면 호계리(虎溪里)에 있는 동백정(冬栢亭)으로 가서 강학을 하기도 하였다. 이후 여․순 사건으로 화가 임박하자, 제자들을 거느리고 장성, 보성김제 사이를 떠돌며 고생을 하였다.
50세 때인 1950년 6.25 전쟁이 발생하면서 죽을 고비를 넘겼고, 10월 스승 정기가 세상을 떠나자 위험을 무릅쓰고 구례로 가 조상하였다. 이후 벌교읍 부용동(芙蓉洞), 고읍리(古邑里) 산정동(山亭洞) 등에 이거하며 제자들을 가르쳤고, 스승 정기의 문집 간행을 위해 노력하였다. 김문옥을 믿고 따르는 사람은 날로 많아졌다. 55세 때인 1955년 윤3월에는 경북 도산서원과 경주를 다녀오고, 9월에는 제주도 유람을 다녀왔으며, 58세 때인 1958년 8월에는 화순 동복적벽(赤壁)에서 4군의 선비들과 시회를 열기도 하였다.
어떤 사람이 정착하지 못한 삶을 꾸짖으면 김문옥은 "반생애 동안 이리저리 떠돌아다닌 것은 알고 지낸 벗들이 권하였기 때문이다. 스스로 돌이켜 보면 살림살이에 어두워 실로 남들이 비아냥거릴만한 일이 있으나, 나의 곤궁한 운명이 그처럼 만든 것이다. 그리고 혼란한 시대를 만나 아무리 정착하려고 해도 정착할 수가 없었다. 이리저리 떠돌면서 여기에까지 이르게 된 것은 참으로 그럴 수밖에 없었던 일이지만 또한 어찌 탄식할 게 있겠는가. 옛적의 어진 분들도 어려운 시기를 만나 간혹 남에게 의지하는 삶을 면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몸은 어려운 생활을 겪었지만 뜻만은 펼쳐 어려움에 굽히지 않았다."라고 하였다.
형이 죽고 발생했던 목의 멍울[項核]이 재발하여 고생 하던 중, 1960년 3월 사람들의 권유로 화순 절동으로 이주하였다. 그리고 이 해 6월 15일 세상을 떠났다. 문인과 유림들이 화순 남면에 절산사(節山祠)를 세워 제향하였다. 부인은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다. 아들 호(灝)는 형 태옥의 양자로 나갔고, 두 딸은 청풍 김필영(金弼永)과 울산 김병일(金炳一)에게 출가하였다. 둘째 부인 슬하에 아들 준(濬)용(溶)이 있다.


2. 구성과 내용

『효당집(曉堂集)』은 1961년에 후손과 문인 위계도(魏啓道) 등에 의해 발간되었으며, 서문과 발문은 없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전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詩) 215편, 권2에 시(詩) 256편, 권3에 서(書) 40편, 권4에 독(牘) 68편, 권5에 독(牘) 73편, 권6에 잡저(雜著) 27편, 권7에 서(序) 60편, 권8에 서(序) 56편, 권9에 기(記) 54편, 권10에 기(記) 45편, 권11에 발(跋) 21편, 명(銘) 11편, 애사(哀辭) 3편, 상량문(上樑文) 3편, 축문(祝文) 4편, 제문(祭文) 17편, 권12에 비명(碑銘) 39편, 묘지명(墓誌銘) 8편, 권13에 묘갈명(墓碣銘) 38편, 권14에 묘표(墓表) 52편, 권15에 묘표(墓表) 46편, 권16에 서사(書事) 7편, 행장(行狀) 1편, 전(傳) 7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1~2에는 시 471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별 수량은 각각 215편, 256편이다. 전체적으로 교유시가 많으며, 그중에서도 「기고당김규태(寄顧堂金奎泰)」, 「화고당중양견억지작(和顧堂重陽見憶之作)」, 「차고당기시운부회인체인각일구(次顧堂寄示韻賦懷人體人各一句)」와 같이 고당 김규태와의 교유 속에서 읊은 것이 많다. 또 「유선유동(遊仙遊洞)」, 「화양동(華陽洞)」, 「유화엄사(遊華嚴寺)」와 같이 여러 곳을 유람하면서 읊은 시를 볼 수 있다. 1955년경주를 유람하고 쓴 것으로 보이는 「동경회고(東京懷古)」는 「계림(鷄林)」, 「미추왕릉(味鄒王陵)」, 「박씨오릉(朴氏五陵)」, 「포석정(鮑石亭)」, 「김각간유허(金角干遺墟)」, 「불국사(佛國寺)」, 「삼기팔괴(三奇八怪)」, 「금관옥적(金冠玉笛)」, 「첨성대(瞻星臺)」, 「안지(雁池)」 등 칠언절구 10수로 이루어져 있다. "돌을 깎아 겹겹이 쌓아놓고는 이곳에서 성관이 별을 보고 점쳤다네. 어찌하여 포석정에서 술잔 띄우고 놀던 날에 백제의 군사 쳐들어오는 일은 보지 못했던 것인가.[削石重重塔樣成 星官曾此候妖禎 如何鮑石流觴日 不見東來百濟兵]"라는 「첨성대(瞻星臺)」에 대한 시에서 보듯이 경주 곳곳에 대한 유람과 회고를 볼 수 있으며, 인간사의 흥망성쇠에 대한 감회를 느낄 수 있다.
김문옥은 일제강점기, 6.25 전쟁 등 근현대의 혼란한 시대를 살았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시 속에는 시대의 아픔이 담겨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을유칠월칠일문일본항우연합국(乙酉七月七日聞日本降于聯合國)」과 같은 시에서는 광복을 맞이하는 순간의 감회를 볼 수가 있다. 김문옥은 "우리 아들과 딸은 그들의 종이 되었고, 우리들의 보물은 그들 국고에 들어갔던[子弟爲其奴 貿寶輸其帑]" 일들을 볼아 보고 "어찌하면 나라터전 반석같이 단단해져, 길이길이 동해의 물결이 다시는 일어나지 못하게 할까?[安得邦基固如磐 永令東海之波不復揚]"라고 하여 어떻게 하면 다시는 그런 일을 겪지 않게 할 것인가를 생각하며 시를 마무리 짓고 있다. 이외에 깊은 밤에 두보(杜甫)의 시를 읽다가 느낀 것을 읊은 「독두시(讀杜詩)」, "뽕나무 아래엔 낡은 초가집, 수수목이 한들한들 서늘한 바람 보내네. 담장엔 주렁주렁 박이 매달려, 장마 지나자 절반이나 누렇게 익었네.[老屋桑樹下 薥黍送微凉 墻畔垂匏子 經霖半已黃]"와 같이 한가로운 전원의 풍경을 읊은 「전가(田家)」 등 다양한 시를 볼 수가 있다.
권3~5에는 서간문 181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별 수량은 각각 40편, 68편, 73편이다. 권3에는 '서(書)'라는, 권4와 권5에는 '독(牘)'이라는 이름 아래 서간문이 수록되어 있는데, 문체상의 차이는 없어 보인다. 각 권별 첫 작품은 「상율계정선생(上栗溪鄭先生)」, 「여황석전원(與黃石田瑗)」, 「여위여익석한(與魏汝翊錫漢)」으로 모두 일반적인 서간문이다. 벗들과 안부를 묻거나 학문적으로 문답한 내용을 담은 편지들이 많다. 예컨대 「답곽우헌기영(答郭愚軒基永)」에서는 곽기영(郭基永)과 도학에 대해 토론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권6에는 잡저(雜著) 27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중 첫 작품은 「대학척의(大學摭義)」이다. 스승인 율계 정기는 『대학』을 읽고 날마다 의심되는 부분을 기록하여 문답하게 하였는데, 이 글에서는 『대학』의 의문 부분에 대한 해설을 기록하고 있다. 죽음으로써 도를 지킨 현인들을 예찬한 「강설기박봉화(强說寄朴琫和)」, "지극한 즐거움은 독서만한 것이 없고, 지극히 중요한 것은 자식 교육만한 것이 없다."고 한 「이지설증김원여영선(二至說贈金元汝永善)」과 같은 글은 귀감이 될 만한 글을 지어 다른 사람에게 준 것이다.
권7~8에는 서(序) 116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별 수량은 각각 60편, 56편이다. 권7에 실린 서문은 「신재최선생문집중간서(新齋崔先生文集重刊序)」, 「사송량공유집서(四松梁公遺集序)」, 「운초집서(雲樵集序)」와 같은 문집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다. 권8에는 「광산김씨가승서(光山金氏家乘序)」, 「제주양씨파보서(濟州梁氏派譜序)」와 같은 문중의 족보 관련 문헌에 대한 서문, 「귀후계서(歸厚契序)」, 「상선계서(相先契序)」와 같은 계(契)에 대한 서문 등이 실려 있다.
권9~10에는 기(記) 99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별 수량은 각각 54편, 45편이다. 광주광역시 충효동에 위치한 취가정에 대한 중건기인 「취가정기(醉歌亭記)」를 비롯한 누정에 대한 기문이 많으며, 「동곡서실기(桐谷書室記)」, 「매봉서실기(梅峯書室記)」와 같은 서실에 대한 기문도 있다.
권11에는 「계고통편발(稽古通編跋)」, 「심경집해발(心經集解跋)」을 비롯한 발(跋) 21편, 「강의재명(剛毅齋銘)」을 비롯한 명(銘) 11편, 「김추강뇌사(金秋岡誄辭)」를 비롯한 애사(哀辭) 3편, 「유천서실상량문(柳川書室上梁文)」을 비롯한 상량문(上樑文) 3편, 축문(祝文) 4편, 제문(祭文) 17편이 수록되어 있다. 축문 중 첫째 작품은 「율계선생문집간성시고유문(栗溪先生文集刊成時告由文)」, 제문 중 첫 두 작품은 「제율계선생문(祭栗溪先生文)」, 「재제율계선생문(再祭栗溪先生文)」으로 문집에서 스승인 율계 정기와 관련한 글을 다수 확인할 수 있다.
권12에는 39편의 비명(碑銘), 8편의 묘지명(墓誌銘)이, 권13에는 38편의 묘갈명(墓碣銘)이, 권14~15에는 98편의 묘표(墓表)가 수록되어 있어, 다양한 인물들의 행적을 확인할 수 있다. 권16에는 7편의 서사(書事), 1편의 행장(行狀), 7편의 전(傳)이 수록되어 있다. 서사는 「서김모노부인사(書金母盧夫人事)」, 「서신처김씨사(書申妻金氏事)」와 같이 부덕(婦德)이 있는 여성의 일을 기록한 것이며, 문집에 단 1편 수록된 행장은 스승인 율계 정기에 대한 것이다. 전은 근현대의 한학자인 현산(玄山) 이현규(李玄圭)와 창계(滄溪) 김수(金銖)를 입전한 「현산이공가전(玄山李公家傳)」과 「창계김공가전(滄溪金公家傳)」, 무과에 급제하여 부사과를 지낸 김지호(金志浩)와 의병장 안규홍(安圭洪)의 의로운 모습을 기록한 「김사과전(金司果傳)」과 「안의장전(安義將傳)」, 전통적인 가치관을 지킨 여성들을 기록한 「회산황유인전(檜山黃孺人傳)」, 「이씨양세삼유인가전(李氏兩世三孺人家傳)」, 「한모심유인전(韓母沈孺人傳)」이다. 일제강점기를 살았던 다양한 사람들의 면모를 볼 수가 있다.
『효당집』에는 행장(行狀), 가장(家狀) 등 문집 저자의 삶을 볼 수 있는 글이 담긴 부록이 없다. 그러나 김문옥과 함께 율계 정기의 문하에서 수학한 오랜 벗 고당(顧堂) 김규태(金奎泰)가 쓴 행장 「효당거사김공행장(曉堂居士金公行狀)」이 『고당문집(顧堂文集)』 권16에 실려 있어, 김문옥의 일생을 한 눈에 볼 수가 있다. 김규태김문옥에 대해 "경전을 통달하고 옛일에 해박한 공의 학문, 세상에 필요하고 나라를 빛낼 수 있는 공의 문장, 이는 조정에 훨훨 날면서 나라를 다스리는 데 넉넉히 도움을 줄 만한 인물임에도 망국의 시대를 만나 강호를 떠돌면서 단 한 번도 재주와 포부를 펼치지 못하였다. 그리고 장수를 누리지 못하여 논저에 드러낸 문장 또한 적막하기만 하다."라고 하며 안타까워하였다.

세부목차

卷 1
詩 : 讀杜詩(乙亥), 題晩圃(朴海佑)幽居二絶, 閔雲村丈人(龍鎬)於其六十一壽辰止家人擧觴出遊金剛月餘歸顔貌倍昔作詩奉賀, 寄顧堂(金奎泰), 挽金西洲(秉鉉)二首, 求禮五美洞與諸友夜話(丙子), 話別, 寄題龍巖齋二首, 和顧堂重陽見憶之作, 次顧堂寄示韻賦懷人體人各一句, 更賦五古二篇呈顧堂, 初冬宿友人家三首, 和寄鄭荷堂(河鍾己卯), 和寄顧堂見憶之作, 和寄舜夫(金容九), 挽金樹堂(熙淵), 次石田李公(最善)丙寅倡義詩, 壽沈蕉山(鶴煥), 栗溪先生命駕候寓有詩留贈敬此奉和, 和正齋梁丈(會甲)贈別詩, 順天望海臺感李忠武忙兵事, 錦城途中望月出山, 務安上洞與諸族人夜話二首, 登儒達山, 木浦滯雨, 碧流亭, 臨發酌于觀躍齋, 登紫薇山, 呈欽齋柳丈(興仁), 訪金學山(永文)不遇, 南平途中逢洪起唐, 壽桐谷趙丈, 挽吳雙山, 挽曺海史(兌承), 挽尹酉堂(鍾均), 贈別尹子重(錘)二首, 和寄顧堂, 次宋小波丈寄詩, 挽金梅西, 松光寺待光山諸友不至, 贈香峯上人, 松汀書來以詩代謝, 壽聞江奇丈(謹燮), 挽夷川南丈(昌熙), 挽金春齋(基淑), 訪石堂(金遠泳)時奇海石(老鼎)吳天卿(根浩)適至, 游亭(李相赫)邀余及顧堂酌于其堂與共限韻, 松汀宅同顧堂作, 月川齋(麗水態川), 光陽文星齋訪宋石癡(基承), 昇平途中別顧堂, 挽趙瑞重(雲濟), 挽趙龜村(炳寬), 和松汀(盧浚鉉)寄贈韻, 顧堂以詩六節來次其韻却寄, 和松汀歲暮見憶之作, 遊愚伏鄭先生愚山別莊, 甁泉途中, 玉梁洞, 遊仙遊洞, 華陽洞, 挽黃石田(瑗), 挽林敬齋(丙周), 次韻呈金丈(性權), 與光山諸友會松光寺三絶, 次寄柳南江(鍾茂)二首, 挽道湖吳丈(東洙), 和贈慕園子(閔泳世幷序), 謝松汀寄詩兼惠海笞, 曺强齋(錫日)惠寄一律步其韻仰呈, 題白岡(趙京煥)詩卷, 寄鄭獻黙, 挽晦峯河丈(謙鎭), 次野隱亭韻, 松汀以書招我至則顧堂荷堂亦巳在座相與課日賦詩, 雨中拈東人集中韻, 小村(朴炳現)邀余及諸友酌于釜沼, 暮還村汀宅復與顧堂拈韻, 更賦五古, 感時, 田家, 遊華巖寺, 方丈山, 更賦近體, 附顧堂贈詩, 挽尹子仁(在麟), 小村莊同諸友作, 楊文圭以書來中有二詩次其一却寄, 夜坐和黃(應圭)金(永淮)課作二首, 寄松汀, 德川題友送余至冷泉松汀時方營湖西之寓酌酒話別, 挽周丈(基仁), 題拓庵(鄭鎭萬)新居, 小汀(金容局)書來示其近作詩三首次其一却寄, 得悠堂(閔泳來)書示其別南江詩筆勢翩翩感而有作, 七月七日有感, 寄呈慕園子, 寄威堂(閔泳輅), 寄小汀, 寄晩醒(金成鉉), 寄悠堂, 留別節洞諸宗, 朴君來善千里訪余與同嘯詠于俗離泉石間臨別贈以一律, 乙酉七月七日聞日本降于聯合國, 望七山海, 次臨對亭韻, 追賀康齋鄭丈回梶宴, 追次朴丈(大一)回甲韻, 次吳丈(治度)見寄韻, 求禮中山齋同諸友夜話, 小松莊夜話, 寄悠堂兼簡慕園, 題子重詩卷, 和毅堂(金秉洙)寄余新居十二韻, 感時(戊子), 夜坐, 別諸生, 寄文山(金瑛翊), 寄晩松(閔駿植), 寄南坡(金夏局), 寄一松(朴淑鉉), 寄絅堂(金昌鉉), 己丑元朝記夢, 挽樂川李丈(敎川), 和拓庵寄詩, 與魏毅齋汝翊(錫漢)向天冠途中口號(己丑), 宿葛嶺朴奉化(璂鉉)莊, 冬柏亭次板上韻, 富春亭次板上韻, 渡汭陽江, 贈榧亭主人(李洙吉), 上金白鍾璂莊夜話, 題白潛溪竹林精舍, 題荷堂壁, 茶山齋同諸友作, 柳川齋和諸宗人, 長川齋次板上韻, 望天冠山, 和魏忍齋(啓回), 次白氏永慕齋韻, 月坪會友人, 別毅齋, 餘度齋贈安義山(洪天), 次竹坡堂韻, 己丑夏客寓長興冬柏亭蓮坡(金炳炫)三溪(金炳佐)晩川(金珍圭)逐日有詩余亦有和, 喜晩圃顧堂來訪, 偶旼, 酬任省庵(承摸), 白金剛(求允)金樂軒(寅燮)二丈見過, 遣興, 和諸生課作, 冬至日月淵(奇世稷)招諸生去謝以一絶, 玉泉(金永吉)以詩來兼饋酒忘拙和呈, 南平歸來亭同尹(奇爀雨爀)洪(典植)鄭(喆煥)任(永宰)諸友限韻, 與諸友遊砥石江上, 遊李氏江亭臺, 梅花一篇寄呈慕園, 和寄元六悟(益守), 雪舟翁(宋運會)有詩敍別步其韻以呈, 南平玉振堂與鄭東樵(喆煥)同作, 次崔氏龍湖亭韻, 次魏汝翊九十一壽母韻, 夜坐憶光山諸友, 虎溪別三溪晩川諸友, 別蓮坡, 報恩三街里途中, 宿金堤蓼橋村崔鶴軒(承鉉)携酒來訪, 己丑秋訪松汀於杞城寓廬松汀以事往河陽不遇歸賦三絶詩葯成松汀以近體來又成一絶幷寄, 和南秋峯(勝愚)天王峯上見憶之作, 次金南坡東溪精舍韻, 謝三溪毅齋來訪, 次裕齋宋丈蓼橋精舍韻, 寄長川齋諸友十二韻, 挽趙桐谷, 寄趙安國(白鉉)十四韻, 贈金昌培, 贈別宋河瑛, 歲暮自金堤罷歸賦示諸生, 修契福川, 麗水港觀海, 拜忠愍祠, 贈石堂, 魏敬培(啓道)携金生鍾根鍾寅來亂中相見一倍欣然爲賦二絶贈之, 庚寅冬與諸生約會冠山之鳳陽齋及期諸生以途梗不來夜坐有思, 雪, 賀朴湖山(晟朱)六十一生朝, 歲暮留別湖山, 別强齋, 壽文梅軒, 光山春夜同尹鶴(澔燮)帽巖(在甲)敍話(辛卯), 澗里諸友(金正煥金正熙李圭白李弘信)送余至舞峙臨別口號, 挽金公直(正熙), 筏橋詩社諸人邀余共飮, 梁留軒(會侯)宅晤宋石癡(基承)鄭靑下(逈澤)金顧堂鄭丹村(炳憲)朴來善(令模)諸君限韻, 宿石癡城西別庄, 別諸友, 登申氏五林亭, 徐氏老休亭次板上韻, 石齋書室同(鄭容村金聖柱)作, 月山晩眺, 五月自梨陽苛家向海上, 寓筏市, 金陵途中別李元哉(行黙), 喜金汝栽(永培)來訪, 宿古邑朴禹錫庄, 和直軒朴丈(魯畯)韻, 德岡(楊東賢)庄陪宋雪舟朴直軒二丈小酌, 龍華寺雅集, 留軒莊小酌, 朴禹錫庄同石癡顧堂夜話, 光山旅舍逢金小汀, 六悟書來有詩佯至輒次其韻, 和朴松南(基洪)見寄韻, 光山歸路望柳川故居, 裕齋翁手寫方遜志詠鳳詩贈諸生感而次其韻

卷 2
詩 : 扶餘懷古(壬辰), 灝兒苛家寓報恩有年兵戈阻隔三載不面壬辰春往視之次孫已學步矣喜述五古二篇, 自釜山船向麗水風日甚佳舟中有作, 過玄山故宅, 釜山省老姉姉以前一日撤歸南昌故居矣紂然賦此, 寄雅山(金大鉉), 浦上春望, 晩松宅賦示龍得, 次農隱堂韻, 德岡招余及諸生設酌, 端午日惇諸生遊山寺, 和諸生課作, 灝兒取屋昇平惇二兒至賦詩志喜, 暮春惇諸生至古邑朴禹錫庄留飮, 病中得石癡顧堂相顧學圃(宋景徽)德岡亦至, 水調頭歌一局奉賀慕園壽席, 和寄秋岡(朴東善), 秋日郊行, 重陽後七日與顧堂宿古邑松村莊, 鳳南(張中植)庄同虜石柳丈(泳)及顧堂謙山(安乘神)作, 德川祥後與文近庵敬之(在璣)至晩圃庄夜話敬之吾同門舊友別已三十年矣, 挽寒溪金公(沂洙), 和寄文近庵莊泉賞菊韻, 更寄近庵一絶, 題九峯山牧牛庵, 賀曺敦承大人回甲, 德軒庄夜話, 挽周亨洛(禹錫 癸巳), 牛汀陪小波雪舟二丈夜話, 過曺小川遺莊, 次石湖亭韻寄鄭元弘(毅鉉), 和寄松汀, 三川酬德軒湖隱諸公, 賦別, 挽權萬齋(載春), 昇州詩社和諸公, 玄川訪鄭月山(永哲)丹村(炳憲), 熊川訪丁魯齋(基魯), 癸巳夏四月又自筏橋移古邑村, 贈曺敦承, 滯雨昇平石癡秋岡俱有詩見贈追而奉和, 東小南安丈(圭俸), 蟾津江上別吾堂(沈鎭宅), 重陽後十日與晩圃顧堂荷小飮于松村庄, 賀德岡六一生朝, 和松汀述懷, 挽小波宋丈, 東慕園(甲午), 題湖山壁上, 贈別毅齋, 竹川亭, 甲午春往掃先母墳於漕溪之燈掛峯小村偕之途中口呼, 與小村宿閒洞趙安國庄, 送具明甫(喆壽)歸晉陽之德山, 帽巖新寓楊林邀余及呂(暢鉉)張(權朱)諸友小酌, 東德軒, 挽盧松汀, 新居雜詠, 竹園, 坵陰, 竹下泉, 冬柏樹, 挽玉山李丈(光秀), 挽裴晦岡(采奎), 與晩圃顧堂滯雨松村庄拈韻排悶, 酬石癡, 臨對亭留與慕園悠堂諸友共話, 次韓氏龜湖亭韻, 訪宋斗山(榮直)不遇留題其書室, 寄松芬(李東範), 寄謝普亭金(凹會)兼簡曺(龍承)金(鳳文)丁(本秀)諸公, 和元暢圭漢城述懷之作, 送閔秀才龍得歸光山, 月下訪普亭, 過台村庄, 別高敞諸友, 聞卞機篁長逝作詩悼, 訪松芬夜作, 寄斗山, 次湖隱亭韻, 挽權芝村(鳳洙), 挽晩松權公二首, 乙未閏三月五日發嶺行途中口號, 過全州, 大田哭盧松汀靈免, 暮入商州, 善山玉冠洞拜朴松堂先生墓, 善山途中望金烏山, 愛日堂次板上韻, 謁陶山書院, 東京懷古, 玉山書院, 玉山溪亭, 碧寒亭感舊, 過滄溪書室, 武山同南秋峯(勝愚)周澹軒(時玉)沈吾堂諸公作, 別我泉(李英兆), 贈李明夫(英泰), 德山途中, 訪具明甫酌于流觴石, 遊道巖, 和月汀李丈, 與心齋權(昌鉉)求堂(正煥)諸友訪蓑庵(金容燦)峽中, 過仁谷書堂, 大山亭唱酬, 楊川途中與大川李(東翰)春岡趙(琬濟)口呼, 花溪草堂次板上韻, 心齋送至德山有詩見贈輒次其韻, 和寄具明甫, 寄題詠花亭, 乙未秋與湖山晩圃松村顧堂松芬作瀛洲之遊路出咸平登洗心亭, 登儒達山, 碧波津感李忠武公故事, 九月四日貰舟向瀛洲, 三姓穴, 五賢壇, 重陽日和顧堂松芬頌余生朝, 舟中望漢昺山, 楸子島, 舟泊珍島, 珍島館和人, 聞一松束髮戴巾作詩賀之, 柬松芬, 挽裵敎官, 景韓(孫坪琦)歲暮賦別有草堂自有寒梅樹莫待春風花謝枝之句感贈二絶兼示社中諸君, 次斗隱堂韻(丙申), 訪小村不遇留題其壁上用五美庄韻, 挽李元哉(行黙), 次南隱堂韻, 月川齋與魯齋小話, 歲暮別諸生, 丙申初夏發湖西行途中口呼, 全州梧木臺晩眺, 群山港觀日入, 登扶餘泗棨此樓, 赴福川文友契會和契中諸友, 贈金甥東稷, 挽權弦庵, 松村庄與毅齋顧堂松芬小飮, 帽巖庄又與顧堂夜話, 斗山辱顧弊廬臨發命韻歸寄其作感而有和, 壽晩圃, 斗山又用前韻寄近體二首不容無和, 金生琮炘自軍營有書相訊爲寄二絶謝之, 南海舟中作, 入龍門寺, 宿錦山菩提庵, 露梁謁忠烈祠, 登光陽望德山安(定善)朴(鍾範)二友設酒肴甚盛, 具明甫聞我爲錦山之遊先至露梁待之以我輩後期故虛抑而歸寄二絶示意用其韻和之, 夜坐有感, 松芬遠來結夏談餘無事仍與課吟, 和諸生課作, 送宣炳翰歸報恩, 賀宣南軒七十壽席, 雪舟丈扶藜來訪陪話于直軒庄, 忍庵文丈命駕弊廬眷不忍別敢以小詩奉櫃, 殼雨日同高敞鳳城諸友赴華嚴寺, 蓼橋哭裕齋宋丈(基冕)靈筵. 潺水驛別顧堂, 挽柳靑江(泰胤), 挽梧岡文丈(存吾), 突山舟中, 宿金鰲山靈龜庵, 夜泊將軍渡望麗水市燈晃耀水底口呼一絶, 贈別松芬, 辛巳夏與嶠南諸友飮于矗石樓酒乞走筆, 挽金允千(瑛翊), 和寄金昌國金海寓所, 泗南幽居辭, 次啞聾亭韻, 送李生春熙入京, 正月望後同晩圃松村顧堂宿葛嶺强齋庄, 遊仙巖寺, 福川永思齋修文友契, 與高敞諸友登鷄鳴山望海有作, 朴友鍾勳冒雨來拈東人集中韻, 挽松村, 挽鄭聖圖, 挽西坡宋丈(夏燮), 次大峯亭韻, 過南山祠壟墟, 子重冒暑遠來臨別書此以贈, 挽金南坡, 平湖曺敦承庄和輔仁契諸公韻(己亥), 偕鳳城諸友自龍頭至上沙李氏楸閣, 次文氏三愧亭韻, 挽柳壺石(泳), 登月出山, 月南李元哉庄感舊有作, 宿鳩林芝村庄, 講修堂會話, 題曺氏叢翠亭, 題崔氏三樂齋, 題朴氏間竹亭, 自靈巖舟向木浦, 次魏平良小桂堂韻, 挽安憤庵(塑), 挽趙仲器, 一靑書室夜話, 挽蘭石權丈(炳夏)二首), 待松芬不至, 喜松芬至, 寄普亭, 寄澹齋(金鳳文)兼簡敬庵(曺龍承), 謝丹石(金慶知)饋藥, 和寄朴永鳳, 挽晦峯安公(圭容), 已亥仲秋會數郡諸友于筏橋之古邑向邊山及光府一宿獨毅齋以事徑歸, 長城途中口呼, 晩睡堂小酌, 來蘇寺次板上韻, 邊山七絶, 畏堂李丈敎昌辱顧候廬命韻有詩敢爾杯和(戊戌), 酬松芬, 題貞齋尹丈(永淇)詩卷, 挽鄭竹下(敏圭), 戊戌秋八月同四郡諸友遊赤壁江上, 賀啣窩(安鍾烈)壽席, 光陽小溪(朱正朱)庄同晩圃顧堂小話(已亥), 挽蓮坡梁文(會龍), 曉坐口占, 題春園(金源益)書室, 賀徐石蓮(聖濬)七十一生朝, 南江丈歲暮賦懷人體以余先之慙愧則深不容無和步其韻寄呈, 次春園韻, 錄楊魏楊坡(啓春)庄秋燈小話, 題一松屛, 壽曺桐雲(圭復), 挽朴允肅(敬來), 己丑肇夏侯松浦丁丈(魯壽)玉堂之新庄, 題朴君允中(炯允)茶室, 題孫松巖翁(碩煥)壽軒, 寄趙元喆(小序), 題友山詩卷, 挽蘆隱(朴貞圭), 題朴晩松(炯宇)庄, 宿文允瑞(珽鎬)庄, 與栗村黃(義焌)唱酬, 寄楊汀(朴炯玄), 玉山候重窩魏丈(洪良), 題玉泉詩卷, 和金敬甫(遇正)見贈二絶, 和全可石(中錫)見寄韻, 壽鄭鵝山(漢丞), 題草洞書舍, 歲暮臨別以五古一篇示黃(應圭)金(永涵)尹奉林, 赴輔仁契會金生(榮日)請余一宿而未能故以詩贈之, 挽止岡沈丈(鎭福), 和寄吾堂, 次瑞耘堂韻, 宿上沙李小源(泳奎)庄, 傷春鷰, 將移福川感庭前冬柏花有作, 冠山魏毅齋莊修輔仁契余病未能赴作此寄之

卷 3
書 : 上栗溪鄭先生, 上柳西岡(遠重), 上沈直窩(半煥), 上權松山(載奎, 二), 與李果齋(敎宇), 答黃石田(瑗), 上夏靈峯(震武), 答梁正齋(會甲), 與李玄山(玄圭), 答金滄溪(銖), 答郭愚軒(基永, 四), 答奇月淵(世稷, 二), 答宣南軒(政薰), 答李東岡(秉元), 答鄭景施(寅普二), 與權正夫, 答金而晦(榥), 與奇孔吉(老善), 答金遠泳, 答全子脩, 與夏貞立(成吉, 與一答一), 答趙瑞重(二), 答權晦卿(昌鉉), 答金景魯(奎泰), 答金貞一(在烈), 答文聖元(在鳳), 答金中立(凹會, 答二與一), 答吳敬立(柱錫), 答金子受(慶知), 答李勉承(相武), 答崔汝直(大鎭), 答許子文(炘, 二), 答許厚卿(永栽), 答趙明元(東昱), 與崔正淑, 答張汝一(永億), 答尹子重(丁竺), 答金性佑(暢中), 答洪鍾浩, 答金淅圭

卷 4
牘 : 與黃石田(瑗), 與丁松浦(魯壽), 與梁蓮坡 (會龍, 與二答二), 答梁正齋(會甲, 答二), 答具蔗山(東玉), 答金止堂(琫運), 答李松隱(敦禹), 答宋子善(榮彬), 答邊正巖(鎭旭), 答宋裕齋(基冕), 與金滄溪(銖), 答金在演, 答孫松巖(碩煥), 與文忍庵(德之), 與洪楓庵(起冕), 與崔芝村(炫, 與二答一), 與李我泉(英兆), 與裴順明(圭哲), 與李誠齋(敎覽), 與朴湖山(晟朱), 答柳南江(鍾茂), 答宋斗山(榮直), 答寄月淵(世稷), 與閔伯賢(泳性, 與三答一, 與金亨文(炳佐 與一答一), 答趙聖哉(喜洙), 答李禹卿(昌煥), 答金夏局, 答金而晦(榥), 與李源懿, 與金鍾九, 答南秋峯(勝愚), 與朴濟勝(海佑, 二), 答文敬之(在翼), 與朴奉和(璂鉉), 答盧奇玉(泰鉉), 答吳和善(政杓, 二), 答安英夫(鍾烈), 答崔德善(允煥), 與權晦卿(昌鉉), 答丁相奭(基魯), 答徐福仁(喆宇), 答曺公三(圭復), 與鄭漢烈(漢丞), 與金允明(相德), 與甲子敬(井休), 答魏受卿(福良), 答李相悅(泳奎), 答申子範(陽秀), 與朴仲豪(興圭), 答周成三(時玉), 與金致溶(太一), 與沈正玉(鎭宅, 與一答一), 與李稷鉉, 與金寶玉(珍圭 二), 答金鳴孚(鶴洙)亨夫(哲洙), 與曺龍承金鳳文, 答秋淸汝(淵蓉), 答金永鐸(孔欽), 答李勉孚(縷兌), 答孔宗洙, 與曺泳復, 答申善長(元植), 答金春章(正彩), 答文正和(在茂), 與朴來善(永模), 答許子健(俊康), 與朴炯宇

卷 5
牘 : 與魏汝翊(錫漢 與五答二), 答金景先(容局), 答鄭喆煥(二), 與金致善(容燦, 三), 答鄭源一(鎭萬), 答安吉守(永吉), 與閔善才(駿植), 與金景魯(奎泰, 與七答二), 答權輝遠(玉鉉), 與閔源夫(泳來, 與一答一), 與鄭獻黙, 答秋用式(鏞禧), 與鄭聖圖(河鍾, 與一答二), 答權致勤, 與吳敬立(柱錫)金元善(奎祥), 答金海成(源益), 答金中立(凹會, 答四與二), 與李道貞(東範 四), 與金子受(夢祉), 與柳聖欽(遠洙), 與金永樑, 與李宜春(鍾弼), 答鄭乃綏(鉉福, 二), 答李元哉(行黙), 與金中會(與一答二), 答全贊一(中錫), 答金子益(洪三), 與金舜夫(容九與三答一), 與朴悅可(魯澤 二), 與李聖道, 答金珉洙, 答金鴻圭, 答金奎鳳, 與金商弘, 答李光直(鍾榮), 與金汝栽(永培), 答具明甫(喆壽 五), 答金敬甫(遇正), 與許厚卿(永栽, 二), 答尹子重(丁錫, 五), 答李昌憲, 答羅立夫(鉀柱 答一與一), 與金永燮(丙侖), 答金晦卿(在華), 與朴子烈(泰植), 答邊時淵, 答李康炫, 與黃周赫(應圭), 答梁子玉(圭承), 答朴文哉(炳彪), 答金亨宇(永淮), 答金汝貞(永松, 二), 與魏敬培(啓道, 三), 與魏敬培趙德卿(敦承), 與趙德卿(與一答一), 與梁子松(東廈), 答宋河瑩, 與魏子鸞(鴻圭), 答鄭基潤, 答朴昌彦(禹錫), 與尹奉林, 答李仕尹(孝甲, 二), 答李汝茂(柏淳 二), 答閔景文(范植), 答白寬中(裕寅), 答閔鏞植, 答孫景韓(坪琦, 二), 答金汝述(富東), 與金重培(鍾根), 與文茂中(出根)曺致章(文承),與金絅栽(榮日), 與徐祺鍾, 寄灝兒(三), 寄濬兒

卷 6
雜著 : 大學芝義, 志感(乙酉), 自訟, 蓮坡說, 玄潭說, 顧堂說, 荷堂說, 蓑庵說, 拓軒說, 近庵說, 醇堂說, 學平說, 留軒說, 敬堂說, 荷齋說, 從好齋說, 湖隱說, 剛庵說, 養晦說, 念初說贈金公玉, 强說寄朴琫和, 二至說贈金元汝(永善), 題朴秀才(仁東)寄贈書帖, 示汝栽(永培), 書贈朴明夫(炯旭), 金汝栽字說, 狗相乳

卷 7
序 : 露堂先生實記序, 竹梧堂金公實記序, 晩隱實記序, 顯武實記序, 退隱堂實記序, 南圃實記序, 藍湖實記序, 晩山實記序, 菊圃實記序, 新齋崔先生文集重刊序, 五峯鄭公文集重刊序, 四松梁公遺集序, 雲樵集序, 心圃集序, 守靜集序, 壺石集序, 浩齋集序, 重刊蘭溪遺稿序, 蘭石朴公遺稿序, 楙谷稿序, 蒙溪遺稿序, 田隱私稿序, 玉山私稿序, 錦湖遺稿序, 斗南遺稿序, 愼黙齋遺稿序, 鳳南遺稿序, 雙山稿序, 月溪稿序, 後柏堂遺稿序, 癡齋稿序, 石蕉遺稿序, 石田遺稿序, 晩悟遺稿序, 澹圃遺稿序, 弘庵遺稿序, 五一堂遺稿序, 竹山安氏世稿序, 心齋文後序, 杏史梁公殉義錄序, 忠節錄序, 竹林祠誌序, 重刊光山金氏世藏寶硯實錄序, 弄溪實錄序, 權萬齋(載春)金剛錄序, 重建富春亭述詠錄序, 海石詩序, 丹霞詩序, 小波詩序, 黃洲詩稿序, 遯齋詩稿序, 黙庵崔公詩稿序, 溪隱詩稿序, 止愚詩稿序, 晩雲崔公詩稿序, 翠庵詩稿序, 潘陽詩社序, 玉山題詠序, 東遊記序, 洪伯源(承俊)居廬日記序.

卷 8
序 : 家乘序, 光山金氏家乘序, 慶州金氏家乘後序, 金海金氏家乘序, 光山金氏家乘序, 晉陽鄭氏家乘序, 昌寧曺氏家譜序, 濟州梁氏派譜序, 南平文氏派譜序, 金海金氏派譜序, 瑞山鄭氏派譜序, 金寧金氏族譜序, 光山金氏派譜序, 淸州韓氏派譜序, 長興魏氏派譜序, 秋溪秋氏世譜序, 順天朴氏派譜序, 栗溪先生六十一壽序, 李玄山丈人六十一壽序, 誠泉翁六十一壽序, 金永昌大人石軒翁六十一壽序, 吳壺西(致會)六十一壽序, 曺玉山六十一壽序, 趙省齋丈人壽卷序, 無有子壽詩卷序, 湖隱壽詩卷序, 權萬齋壽序, 朴强齋琫和壽序, 趙龜邨丈人六十一生朝繪眞帖序, 朴母八十壽詩帖序, 權一宇壽帖序, 歸厚契序, 相先契序, 輔仁契序, 興仁契序, 釋奐契序, 麗澤契序, 富平坊鄕約契序, 忠孝壇儒契案序, 廣州李氏花樹契案序, 蓼橋精舍講會帖序, 具明甫(喆壽)字序, 月潭號序, 湖隱號序, 慕園號序, 三溪號序, 愚軒號序, 蘭坡號序, 送奇月淵序, 送曺愚溪序, 贈崔道悅(承鉉)序, 贈朴來善(令模)序, 贈諸生序, 贈金南一(圭萬)序, 送尹子重(丁竺)羅立夫(鉀柱)二生序, 送李士均序

卷 9
記 : 苟齋記, 忠武祠重建記, 醉歌亭記, 東溪草堂記, 木美庵賞古梅記, 觀躍齋重建記, 龍巖齋藏書室記, 竹林精舍記, 他不川記, 栗里田舍記, 第一川舍記, 仙湖釣臺記, 養晦堂記, 晩松亭記, 巖棲亭記, 鳳愚堂記, 一靑書室記, 月林亭記, 慕巖亭記, 閔氏景慕齋記, 龍山祠記, 慕遠齋記, 桐谷書室記, 梅峯書室記, 聽流亭記, 石老堂記, 百花園記, 持慕齋記, 靑鶴山庄記, 平川精舍記, 碧湖精舍記, 東江釣臺記, 月天齋記, 涵碧樓記, 觀水亭記, 晩田室記, 慕橘軒記, 光山金氏四世壇碑記, 博山齋記, 敬慕齋記, 臨對亭重建記, 華谷田舍記, 道山齋記, 晩川室記, 柳川齋記, 茶山齋記, 鶴山齋記, 詩川齋記, 芬山幽庄記, 講修齋記, 雲皐亭記, 黃氏兩世返木親記, 聚斯堂保存事實記, 台村庄記

卷 10
記 : 雙節堂記, 鳳岡齋記, 吾堂記, 方山齋記, 芝山齋記, 南岡精舍記, 養竹堂記, 老休亭記, 松溪齋記, 黃山祠記, 鼓山齋記, 如在齋重建記, 鳳岡齋重建記, 永修齋重建記, 枕湖亭移建記, 龍江精舍記, 龜岡齋重建記, 龜岡齋記, 大峯亭記, 春園亭記, 斐山齋記, 景慕齋記, 香山書室記, 鳳陽齋記, 後巖亭記, 一松堂記, 蘆山齋記, 克昌堂記, 九老齋記, 全氏永思齋記, 百源亭記, 柳林亭記, 承慕齋記, 朴氏世德祠記, 桐江亭記, 鄭氏五沂亭記, 李氏逸山齋記, 龍坡亭記, 聽溪堂重建記, 金氏氷慕齋記, 李氏瞻掃齋記, 陽坡亭記, 九龍潭記, 喜懼齋記, 追遠齋記

卷 11
跋 : 稽古通編跋, 派譜跋, 心經集解跋, 四禮儀跋, 三老唱酬錄跋, 松庵遺稿重刊跋, 心庵遺稿跋, 東溪集跋, 外先祖守拙齋朴公遺稿跋, 日新齋任公遺稿跋, 鶴山稿跋, 重軒集跋, 題宋裕齋(基冕)叢言後, 題南秋峯(勝愚)詩卷後, 心齋遺稿跋, 書栗山安丈(鍾南)燕巢銘後, 芝村遺稿跋, 題三城齋權公手梢喪禮備要後, 梅石軒遺稿跋, 龍岡曺公回梶頌禱帖跋, 書朴孝子褒狀後
銘 : 剛毅齋銘, 威堂銘, 拓庵銘, 悠堂銘, 韋軒銘, 丹石銘, 鳴皐銘, 裕堂銘
哀辭 : 金秋岡妖辭, 金舜夫哀辭, 金相允哀辭
上梁文 : 柳川書室上梁文, 茶山草堂上梁文, 永思齋上梁文
祝文 : 栗溪先生文集刊成時告由文, 黃山祠奉安秋露堂洗心堂二公告由文, 黃山祠秋露堂洗心堂二公常享祝文, 龍山祠奉安鄭向北草心堂二公祝文
祭文 : 祭栗溪先生文, 再祭栗溪先生文, 祭西岡柳公(遠重)文, 祭松山權公(戱奎)文, 祭果齋李公(敎宇)文, 祭玄山李公(玄圭)文, 再祭玄山李公文, 祭裕齋宋丈(基冕)文, 祭沈直窩(斗煥)文, 祭李東岡(秉元)文, 祭金滄溪(銖)文, 祭安愚村(糾嵩)文, 祭吳和宣(政杓)文, 祭閔善才文, 祭朴雲擧(魯鴻)文, 祭友人文, 祭亡室朴氏文

卷 12
碑銘 : 高麗左僕射兆陽君林公神道碑銘, 顯監劉公衣履藏銘, 宣武原從功臣訓鍊院正朴公衣履藏銘, 德庵魏公衣履藏銘, 高麗正義大夫監門衛上將軍羅州羅公祭壇碑, 高麗門下侍郞奉議大夫集賢殿大提學錦城君濟州梁公祭壇碑, 光山金氏五世祭壇碑, 高麗左獻納密陽孫公祭壇碑, 止愚齋柳公祭壇碑, 江陵劉氏歲一祭壇碑, 白凡金公義蹟碑, 靜齋李公殉義碑銘, 石圃趙公殉義碑銘, 大韓仗義殉國五烈士碑, 義士南岡申公紀績碑, 義士月潭林公紀績碑, 二十八義士紀績碑, 全州鄕校衛聖案創立紀事碑, 資憲大夫松窩崔公事蹟碑, 芝泉朴公紀績碑, 烈婦 贈貞夫人慶州李氏紀行碑, 孝子高公紀行碑, 贈貞夫人金氏紀行碑, 孝婦金氏紀行碑, 黙隱鄭公紀行碑, 寢郞鄭公紀行碑, 雪軒鄭公紀行碑, 孺人慶州李氏紀行碑銘, 孺人淸州韓氏紀行碑, 贈淑夫人全州李氏紀行碑, 孺人完山崔氏紀行碑銘, 石湖金公紀行碑, 烈婦金海金氏紀行碑銘, 高麗翰林學士麗川都護府使海州吳公遺墟碑銘, 竹庵丁公宅里碑, 慶州崔公遺庄碑, 逸隱秋公宅里碑銘, 狼項山十六姓世葬阡碑
墓誌銘: 申母柯孺人墓誌銘, 裵母李孺人墓誌銘, 復齋魏公墓誌銘, 朴竹沙墓誌銘, 述齋許公墓誌銘, 裵母朴孺人墓誌銘, 朴妻韓孺人墓誌銘

卷 13
墓碣銘 : 通政大夫承文院右副承旨弘文館典翰西口軒金公墓碣銘, 進士淸溪吳公墓碣銘, 嘉善大夫行吏曹判書知弘文館春秋館事兼五衛道摠府副摠管雲江金公墓碣銘, 中直大夫弘文館典翰玉谷金公墓碣銘, 蘭溪朴公墓碣銘, 三憂堂吳公墓碣銘, 遇隱崔公墓碣銘, 訓鍊院副正行長湍府使朴公墓碣銘, 通政大夫僉知中樞府事蓮堂金公墓碣銘, 孝子松溪金公墓碣銘, 感蓮齋金公墓碣銘, 雅湖陳公墓碣銘, 忍谷堂柳公墓碣銘, 通政大夫承政院同副承旨知製敎經筵參贊官兼春秋館記注官蘭石朴公墓碣銘, 困庵郭公墓碣銘, 進士南止金公墓碣銘, 梅史閔公墓碣銘, 學生周公墓碣銘, 斗南金公墓碣銘, 農巢朴公墓碣銘, 通政大夫行通川郡守兼江陵鎭管兵馬僉節制使沙上耕璟奇公墓碣銘, 湛樂軒金公墓碣銘, 湖隱崔公墓碣銘, 黙庵姜公墓碣銘, 素軒崔公墓碣銘, 石峴李公墓碣銘, 學生李公墓碣銘, 田隱崔公墓碣銘, 松川柳公墓碣銘, 誠泉金公墓碣銘, 農隱金公墓碣銘, 農窩金公墓碣銘, 蔗山具公墓碣銘, 龍坡金公墓碣銘, 松鶴齋朴公墓碣銘, 楸廬金公墓碣銘, 山海亭郭公墓碣銘, 金舜夫墓碣銘

卷 14
墓表 : 梅谷裵公墓表, 訓鍊院主簿金公墓表, 通政大夫司僕寺正金公墓表, 府使鄭公墓表, 明溪崔公墓表, 老峯鄭公墓表, 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金公墓表, 竹泉魏公墓表, 芝庵朴公墓表, 宣傳官李公墓表, 雲田徐公墓表, 誠齋鄭公墓表, 禮賓寺正歟金公墓表, 沙村徐公墓表, 崇祿大夫龜岡蔡公墓表, 退山秋公墓表, 學生韓公墓表, 三止堂吳公墓表, 望椒齋金公墓表, 泣竹孫公墓表, 通政大僉知中樞府事金公墓表, 仁山余公墓表, 林亭趙公墓表, 松巖余公墓表, 望軒余公墓表, 雲庵朴公墓表, 梧亭朴公墓表, 學生申公墓表, 藥圃孫公墓表, 香坡曺公墓表, 曺母高孺人墓表, 武科行宣傳官錦庵孫公墓表, 四脊堂朴公墓表, 學生韓公墓表, 都正金公墓表, 極齋金公墓表, 趙孺人墓表, 郭寧都正蓮浦金公墓表, 金孺人墓表, 學生權公墓表, 栗齋全公墓表, 丁愼齋墓表, 學生趙公墓表, 敬軒郭公墓表, 愚溪余公墓表, 菊史鄭公墓表, 淑人鄭氏墓表, 林母鄭孺人墓表, 自修軒鄭公墓表, 聽松魏公墓表, 孝子姜公墓表, 拓宇周公墓表

卷 15
墓表 : 石雲崔公墓表, 慕堂申公墓表, 大谷李公墓表, 農隱鄭公墓表, 裵母柳孺人墓表, 朴母崔孺人墓表, 翠軒金公墓表, 安母盧孺人墓表, 竹軒金公墓表, 世隱朴公墓表, 林道峯墓表, 石軒朴公墓表, 石樵申公墓表, 玉軒金公墓表, 孺人靈城丁氏墓表, 學生金公墓表, 鳳陽許公墓表, 烈婦柳氏墓表, 月汀金公墓表, 姜翠庵墓表, 樵山金公墓表, 春齋金公墓表, 孺人淸州韓氏墓表, 洪愼庵墓表, 聾軒金公墓表, 芬愼金公墓表, 在田金公墓表, 沙隱金公墓表, 學生尹公墓表, 淑夫人星山李氏墓表, 晩圃金公墓表, 孺人全州崔氏墓表, 石汀朴公墓表, 孫子準墓表, 心庵梁公墓表, 鏡潭李公墓表, 任母文孺人墓表, 石泉金公墓表, 梅峯吳君墓表, 竹軒吳公墓表, 松村朴君墓表, 耕隱金公墓表, 南江孫君墓表, 晋州鄭君墓表

卷 16
書事 : 書金母盧夫人事, 書申妻金氏事, 書孝婦宋氏事, 書金孝子李孝婦事, 書孝婦趙氏事, 書孝婦鄭氏事, 書尹母金氏事
行狀 : 栗溪先生行狀
傳 : 玄山李公家傳, 滄溪金公家傳, 金司果傳, 安義將傳, 檜山黃孺人傳, 李氏兩世三孺人家傳, 韓母沈孺人傳


참고문헌

김규태 저/박완식 역, 『고당집 4』, 구례문화원, 2015.
김대현·기태완·박완식·이월영, 『20세기 호남 주요 한문 문집 해제』, 전남대학교출판부, 2007.
박금규, 「曉堂 金文鈺의 生涯와 詩」, 『한문교육연구』11, 한국한문교육학회, 1997.
정길수, 「일제강점기 전통 지식인의 고뇌-金文鈺의 傳」, 『인문학연구』40,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0.
호남기록문화유산(http://www.memoryhonam.co.kr/) 검색일 : 2020. 9. 10.
기사목록
目錄
卷之一
卷之二
卷之三
卷之四
卷之五
卷之六
卷之七
卷之八
卷之九
卷之十
卷之十一
卷之十二
卷之十三
卷之十四
卷之十五
卷之十六